"대구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소요 시간 = 12분 (하양-영천, 무궁화호) | |소요 시간 = 12분 (하양-영천, 무궁화호) | ||
|표정 속도 = 75km/h (〃) | |표정 속도 = 75km/h (〃) |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9편 운행 (하양역 정차, 무궁화호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9편 운행 (하양역 정차, 무궁화호)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
|폐선일 = | |폐선일 = |
2016년 1월 8일 (금) 06:50 판
![]() 시·종착역을 제외하고 대구선에서 유일하게 여객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하양역 ![]() | |
한글 표기 | 대구선 |
---|---|
영문 표기 | Daegu Line |
한자 표기 | 大邱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가천역 |
종점 | 영천역 |
운행 계통 | 경부선의 지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
영업 거리 | 14.9km |
소요 시간 | 12분 (하양-영천,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75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9편 운행 (하양역 정차, 무궁화호)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 | 경부선-중앙선 연결선 | ” |
대구선(한자: 大邱線)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 소재의 가천역과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소재의 영천역을 잇는 길이 29.0km의 대한민국의 지선 철도 노선으로 경부본선의 지선이다.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20이다.
8개 정거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화물 취급역은 가천역, 청천역 등 2개역이며 여객 취급역은 하양역과 영천역 등 2개역이다. 역간 평균 거리는 3.63km, 최단 거리는 북영천역과 영천역의 2.9km, 최장 거리는 청천역과 하양역의 6.0km이다. 기점인 가천역과 종점인 영천역에서 각 각 경부본선과 중앙본선과 접속한다.
노선표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하양 | 0.0 | 14.1 | 무궁화 | (경부선)[1] | 대구광역시 | 수성구 |
영천 | 14.9 | 29.0 | 무궁화 | 중앙선 | 경상북도 | 영천시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
- ^ 정확하게는 하양역에서 14.1km 앞에 있는 가천역에서 경부선과 분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