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성향=[[중도]] | |성향=[[중도]] | ||
|상징색=바다파랑 | |상징색=바다파랑 | ||
− | |국회의석수= 109석/ | + | |국회의석수= 109석/293석 |
|웹사이트 = [http://theminjoo.kr/ 더불어민주당] | |웹사이트 = [http://theminjoo.kr/ 더불어민주당] | ||
|배경색 = #0099cc | |배경색 = #0099cc |
2016년 2월 3일 (수) 12:36 판
더불어민주당
| |||
| |||
상징색 | 바다파랑 | ||
---|---|---|---|
이념 | 사회자유주의 | ||
당직자
| |||
원내대표 | 이종걸 | ||
“ | 대한민국의 제1야당 | ” |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의 사회자유주의 정당이다. 2014년 3월 26일 기존의 민주당과 안철수가 이끄는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가 통합하여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당명으로 창당하였으며, 2015년 12월 28일에 정당 이미지 쇄신 차원에서 당명을 더불어민주당으로 교체하였다. 당명 변경에 대해서는 당 명칭에서 "새정치"를 지움으로서 안철수의 흔적을 지우려 한다는 평가와 "민주당"이라는 당명을 회복하여 역사성을 되찾았다는 평가가 있다. 공식 약칭으로는 더민주를 사용한다.
목차
역대 선거결과
대통령선거
선거 | 후보 | 총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정당명 | |
---|---|---|---|---|---|---|
제5대 (1963년) | 윤보선 | 4,546,614 | 45.1% | 낙선 | 민정당 | |
제6대 (1967년) | 윤보선 | 4,526,541 | 40.9% | 낙선 | 신민당 | |
제7대 (1971년) | 김대중 | 5,395,900 | 45.3% | 낙선 | 신민당 | |
제12대 (1981년) | 유치송 | 404(간접선거) | 7.7% | 낙선 | 민주한국당 | |
제13대 (1987년) | 김대중 | 6,113,375 | 27.0% | 낙선 | 평화민주당 | |
제14대 (1992년) | 김대중 | 8,041,284 | 33.8% | 낙선 | 민주당 | |
제15대 (1997년) | 김대중 | 10,326,275 | 40.3% | 당선 | 새정치국민회의 | |
제16대 (2002년) | 노무현 | 12,014,277 | 48.9% | 당선 | 새천년민주당 | |
제17대 (2007년) | 정동영 | 6,174,681 | 26.1% | 낙선 | 대통합민주신당 | |
제18대 (2012년) | 문재인 | 14,692,632 | 48.0% | 낙선 | 민주통합당 | |
국회의원 선거
선거 | 정당명 | 총 득표수 | 획득한 국회의석수 | 결과 | 당 대표 | |
---|---|---|---|---|---|---|
제6대 (1963년) | 민정당 | 1,870,976 | 41석/175석 | 제2정당 | 윤보선 | |
제7대 (1967년) | 신민당 | 3,554,224 | 45석/175석 | 제2정당 | 유진오 | |
제8대 (1971년) | 신민당 | 4,969,050 | 89석/204석 | 제2정당 | 김홍일 | |
제9대 (1973년) | 신민당 | 3,577,300 | 52석/219석 | 제2정당 | 유진산 | |
제10대 (1978년) | 신민당 | 4,861,204 | 61석/231석 | 제2정당 | 이철승 | |
제11대 (1981년) | 민주한국당 | 3,495,829 | 81석/276석 | 제2정당 | 유치송 | |
제12대 (1985년) | 신한민주당 | 5,843,827 | 67석/276석 | 제2정당 | 이민우 | |
제13대 (1988년) | 평화민주당 | 3,783,279 | 70석/299석 | 제2정당 | 김대중 | |
제14대 (1992년) | 민주당 | 6,004,577 | 97석/299석 | 제2정당 | 김대중 | |
제15대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 4,971,961 | 79석/299석 | 제2정당 | 김대중 | |
제16대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6,780,625 | 115석/273석 | 제2정당 | 김대중 | |
제17대 (2004년) | 열린우리당 | 8,145,824 | 152석/299석 | 제1정당 | 정동영 | |
제18대 (2008년) | 통합민주당 | 4,313,111 | 81석/299석 | 제2정당 | 손학규, 박상천 | |
제19대 (2012년) | 민주통합당 | 7,777,123 | 127석/300석 | 제2정당 | 한명숙 | |
지방선거
선거 | 정당명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 광역자치의원 | 기초자치의원 | 평가 | 당 대표 | ||||
---|---|---|---|---|---|---|---|---|---|---|---|
제1회 (1995년) |
민주당 | 4석/15석 | 84석/230석 | 353석/875석 | 백중우세 | 이기택 | |||||
제2회 (1998년) |
새정치국민회의 | 6석/16석 | 84석/232석 | 271석/616석 | 백중우세 | 김대중 | |||||
제3회 (2002년) |
새천년민주당 | 4석/16석 | 44석/232석 | 143석/682석 | 열세 | 한화갑 | |||||
제4회 (2006년) |
민주당 | 2석/16석 | 20석/230석 | 80석/733석 | 276석/2888석 | 열세 | 한화갑 | ||||
제5회 (2010년) |
민주당 | 7석/16석 | 92석/228석 | 362석/762석 | 1025석/2888석 | 백중우세 | 정세균 | ||||
제6회 (2014년) |
새정치민주연합 | 9석/17석 | 80석/226석 | 349석/789석 | 1157석/2898석 | 백중열세 | 김한길, 안철수 |
정책
더불어민주당은 대체로 중도 내지는 중도우파 성향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은 시장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신자유주의는 배격하고 있다. 안보를 중요시하며, 복지 정책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미동맹에 기반을 둔 외교를 중시하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이다.
정치
- 의회정치 활성화
- 검찰, 경찰, 국정원,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권력기관의 정치적 중립 확보
-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과 개방성을 담보하는 공정 인사를 보장
- 정치인과 공직자의 비리 척결
- 지역주의 정당체제 타파,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강화, 여성과 청년의 정치참여 기회 확대
- 직접민주주의적 요소 가미
경제
- 자영업자 보호, 빈곤층 기초소득보장 및 자활 지원.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사회적 투자 및 공유경제 등에 대한 지원 확대
- 농수산업 생산자의 안정적 소득보장. 농수축협 개혁 및 활성화. 해양·수산산업 지원·육성. 농어촌 삶의 질 개선사업 실시
- 금융산업에 대한 감독과 규제 강화
복지
- 무상 보육제도와 초중등 교육제도 정착. 노후보장.
-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제도 개혁
- 건강보험 보장률 증가. 공공의료 시설 확대
- 공공임대주택 공급확대, 임대차보호 강화
일자리, 노동
-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지원
- 사회서비스 부문 일자리 늘리기
-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고용에서의 장애인, 여성에 대한 차별 철폐
- 최저임금 적정화, 사회보험료 지원 강화
- 정리해고 방지
성평등, 사회적 약자, 소수자
- 여성의 일자리 확대.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양육에 참여하도록 유도. 여성 관련 폭력과 범죄에 대한 예산 확대
- 기초노령연금 및 국민연금의 사각지대 해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내실화와 공공성 도모
- 장애인 등급제 폐지, 장애인 고용목표제 준수, 장애인 연금 확대. 이주노동자 및 결혼 이민자의 노동권, 교육권 보장, 이주민 자녀에 대한 지원 확대.
외교, 안보
-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확대
- 한미동맹을 외교의 근간으로 하여 발전
- FTA 체결을 통한 세계 시장 개척, 개방적 통상 국가 지향
- 재외동포의 참정권 보장
- 튼튼한 안보태세 확립. 군의 정치적 중립 유지. 첨단과학군, 통합전력군 건설
- 장병의 인권과 복지 강화
통일
- 핵무기, 군비증강 억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 통일외교 역량 강화
- 남북경제공동체 추진
- 이산가족 상봉 상시화
- 개성공단 확대 발전. 대륙 철도·도로·에너지 협력사업
분권과 균형발전
- 권한과 재원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양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자율성 확대
- 지역 대학생에 대한 제도적 지원, 지역 내 대학 육성. 지역언론 활성화
교육
- 보편적 교육복지. 교육제정 확대. 고등학교 교육 의무화
- 저소득계층, 조손 및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족,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한 배려 강화
- 대학 간 서열화 등 학벌효과 해소
- 입시 위주의 교육을 전면적으로 개혁
- 대학교의 공공성 확대.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 지역별 대학의 균형적 발전
- 평생학습사회 실현
과학기술
- 과학기술인의 경영 및 정책결정자로의 진출 지원. 정년 이후 근로 확대.
-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민간 평가기구 구축
- 과학기술정책 총괄부서 설립
-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연구개발 협력 지원
문화, 예술, 체육
- 국가적 지원 확대, 표현의 자유 보장
- 고부가가치 관광여가산업 육성
언론, 미디어
- 권력 감시와 비판 보장. 국민에 의한 언론공정성검증시스템 구축
- 선정적이고 유해한 미디어 환경 개선
- 미디어 시장의 경쟁체제 도입
환경, 에너지
- 에너지 공급보다는 수요통제(=에너지 절약)를 중시. 원전을 점진적으로 축소
- 사전예방원칙에 입각한 개발
- 에너지 저소비 경제구조로의 전환
- 남북한 환경협력
외부 링크
대한민국의 원내정당 |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열 정당 | |
---|---|
해방 직후 | |
이승만 정권 | |
윤보선 정권 |
민주당(1955년 창당)* • 통일당 |
박정희 정권 | |
전두환 정권 | |
노태우 정권 (삼당합당 이전) | |
노태우 정권 (삼당합당 이후) | |
김영삼 정권 | |
김대중 정권 | |
노무현 정권 | |
이명박 정권 | |
박근혜 정권 | |
문재인 정권 | |
별표(*) 표시는 여당을 의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