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노선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철도 노선 | ||
+ | |노선 = 충북선 | ||
+ |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
+ | |그림 = [[파일:청주역.jpg|300픽셀]]<br>충북선의 주요 정차역인 청주역<br>[[파일:충북선.jpg|300픽셀]] | ||
+ | |한글 표기 = 충북선 | ||
+ | |영문 표기 = Chungbuk Line | ||
+ | |한자 표기 = 忠北線 | ||
+ | |소재국 = {{태극기}} [[대한민국]] |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 | |위탁 운영 = | ||
+ | |기점 = [[조치원역]] | ||
+ | |종점 = [[봉양역]] | ||
+ | |운행 계통 = | ||
+ | |궤간 = 1,435㎜ (표준궤) | ||
+ | |선로 = 1 (조치원-오송) / 2 (오송-봉양) | ||
+ | |열차 편성 = | ||
+ | |영업 거리 = 115.0km | ||
+ | |소요 시간 = 1시간 35분 (조치원-제천<ref>제천역은 충북선은 아니지만 모든 충북선 여객열차의 시·종착역이다.</ref>, 무궁화호) | ||
+ | |표정 속도 = 77km/h (〃) |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0편 운행 (〃) | ||
+ | |개통일 = 1921년 11월 1일 | ||
+ | |폐선일 = | ||
+ | }} | ||
+ | |||
+ | {{대사|충청북도를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 | ||
+ | |||
'''충북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소재의 [[봉양역]]을 잇는 길이 115.0km의 [[대한민국]] 간선 [[철도]] [[노선]]으로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6이며 공식적인 지선 노선은 없다. | '''충북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소재의 [[봉양역]]을 잇는 길이 115.0km의 [[대한민국]] 간선 [[철도]] [[노선]]으로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6이며 공식적인 지선 노선은 없다. | ||
− | 19개 정거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화물 취급역은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역]], [[청주공항역]], [[도안역]], [[음성역]], [[달천역]], [[충주역]] 등 | + | 19개 정거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화물 취급역은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역]], [[청주공항역]], [[도안역]], [[음성역]], [[달천역]], [[충주역]] 등 8개 역이며 그 외 역에서는 여객 업무만을 수행한다. 역간 평균 거리는 6.05km, 최단 거리는 [[오근장역]]과 [[청주공항역]]의 2.9km, 최장 거리는 [[청주역]]과 [[오근장]]역의 10.1km이다. |
+ | |||
+ | 기점인 [[조치원역]]과 종점인 [[봉양역]]에서 각각 [[경부본선]]과 [[중앙본선]]과 접속하며, [[오송역]]에서 [[오송선]]과 접속한다. | ||
+ | |||
+ | == 노선표 == | ||
+ |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충북선의 공식적인 종점은 봉양역이며, [[제천역]]은 충북선이 아닌 [[중앙선]]의 역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충북선 여객열차는 제천역을 시·종착역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편의를 위해 제천역도 노선표에 함께 표기하였다.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 | ||
+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 | | colspan = "7" | | ||
+ | |- | ||
+ | ![[조치원역|조치원]] | ||
+ | |0.0 | ||
+ | |0.0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경부선}} | ||
+ | | colspan="2"| [[세종특별자치시]] | ||
+ | |- | ||
+ | ![[오송역|오송]] | ||
+ | |4.4 | ||
+ | |4.4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호남고속선}} | ||
+ | | rowspan="11"| [[충청북도]] | ||
+ | | rowspan="4"| [[청주시]] | ||
+ | |- | ||
+ | ![[청주역|청주]] | ||
+ | |7.0 | ||
+ | |11.4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 ||
+ | ![[오근장역|오근장]] | ||
+ | |10.1 | ||
+ | |21.5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 ||
+ | ![[청주공항역|청주공항]] | ||
+ | |2.9 | ||
+ | |24.4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 ||
+ | ![[증평역|증평]] | ||
+ | |12.2 | ||
+ | |36.6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증평군]] | ||
+ | |- | ||
+ | ![[음성역|음성]] | ||
+ | |23.0 | ||
+ | |59.6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음성군]] | ||
+ | |- | ||
+ | ![[주덕역|주덕]] | ||
+ | |12.3 | ||
+ | |71.9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rowspan="3"| [[충주시]] | ||
+ | |- | ||
+ | ![[충주역|충주]] | ||
+ | |10.8 | ||
+ | |82.7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 ||
+ | ![[삼탄역|삼탄]] | ||
+ | |17.9 | ||
+ | |100.6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 ||
+ | ![[봉양역|봉양]] | ||
+ | |14.4 | ||
+ | |115.0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중앙선}} | ||
+ | | rowspan="2"| [[제천시]] | ||
+ | |- | ||
+ | ![[제천역|(제천)]] | ||
+ | | | ||
+ | |<nowiki>+</nowiki>7.1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중앙선}} · {{철도 링크|태백선}} | ||
+ | |- | ||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 | | colspan = "7" | | ||
+ | |- | ||
+ | |}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 [[분류: | + | [[분류:충북선| ]] |
2023년 10월 30일 (월) 12:54 기준 최신판
![]() 충북선의 주요 정차역인 청주역 ![]() | |
한글 표기 | 충북선 |
---|---|
영문 표기 | Chungbuk Line |
한자 표기 | 忠北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조치원역 |
종점 | 봉양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조치원-오송) / 2 (오송-봉양) |
영업 거리 | 115.0km |
소요 시간 | 1시간 35분 (조치원-제천[1],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77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0편 운행 (〃) |
개통일 | 1921년 11월 1일 |
“ | 충청북도를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 | ” |
충북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소재의 봉양역을 잇는 길이 115.0km의 대한민국 간선 철도 노선으로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6이며 공식적인 지선 노선은 없다.
19개 정거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화물 취급역은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역, 청주공항역, 도안역, 음성역, 달천역, 충주역 등 8개 역이며 그 외 역에서는 여객 업무만을 수행한다. 역간 평균 거리는 6.05km, 최단 거리는 오근장역과 청주공항역의 2.9km, 최장 거리는 청주역과 오근장역의 10.1km이다.
기점인 조치원역과 종점인 봉양역에서 각각 경부본선과 중앙본선과 접속하며, 오송역에서 오송선과 접속한다.
노선표[편집]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충북선의 공식적인 종점은 봉양역이며, 제천역은 충북선이 아닌 중앙선의 역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충북선 여객열차는 제천역을 시·종착역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편의를 위해 제천역도 노선표에 함께 표기하였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조치원 | 0.0 | 0.0 | 무궁화 | 경부선 | 세종특별자치시 | |
오송 | 4.4 | 4.4 | 무궁화 | 경부고속선 · 호남고속선 | 충청북도 | 청주시 |
청주 | 7.0 | 11.4 | 무궁화 | |||
오근장 | 10.1 | 21.5 | 무궁화 | |||
청주공항 | 2.9 | 24.4 | 무궁화 | |||
증평 | 12.2 | 36.6 | 무궁화 | 증평군 | ||
음성 | 23.0 | 59.6 | 무궁화 | 음성군 | ||
주덕 | 12.3 | 71.9 | 무궁화 | 충주시 | ||
충주 | 10.8 | 82.7 | 무궁화 | |||
삼탄 | 17.9 | 100.6 | 무궁화 | |||
봉양 | 14.4 | 115.0 | 무궁화 | 중앙선 | 제천시 | |
(제천) | +7.1 | 무궁화 | 중앙선 · 태백선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
- ^ 제천역은 충북선은 아니지만 모든 충북선 여객열차의 시·종착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