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인구밀도 = 220 | |인구밀도 = 220 | ||
|남녀성비 = | |남녀성비 = | ||
− | |단체장 = [[ | + | |단체장 = [[송하진]] ([[새정치연합]]) |
|상징새 = [[까치]] | |상징새 = [[까치]] | ||
|상징꽃 = [[백일홍]] | |상징꽃 = [[백일홍]] |
2014년 6월 7일 (토) 23:46 판
전라북도 | |
---|---|
![]() | |
표어 | 천년의비상 전라북도 |
한글 표기 | 전라북도 |
한자 표기 | 全羅北道 |
구분 | 광역자치단체(도) |
구성 | 6시 8군 |
인구 | 177만 7220 |
면적 | 8,067㎢(㎢) |
인구밀도 | 220(명/㎢) |
단체장 | 송하진 (새정치연합) |
상징새 | 까치 |
상징꽃 | 백일홍 |
상징나무 | 은행나무 |
전라북도(한자: 全羅北道)는 호남 지역 중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도이다. 도청소재지는 전주시이다.
전라북도의 지리적 특성
전라북도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족으로는 경상남도,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북쪽으로는 충청남도와 인접해 있다. 서쪽으로는 황해를 접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전체 면적은 8,061.41km²로서, 대한민국 전체의 8.1%에 해당한다.
동쪽으로는 노령산맥 및 소백산맥이 위치한 반면 서쪽으로는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에 대한민국 최대의 평야인 호남평야가 드넓게 펼쳐져 있어 비옥한 곡창지대를 이룬다.
교통과 산업
1960년대 호남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호남 지역의 산업화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특히 전북 지역은 장항선, 호남선, 전라선의 3개의 철도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여 군산시-익산시-전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 공업 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황해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인 군산시는 자동차, 식품, 제지 공업이 발달하였다. 현재 군산 앞바다는 새만금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며, 새만금 사업이 완료되면 283km²의 공업 및 농업용 토지를 새로 얻게 되어 호남 지역의 산업 발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호남 공업지대는 산업화가 많이 이루어졌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의 산업 위주이다. 예를 들어, 전주는 한지와 부채가, 익산시에서는 예로부터 보석 가공업이 발달하였으며, 남원시는 질 좋은 목기 생산지로 유명하다.
관광지
동쪽의 노령산맥, 서쪽의 황해안과 관련한 자연 경관을 만나 볼 수 있으며, 임진왜란 당시 피해를 받지 않아 백제 및 조선시대의 문화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행정 구역
시
군
같이 보기
외부 링크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 |
---|---|
특별시 | |
광역시 | |
도 | |
특별자치시 | |
특별자치도 |
새로운 전북, 특별한 기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