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특징 == | == 특징 == | ||
− | |||
− | |||
=== 합정역 5번 출구 === | === 합정역 5번 출구 === | ||
2019년, [[MBC]]의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유산슬]](유재석)이 <[[합정역 5번 출구]]>라는 [[트로트]] 곡을 발표하였다. 이 곡에서는 "합치면 정이 되는 합정인데 왜 우리는 갈라서야 하나"는 가사를 통해 합정이라는 역명과, 2호선과 6호선이 만나고 갈라지는 합정역의 특징에 빗대어 이별의 슬픔을 표현하였다. 다만, 실제 합정역의 합정은 정을 합하다는 뜻인 "合情"이 아닌 "合井"이다. | 2019년, [[MBC]]의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유산슬]](유재석)이 <[[합정역 5번 출구]]>라는 [[트로트]] 곡을 발표하였다. 이 곡에서는 "합치면 정이 되는 합정인데 왜 우리는 갈라서야 하나"는 가사를 통해 합정이라는 역명과, 2호선과 6호선이 만나고 갈라지는 합정역의 특징에 빗대어 이별의 슬픔을 표현하였다. 다만, 실제 합정역의 합정은 정을 합하다는 뜻인 "合情"이 아닌 "合井"이다. | ||
36번째 줄: | 34번째 줄: | ||
=== 합정역 상권 === | === 합정역 상권 === | ||
+ | [[파일:합정역버튜버광고.jpg|300픽셀|섬네일|합정역에 설치된 [[버튜버]] 생일 축하 광고]] | ||
+ | |||
원래 합정역 인근은 저밀도 주거지역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메세나 폴리스 아파트 등의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서면서 마포구의 주요 상권으로 성장하였다. 합정역 상권은 홍대 상권의 확장으로 인해 사실상 홍대 상권의 일부로 여겨져왔으며, 6호선 라인을 따라 서쪽의 [[망원역]], 동쪽의 [[상수역]] 상권과도 연계되어 있다. | 원래 합정역 인근은 저밀도 주거지역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메세나 폴리스 아파트 등의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서면서 마포구의 주요 상권으로 성장하였다. 합정역 상권은 홍대 상권의 확장으로 인해 사실상 홍대 상권의 일부로 여겨져왔으며, 6호선 라인을 따라 서쪽의 [[망원역]], 동쪽의 [[상수역]] 상권과도 연계되어 있다. | ||
2025년 5월 17일 (토) 14:52 기준 최신판
![]() ●2호선 승강장 ![]() ●6호선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Hapjeong |
---|---|
한자 역명 | 合井 |
소재지 | ![]() |
역 번호 | 238 (2호선) 622 (6호선) |
운영 | ![]() |
노선 | ![]() ![]() |
승강장 구조 | 상대식 승강장 (2호선, 6호선) |
개역일 | 1984년 5월 22일 (2호선) 2000년 12월 15일 (6호선) |
“ | 합치면 정이 되는 합정인데 왜 우리는 갈라서야 하나 | ” |
합정역(한자: 合井驛)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및 합정동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2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6호선의 전철역이다.
역명[편집]
합정역의 합정을 한자로 풀이해보면 合井, 그러니까 "우물을 합하다"는 이상한 뜻이 된다. 사실 합정의 합은 합할 합(合)이 아니라 조개 합(蛤)이다. 즉, 합정(蛤井)은 "조개우물"이라는 뜻이다. 조선 시대에 이곳은 한양 도성의 변두리로서, 사형수를 처형하던 장소였다. 그래서 현재의 절두산 순교성지 인근에 망나니들이 칼을 씻는 우물이 있었는데, 이 우물에 민물조개가 많았다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우물 바로 앞쪽으로 한강이 흐르고 있어 조개가 많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지명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표기의 편의성을 위해 합정의 합을 蛤에서 合으로 간략화 시켜 현재의 지명인 合井으로 굳어졌다.
특징[편집]
합정역 5번 출구[편집]
2019년, MBC의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유산슬(유재석)이 <합정역 5번 출구>라는 트로트 곡을 발표하였다. 이 곡에서는 "합치면 정이 되는 합정인데 왜 우리는 갈라서야 하나"는 가사를 통해 합정이라는 역명과, 2호선과 6호선이 만나고 갈라지는 합정역의 특징에 빗대어 이별의 슬픔을 표현하였다. 다만, 실제 합정역의 합정은 정을 합하다는 뜻인 "合情"이 아닌 "合井"이다.
이 노래는 실존하는 서울 지하철 역명이 대중가요의 제목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는데, 비슷한 사례로는 동물원이 부른 <시청앞 지하철 역에서>(1990년) 정도가 있다. 실제로 합정역 5번 출구로 나가 보면 특별한 것 없이 합정역 상권만이 펼쳐져 있다.
합정역 상권[편집]

원래 합정역 인근은 저밀도 주거지역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메세나 폴리스 아파트 등의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서면서 마포구의 주요 상권으로 성장하였다. 합정역 상권은 홍대 상권의 확장으로 인해 사실상 홍대 상권의 일부로 여겨져왔으며, 6호선 라인을 따라 서쪽의 망원역, 동쪽의 상수역 상권과도 연계되어 있다.
2017년, 애니플러스샵 1호점이 합정역 9번 출구 앞에 문을 열면서 합정역 일대가 오타쿠 문화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애니플러스샵은 단순한 굿즈 판매 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과의 공식 콜라보레이션 카페를 주기적으로 유치하여 오타쿠들이 꾸준하게 방문하는 장소로 자리잡았다. 그 결과, 합정역 상권은 홍대 상권의 애니메이션 관련 굿즈샵들과 자연스레 연계되어 이른바 "오타쿠 투어"가 가능한 거대한 벨트를 형성하게 되었다. 실제로 합정역 내부 곳곳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또는 버튜버의 생일을 축하하는 "생일 축하 광고"로 도배되어 있어, 역에서부터 오타쿠 문화를 진하게 느낄 수 있다.
YG엔터테인먼트가 인근에 있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지 역할도 하고 있다.
알고 계셨나요?[편집]
-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부실공사 논란으로 철거된 당산철교 재시공으로 인해 2호선 합정역~당산역 구간의 영업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시기 동안, 합정역은 2호선의 시종착역 기능을 하였습니다.
- 합정역 인근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절두산 순교성지가 있습니다. 절두산(切頭山)은 "머리를 자르는 산"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에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던 장소였습니다. 현재는 천주교의 대표적인 성지로 많은 천주교인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 |
---|---|
순환선 | |
성수선 | |
신정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