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종합운동장역
●7호선 승강장 ●서해선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Bucheon Stadium |
---|---|
한자 역명 | 富川綜合運動場 |
소재지 | 경기도 부천시 |
역 번호 | 752 (7호선) S15 (서해선) |
운영 | |
노선 | · 서해 |
개역일 | 2012년 10월 27일 |
“ |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이 만나는 역 | ” |
부천종합운동장역(한자: 富川綜合運動場驛)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과 오정구 여월동에 걸쳐 있는 서울 도시철도 7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역사와 미래[편집]
2012년 10월 27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온수역~부평구청역 구간 연장 개통에 따라 개역하였다. 2023년에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김포공항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부천종합운동장역은 7호선과 서해선의 환승역이 되었다. 앞으로의 발전이 더욱 기대되는 곳으로, GTX 노선 중에서 GTX-B, GTX-D, GTX-F 노선이 부천종합운동장에 정차할 예정이다. 예정대로 모든 GTX가 개통하게 되면,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총 5개의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 교통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특징[편집]
7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서해선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있으며 두 역은 T자 모양으로 교차하고 있다. 언뜻 들으면 3층만 오르내리면 환승이 가능할 것 같으나, 생각보다 서해선 승강장이 깊은 곳에 있어서 환승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한참 오르내려야 환승이 가능하다. 환승 통로는 길이가 긴 만큼 계단 없이 에스컬레이터만 3줄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행 2줄, 하행 1줄로 구성되어 있다.
서해선 승강장의 폭이 아주 좁다는 문제가 있다. 서해선보다 10년이나 먼저 지어진 7호선 승강장의 경우, 섬식 승강장임에도 불구하고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승강장에 여유가 있다. 그러나 서해선은 확장이 용이한 상대식 승강장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승강장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 연결통로가 있는 곳은 성인 남성 2명이 겨우 비켜갈 정도로 좁아터졌다.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상봉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자양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고속터미널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석남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