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토리
![]() | |
구분 | 위키 사이트 |
---|---|
언어 | 한국어 |
국가 | 대한민국 |
운영자 | 중앙 미디어 네트워크 |
영리성 | 비영리 |
오픈일 | 2008년 11월 3일 |
종료일 | 2011년 8월 24일 |
오픈토리(Opentory)는 중앙 미디어 네트워크(JMnet)에서 운영했던 위키기반 백과사전 사이트이다. 2011년 8월 24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개요 및 역사[편집]
2008년 11월 3일 중앙 미디어 네트워크에서 보유하고 있던 12만건의 표제어로 시작했다. 사이트명인 오픈토리는 Open+Tory의 합성어로, Open은 웹 2.0기반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공간, Tory는 Story, histroy 등의 tory에서 따와 지식과 사람과 관련된 모든 것을 뜻한다고 한다.
2011년 8월 24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공지를 올리고 다음 날 폐쇄되었다. 참고로 워크홀릭이란 위키 기반 사이트도 함께 시작했지만 해당 사이트도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문제점[편집]
일반적인 위키와는 달리 로그인, 즉 가입을 해야한 문서를 편집할 수 있어 위키 정신에 다소 어긋나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이 사이트를 위키로 봐야하는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사이트 하단에 KB 국민은행 등 스폰서나 협찬사로 보이는 기업 로고가 있었던 것도 문제. 그 외에도 회원가입 양식과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불일치, 저작권 모순[1]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IE7 기반이라 하여 다른 인터넷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글자가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했으나, 이 문제는 나중에 해결되었다.
활성도[편집]
개설 당시 가장 컸던 한국어 위키백과의 표제어 수가 약 6만이었으므로, 개설 당시에는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위키 사이트였다. 하지만 위의 문제점때문에 운영자를 제외하면 편집자가 거의 없어 정체되다시피 했으며, 그로 말미암아 얼마 안 가서 개인지성의 위엄을 보여주고 있는 위키낱말사전에 추월, 이후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추월당해서 3위로 내려갔다.
결국 2011년 8월 25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하며 대단원의 막이 내렸다. 여담이지만 스레디키가 폭파된 시기와 비슷하다..
주석[편집]
- ^ 회원 약관에는 '모든 문서는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를 따른다고 적혀 있으면서, 아래에는 '2009 www.opentory.com all Rights Reserved.'라고 적혀있었다.
외부 링크[편집]
오픈토리(접속 불가)
대한민국의 위키 | |
---|---|
서비스 중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