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경북선에서 그나마 수요가 많은 점촌역 ![]() | |
한글 표기 | 경북선 |
---|---|
영문 표기 | Gyeongbuk Line |
한자 표기 | 慶北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김천역 |
종점 | 영주역 |
운행 계통 | 경북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
영업 거리 | 115.2km |
소요 시간 | 2시간 14분 (김천-영주,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52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4편 운행 (〃) |
개통일 | 1924년 10월 1일 |
“ | 석탄을 실어나르던 철도 | ” |
경북선(한자: 慶北線)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철도 노선이다. 경부선상에 위치한 김천역을 기점으로 하며 상주역, 점촌역, 예천역 등을 거쳐 중앙선상에 위치한 영주역까지 이어진다. 김천역-영주역 구간을 무궁화호 열차로 이용할 경우에는 2시간 14분이 소요되며, 운임은 성인기준 7,200원이다. 같은 구간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경우(김천터미널-영주터미널)에는 시간은 3시간 소요에 운임은 14,400원이므로 경북선 철도가 버스에 비해 경쟁력이 있다.
그러나 경북선의 실제 수요는 안습할 정도로 적다.
역사[편집]
일제강점기이던 1924년 10월 1일 김천역과 점촌역을 잇는 경북선 구간이 개통하였다. 1937년에는 안동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가 전쟁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 이 철도의 일부를 뜯어가면서 철도영업이 중단되었다.
박정희 정권이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함에 따라 경북선은 영주역까지 연장되었다(1966년). 이로서 경북선은 김천역에서 경부선과, 영주역에서 중앙선 및 영동선과 연결되어 국가 간선 철도망의 일부가 된다. 이후 경북선은 해당 지역에서 채굴된 석탄을 실어 나르는 기능을 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1969년 5월 10일에는 경북본선의 지선인 문경선(점촌역-문경역)이 개통하였다.
1980년대 이후 석탄산업이 쇠락하면서 경북선의 수요는 안습할 정도로 감소하였다.
노선표[편집]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김천 | 0.0 | 0.0 | 무궁화 | 경부선 | 경상북도 | 김천시 |
옥산 | 20.0 | 20.0 | 무궁화 | 상주시 | ||
청리 | 7.1 | 27.1 | 무궁화 | |||
상주 | 8.9 | 36.0 | 무궁화 | |||
함창 | 19.8 | 55.8 | 무궁화 | |||
점촌 | 4.2 | 60.0 | 무궁화 | 문경시 | ||
용궁 | 6.9 | 66.9 | 무궁화 | 예천군 | ||
개포 | 6.1 | 73.3 | 무궁화 | |||
예천 | 11.7 | 85.0 | 무궁화 | |||
영주 | 30.0 | 115.0 | 무궁화 | 중앙선 · 영동선 | 영주시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