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청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철도역 |배경색 = #{{서울도시철도 색상|7}} |그림 = 320픽셀<br>승강장 |노선 = {{지하철|서울|7}} |역명 = 부천시청 |...)
 
25번째 줄: 25번째 줄:
 
중동신도시는 전반적으로 빽빽한 아파트 단지로 뒤덮혀 있어 녹지공간이 적은 편인데, 그나마 부천시청 앞으로 부천중앙공원이 있어서 시민들의 숨통을 틔어주고 있다. 부천시청 상권은 서울과 인천의 중간 지점으로서, 양쪽으로부터 폭넓은 수요를 확보할 수 있어 부천시의 도시 규모에 비해 상권의 크기가 아주 커졌다. 이 상권은 서쪽으로는 인천 [[부평구]], 동쪽으로는 시흥 신천, 은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을 모두 커버하고 있다.  
 
중동신도시는 전반적으로 빽빽한 아파트 단지로 뒤덮혀 있어 녹지공간이 적은 편인데, 그나마 부천시청 앞으로 부천중앙공원이 있어서 시민들의 숨통을 틔어주고 있다. 부천시청 상권은 서울과 인천의 중간 지점으로서, 양쪽으로부터 폭넓은 수요를 확보할 수 있어 부천시의 도시 규모에 비해 상권의 크기가 아주 커졌다. 이 상권은 서쪽으로는 인천 [[부평구]], 동쪽으로는 시흥 신천, 은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을 모두 커버하고 있다.  
  
인근의 [[신중동역]]과 마찬가지로 부천시청역은 계남고가교와 무지개교가교 사이의 지하에 있어 교각을 피해 선로를 짓느라 선로 사이 공간이 넓어졌다. 이 때문에 승강장의 너비가 극단적으로 넓은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
인근의 [[신중동역]]과 마찬가지로 부천시청역은 계남고가교와 무지개교가교 사이의 지하에 있어 교각을 피해 선로를 짓느라 선로 사이 공간이 넓어졌다. 이 때문에 승강장의 너비가 극단적으로 넓은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다만, 대부분의 구간에서 두 승강장 사이의 공간이 벽으로 막혀 있어 사실상 [[상대식 승강장]]처럼 느껴진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분류:부천시]]
 
[[분류:부천시]]

2025년 4월 27일 (일) 20:18 판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부천시청역2025.jpg
승강장
로마자 역명 Bucheon City Hall
한자 역명 富川市廳
소재지 태극기.png 경기도 부천시
역 번호 755
운영 인천교통공사 로고.jpg
노선 Seoul Metro Line 7.png
승강장 구조 섬식 승강장
개역일 2012년 10월 27일

부천시청역(한자: 富川市廳驛)은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

중동신도시 중심 상권에 위치한 역으로, 부천시청이 인근에 있어 부천시청역이 되었다. 이마트 중동점, 현대백화점 중동점 등의 대형 상업시설이 위치하며, 현대백화점 뒤쪽으로는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어 20~40대 유동인구가 많다. 2012년에 7호선 부천시청역이 개통하면서 부천시의 최대 번화가 타이틀은 기존의 1호선 부천역에서 부천시청역으로 바뀌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동신도시는 전반적으로 빽빽한 아파트 단지로 뒤덮혀 있어 녹지공간이 적은 편인데, 그나마 부천시청 앞으로 부천중앙공원이 있어서 시민들의 숨통을 틔어주고 있다. 부천시청 상권은 서울과 인천의 중간 지점으로서, 양쪽으로부터 폭넓은 수요를 확보할 수 있어 부천시의 도시 규모에 비해 상권의 크기가 아주 커졌다. 이 상권은 서쪽으로는 인천 부평구, 동쪽으로는 시흥 신천, 은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을 모두 커버하고 있다.

인근의 신중동역과 마찬가지로 부천시청역은 계남고가교와 무지개교가교 사이의 지하에 있어 교각을 피해 선로를 짓느라 선로 사이 공간이 넓어졌다. 이 때문에 승강장의 너비가 극단적으로 넓은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다만, 대부분의 구간에서 두 승강장 사이의 공간이 벽으로 막혀 있어 사실상 상대식 승강장처럼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