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노선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폐선일 = | |폐선일 = | ||
}} | }} | ||
+ | [[파일:인천도시철도1호선내부.jpg|300픽셀|섬네일|인천 도시철도 1호선 차량 내부]] | ||
{{대사|인천의 첫 도시철도 노선}} | {{대사|인천의 첫 도시철도 노선}} |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 최초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 최초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인천광역시는 이 노선의 개통으로 [[서울]], [[부산]], [[대구]]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로 도시철도를 가진 도시가 되었다. |
− | |||
− | |||
− | |||
− | + | [[1999년]] [[10월 6일]]에 [[박촌역]]↔[[동막역]] 구간이 개통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는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검단호수공원역]]과 [[연수구]]의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을 잇는 총 길이 37.1km의 노선이다. 역 개수는 33개이며, 기점에서 종점까지 완주하는 데에는 1시간 6분이 걸린다. 인천 중심부를 남북으로 크게 가로지르며 주요 주거지역과 상권을 속속 훑어가고 있으며 서울 방면으로 향하는 여러 도시철도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므로 특히 출퇴근시간대에는 여느 서울 지하철 노선 못지 않게 극심한 혼잡도를 보인다. 특히 [[계양역]]<sup>[[인천국제공항철도]]</sup>, [[부평역]]<sup>[[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 1호선]]</sup>, [[부평구청역]]<sup>[[서울 도시철도 7호선|서울 7호선]]</sup>, [[원인재역]]<sup>[[수인분당선]]</sup> 등 주요 환승역 구간은 지옥 그 자체. | |
− | 인천선이라 표현하기도 하는데 간혹 경인선과 인천선을 혼동하는 예도 보인다. | + |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노선 상징색은 인천의 [[바다]]와 [[하늘]]을 연상시키는 <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인천1}}">●'''연청색'''</font>이다. 인천선이라 표현하기도 하는데 간혹 경인선과 인천선을 혼동하는 예도 보인다. |
2020년에 [[국제업무지구역]]에서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연장 개통하였다. [[2025년]]에는 북쪽으로 [[계양역]]에서 [[검단호수공원역]]까지 연장 개통하여 인천 검단신도시 주민들도 도시철도의 직접 수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2020년에 [[국제업무지구역]]에서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연장 개통하였다. [[2025년]]에는 북쪽으로 [[계양역]]에서 [[검단호수공원역]]까지 연장 개통하여 인천 검단신도시 주민들도 도시철도의 직접 수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2025년 7월 10일 (목) 14:31 기준 최신판
![]() | |
한글 표기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영문 표기 | Incheon Metro Line 1 |
한자 표기 | 仁川 都市鐵道 1號線 |
소재국 | ![]() |
소유 | 인천광역시 |
운영 | ![]() |
기점 | 검단호수공원 |
종점 | 송도달빛축제공원 |
운행 계통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8량 1편성 |
영업 거리 | 37.1km |
소요 시간 | 66분 |
표정 속도 | 32.5km/h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4~5분, 평상시 8~9분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
“ | 인천의 첫 도시철도 노선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 최초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인천광역시는 이 노선의 개통으로 서울, 부산, 대구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로 도시철도를 가진 도시가 되었다.
1999년 10월 6일에 박촌역↔동막역 구간이 개통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는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검단호수공원역과 연수구의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을 잇는 총 길이 37.1km의 노선이다. 역 개수는 33개이며, 기점에서 종점까지 완주하는 데에는 1시간 6분이 걸린다. 인천 중심부를 남북으로 크게 가로지르며 주요 주거지역과 상권을 속속 훑어가고 있으며 서울 방면으로 향하는 여러 도시철도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므로 특히 출퇴근시간대에는 여느 서울 지하철 노선 못지 않게 극심한 혼잡도를 보인다. 특히 계양역인천국제공항철도, 부평역서울 1호선, 부평구청역서울 7호선, 원인재역수인분당선 등 주요 환승역 구간은 지옥 그 자체.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노선 상징색은 인천의 바다와 하늘을 연상시키는 ●연청색이다. 인천선이라 표현하기도 하는데 간혹 경인선과 인천선을 혼동하는 예도 보인다.
2020년에 국제업무지구역에서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연장 개통하였다. 2025년에는 북쪽으로 계양역에서 검단호수공원역까지 연장 개통하여 인천 검단신도시 주민들도 도시철도의 직접 수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연혁[편집]
- 1999년 10월 6일: 박촌역~동막역 구간 우선 개통
- 1999년 12월 7일: 귤현역~박촌역 구간 개통 (1단계 완전개통)
- 2007년 3월 16일: 인천국제공항철도와의 환승을 위해 귤현역~계양역 구간 연장 개통
- 2009년 6월 1일: 송도국제신도시 동막역~국제업무지구역 구간 연장 개통
- 2020년 12월 12일: 국제업무지구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 구간 연장 개통
- 2025년 6월 28일: 검단신도시 계양역~검단호수공원역 구간 연장 개통
노선표[편집]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I107 | 검단호수공원 | - | -6.7 | 검단호수공원(예정) | |
I108 | 신검단중앙 | 0.8 | -5.9 | 신검단중앙역사거리 | |
I109 | 아라 | 1.9 | -4.0 | 아라동 행정복지센터 | |
I110 | 계양 | 4.0 | 0.0 | ![]() |
계양대교, 계양중학교 |
I111 | 귤현 | 0.9 | 0.9 | 귤현차량사업소 | |
I112 | 박촌 | 1.5 | 2.4 | 인천세원고등학교 | |
I113 | 임학 | 1.1 | 3.5 | 임학중학교 | |
I114 | 계산 | 1.1 | 4.6 | 계산2동행정복지센터 | |
I115 | 경인교대입구 | 0.9 | 5.5 | 경인교육대학교 | |
I116 | 작전 | 0.9 | 6.4 | 작전역사거리 | |
I117 | 갈산 | 1.4 | 7.8 | 갈산근린공원 | |
I118 | 부평구청 | 1.0 | 8.8 | ![]() |
부평구청, 부평세림병원 |
I119 | 부평시장 | 1.1 | 9.9 | 부평시장 | |
I120 | 부평 | 0.9 | 10.8 | ![]() |
부평 문화의거리 |
I121 | 동수 | 0.9 | 11.7 | 부일여자중학교 | |
I122 | 부평삼거리 | 1.1 | 12.8 | 인천가족공원 | |
I123 | 간석오거리 | 1.2 | 14.0 | 간석오거리 | |
I124 | 인천시청 | 1.4 | 15.4 | 인천2 | 인천광역시청 |
I125 | 예술회관 | 1.0 | 16.4 | 인천문화예술회관 | |
I126 | 인천터미널 | 0.8 | 17.2 | 인천종합터미널 | |
I127 | 문학경기장 | 0.8 | 18.0 | 인천문학경기장 인천SSG랜더스필드 | |
I128 | 선학 | 0.8 | 18.8 | 인천아시안게임 선학경기장 | |
I129 | 신연수 | 1.1 | 19.9 | 연수3동 행정복지센터 | |
I130 | 원인재 | 0.9 | 20.8 | 수인분당 | 원인재, 연수체육공원 |
I131 | 동춘 | 1.1 | 21.9 | 이마트 연수점 | |
I132 | 동막 | 1.0 | 22.9 | 인천환경공단 | |
I133 | 캠퍼스타운 | 1.6 | 24.5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 |
I134 | 테크노파크 | 0.8 | 25.3 | 송도현대프리미엄아울렛 | |
I135 | 지식정보단지 | 1.4 | 26.7 | 지식정보산업단지 | |
I136 | 인천대입구 | 1.0 | 27.7 | 송도컨벤시아 | |
I137 | 센트럴파크 | 0.9 | 28.6 | 송도 센트럴파크 | |
I138 | 국제업무지구 | 0.8 | 29.4 | 연수세무서, 인천항만공사 | |
I139 | 송도달빛축제공원 | 2.0 | 33.0 | 송도달빛축제공원 | |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