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서울지하철 링크|" 문자열을 "{{지하철|서울|" 문자열로)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도시 정보 | |
− | [[파일:신분당선.jpg| | + | | 이름 = 성남시 |
− | {{대사|분당신도시를 품은 | + | | 한자 = 城南市 |
− | '''성남시'''({{llang|ko-Hani|城南市}})는 [[경기도]]에서 [[수원시]]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 + | | 그림 = 분당신도시.jpg |
+ | | 그림설명 = 분당구 정자동 | ||
+ | | 휘장 = 성남휘장.png | ||
+ | | 슬로건 = 성남슬로건.jpg | ||
+ | | 지도 = | ||
+ | | 지도설명 = | ||
+ | | 지도너비 = | ||
+ | | 시청소재지 = [[중원구]] 성남대로 997 | ||
+ | | 구 = 3 | ||
+ | | 군 = | ||
+ | | 읍 = | ||
+ | | 면 = | ||
+ | | 행정동 = 50 | ||
+ | | 단체장 = [[은수미]] ([[더불어민주당]]) | ||
+ | | 인구 = 948582 | ||
+ | | 인구년도 = 2019 | ||
+ | | 면적 = 141 | ||
+ | | 시목 = [[은행나무]] | ||
+ | | 시화 = [[철쭉]] | ||
+ | | 시조 = [[까치]] | ||
+ | | 지역 = [[경기도]] | ||
+ | | 지역번호 = 031 | ||
+ | | 웹사이트 = [https://www.seongnam.go.kr/main.do www.seongnam.go.kr] | ||
+ | }} | ||
+ | [[파일:신분당선.jpg|250픽셀|섬네일|[[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 지하철은 성남과 서울을 연결한다.]] | ||
+ | {{대사|분당신도시를 품은 경기도 남부 최대의 위성도시}} | ||
+ | '''성남시'''({{llang|ko-Hani|城南市}})는 [[경기도]]에서 [[수원시]]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19년 기준으로 성남시의 인구는 94만 명으로, 거의 10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성남시는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위성도시]] 중 하나로서, [[수도권]]의 인구분담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다. [[창원시]]와 함께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1970~80년대에 추진된 계획도시로서, 원래 전자, 섬유, 석유화학 산업 시설 등이 집약된 공업 도시로 만들려 했다. 성남시는 계획도시의 특성상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다. 1990년대에는 [[분당]] 신도시 지역이 개발되면서 성남시가 대도시로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 ||
− | 서울특별시의 인구가 과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정부에서는 공기업 및 사기업 본사를 분당 지역으로 이전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 + | 서울특별시의 인구가 과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정부에서는 공기업 및 사기업 본사를 분당 지역으로 이전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
지난 [[2009년]]에는 인근의 [[하남시]] 및 [[광주시]]와의 통합 논의가 불붙었다. 하지만 세 도시의 생활권 자체가 겹치지 않고 [[산(지형)|산]]이나 군부대 등에 의해 따로 분리된 상태이고, 특히 통합의 주축이 되는 성남시와 하남시의 경우 두 도시를 잇는 교통망조차 미비한 상황이라 애초에 통합시도 자체가 무리였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2010년]] 초에 통합 안이 계류되면서 사실상 무산되었다. | 지난 [[2009년]]에는 인근의 [[하남시]] 및 [[광주시]]와의 통합 논의가 불붙었다. 하지만 세 도시의 생활권 자체가 겹치지 않고 [[산(지형)|산]]이나 군부대 등에 의해 따로 분리된 상태이고, 특히 통합의 주축이 되는 성남시와 하남시의 경우 두 도시를 잇는 교통망조차 미비한 상황이라 애초에 통합시도 자체가 무리였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2010년]] 초에 통합 안이 계류되면서 사실상 무산되었다. | ||
성남시는 [[K 리그]] 축구팀인 [[성남 일화 천마]]의 홈이기도 하다. | 성남시는 [[K 리그]] 축구팀인 [[성남 일화 천마]]의 홈이기도 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구역 == | == 행정구역 == | ||
41번째 줄: | 51번째 줄: | ||
== 교통 == | == 교통 == | ||
=== 지하철 === | === 지하철 === | ||
− | * {{지하철|서울| | + | * {{지하철|서울|수인분당}} |
** [[서울특별시]] [[송파구]] ← [[가천대역]] - [[태평역]] - [[파일:삼태극.png|20픽셀]] [[모란역]] -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 [[수내역]]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정자역]] - [[미금역]] - [[오리역]] → [[경기도]] [[용인시]] | ** [[서울특별시]] [[송파구]] ← [[가천대역]] - [[태평역]] - [[파일:삼태극.png|20픽셀]] [[모란역]] -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 [[수내역]]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정자역]] - [[미금역]] - [[오리역]] → [[경기도]] [[용인시]] | ||
* {{지하철|서울|8}} | * {{지하철|서울|8}} | ||
57번째 줄: | 67번째 줄: | ||
{{경기도}} | {{경기도}} | ||
− | |||
− |
2020년 10월 4일 (일) 12:30 기준 최신판
성남시 | |||||
城南市 | |||||
![]() 분당구 정자동 | |||||
| |||||
행정 | |||||
지역 | 경기도 | ||||
---|---|---|---|---|---|
행정구역 | 3구 50행정동 | ||||
시청소재지 | 중원구 성남대로 997 | ||||
시장 | 은수미 (더불어민주당) | ||||
인구 | |||||
인구 | 948,582 명 (2019년) | ||||
지리 | |||||
면적 | 141 km2 |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
시화 | 철쭉 | ||||
시조 | 까치 | ||||
기타 | |||||
지역번호 | 031 | ||||
“ | 분당신도시를 품은 경기도 남부 최대의 위성도시 | ” |
성남시(한자: 城南市)는 경기도에서 수원시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19년 기준으로 성남시의 인구는 94만 명으로, 거의 10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성남시는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위성도시 중 하나로서, 수도권의 인구분담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다. 창원시와 함께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1970~80년대에 추진된 계획도시로서, 원래 전자, 섬유, 석유화학 산업 시설 등이 집약된 공업 도시로 만들려 했다. 성남시는 계획도시의 특성상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다. 1990년대에는 분당 신도시 지역이 개발되면서 성남시가 대도시로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서울특별시의 인구가 과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정부에서는 공기업 및 사기업 본사를 분당 지역으로 이전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지난 2009년에는 인근의 하남시 및 광주시와의 통합 논의가 불붙었다. 하지만 세 도시의 생활권 자체가 겹치지 않고 산이나 군부대 등에 의해 따로 분리된 상태이고, 특히 통합의 주축이 되는 성남시와 하남시의 경우 두 도시를 잇는 교통망조차 미비한 상황이라 애초에 통합시도 자체가 무리였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2010년 초에 통합 안이 계류되면서 사실상 무산되었다.
성남시는 K 리그 축구팀인 성남 일화 천마의 홈이기도 하다.
행정구역[편집]
성남시는 3개 구로 구성되어 있다.
스포츠[편집]
성남시를 연고지로 하는 K 리그 축구팀인 성남 일화 천마는 1995년과 2010년에 AFC 우승을 한 강팀이다. K 리그 우승횟수는 7회로서, 최다 우승횟수를 자랑하고 있다. 홈 경기장은 탄천종합경기장이다.
도시 문제[편집]
성남시는 초호화 시청청사 건립 등 무리한 재정운영으로 지난 2010년 7월경,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최초로 지불유예(모라토리엄)를 선언했다. 한마디로 말해서 시 자체가 파산상태에 빠진 것이다. 그러나 이재명 시장이 당선된 이후부터는 강력한 긴축재정을 실시하여 현재 시 재정은 상당히 안정된 상태이다.
교통[편집]
지하철[편집]
고속도로[편집]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성남 IC
- 경부고속도로 - 판교 IC
- 용인-서울 고속도로 - 서분당 IC, 서판교 IC, 고등 IC
주석[편집]
GO GREAT GYEONGGI, 경기도의 행정구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