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동해남부선 해운대역 ![]() | |
한글 표기 | 동해남부선 |
---|---|
영문 표기 | Donghae Nambu Line |
한자 표기 | 東海南部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부산진역 |
종점 | 포항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
영업 거리 | 143.2km |
소요 시간 | 2시간 31분 (부전-포항,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56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2편 운행 (〃) |
개통일 | 1918년 10월 31일 |
“ | 부산 - 울산 - 경주 - 포항 | ” |
동해남부선(한자: 東海南部線)은 부산과 포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남부 동해안을 따라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역사
1918년 10월 31일, 포항~경주를 잇는 구간이 첫 개통되었다. 이후 1921년 10월 25일 경주와 태화강역(울산)을 잇는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그리고 1935년 12월 16일 울산과 부산을 잇는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오늘날 동해남부선은 포항역과 부산진역을 연결하고 있으며 총 연장은 145.8km에 달한다.
개선
통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부산-울산(태화강) 구간을 복선전철화 하는 계획은 1990년에 이미 나와 있었으며, 2003년 6월부터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7년 완공 계획이다. 공사가 완공되면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부산에서 울산까지 63분 걸리던 것이 32분으로 단축될 예정이다.
울산-포항 구간 복선전철화도 2018년 완공 계획 중에 있다.
2015년부터는 포항역에서도 서울행 KTX 직통열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KTX를 이용하면 포항에서 서울까지 2시간 내로 다닐 수 있다.
노선표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부전 | 4.6 | 4.6 | 무궁화 | (경부선)[1] | 부산광역시 | 부산진구 |
수영 | 10.3 | 14.9 | 무궁화 | 해운대구 | ||
해운대 | 5.9 | 20.8 | 무궁화 | |||
송정 | 2.9 | 23.7 | (무궁화) | |||
기장 | 6.6 | 30.3 | 무궁화 | 기장군 | ||
좌천 | 8.3 | 38.6 | (무궁화) | |||
월내 | 3.4 | 42.0 | (무궁화) | |||
남창 | 11.4 | 53.4 | (무궁화) | 울산광역시 | 울주군 | |
덕하 | 9.3 | 62.7 | (무궁화) | |||
태화강 | 7.3 | 70.0 | 무궁화 | 남구 | ||
호계 | 9.6 | 79.6 | 무궁화 | 북구 | ||
불국사 | 19.1 | 98.7 | (무궁화) | 경상북도 | 경주시 | |
경주 | 11.0 | 109.7 | 무궁화 | (중앙선)[2] | ||
안강 | 17.3 | 127.0 | 무궁화 | |||
주석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