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보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Rookufer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0월 18일 (일) 20:28 판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로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1897년 윤치소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윤치소는 독립운동가 언론인이었던 윤치호의 사촌 동생이므로 윤보선은 윤치호의 조카뻘이 되는 셈이다. 그는 에든버러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하였다. 자(字)는 경천(敬天), 호는 해위(海韋)이다.[1]

5대, 6대 대통령 선거 당시 박정희의 사상 전력을 문제삼았다가 오히려 선거에서 패배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을 정신적 대통령이라고 지칭했다.

초기 활동

1919년에 여운형의 주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건너가서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임시의정원의 최연소 의원에 선출됐다. 그러나 아버지 윤치소나 당숙 윤치호이승만 등이 젊은이들을 꼬드겨서 탈선시킨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신익희가 영국으로 가보는 것은 어떻느냐는 권고하에 영국으로 건너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부한다.

해방 후

해방 후 민중일보 사장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건국 후에는 국회의장 비서실장, 서울특별시장, 대한적십자사 사장, 상공부장관 등을 지냈다. 그러나 상공부장관 재직 중 이승만이 미워하던 상공부 공무원 이태환을 해임하는 것을 거부하다가 이승만의 눈밖에 나, 이때부터 야당의 길로 들어선다.

5.10총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마하였으나 초대 서울시장에 임명되었다. 이후 상공부 장관을 지냈다. 1960년 3.15 부정선거로 4.19혁명이 일어나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 하고 내각책임제 개헌이 이루어지자 제2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내각책임제의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의 권한만 가지므로 행정에 대한 실권은 장면 총리에게 있었다. 이듬해 5월 16일, 제2공화국이 출범한 지 1년도 채 안 된 상황에서 5.16쿠데타가 일어나자 장면 내각과 함께 사퇴하려 하였으나, 국회(당시에는 민의원, 참의원의 양원으로 구성)가 해산되고 내각마저 총 사퇴한 상황에서 한국의 유일한 헌법 기관, 즉 대통령인 그마저 사퇴한다면 북한이 쳐들어와도 한국은 국제적으로 도움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하야를 연기하였고 1962년 3월 대통령직에서 하야 하였다. 이후 직선제로 환원된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에 맞서는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패배하였다.

야당 운동

5대, 6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보선은 박정희가 공산주의자라고 공격했고, 당시 민주당의 중진들인 김도연, 김준연 등도 박정희의 남로당 경력을 문제삼아 사상을 의심하는 글을 발표했으며, 민주당 구파였으나 당과 거리를 두던 허정도 박정희의 사상을 의심했다. 한민당에 반감을 가졌던 농촌지역 주민들, 특히 해방 후와 6.25 때 가족을 잃은 사람들은 박정희에게 몰표를 주는 이변이 발생했다. 6대 대선에서는 대선후보 자리를 놓고 허정과 경합했는데 그가 사퇴할 것처럼 보이다가 사퇴하지 않자 다혈질이던 허정과 심하게 싸웠고[2], 허정이 물러서는 선에서 타협을 보았다. 1972년 국민당을 창당했으나 정당해산령으로 폐쇄되었고 1979년 박정희의 암살을 계기로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1990년 사망하였다.

기타

1949년 서울특별시장 재직 중 그는 서울시내에 양변기를 도입했다. 6.25 전쟁으로 확산되지 못했지만 1960년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양변기 보급을 확산시킨다. 그러나 양변기가 지방의 중소도시들까지 확산된 것은 1980년 이후였다.

집안의 주선으로 민영환의 6촌 동생인 민영철(閔泳喆)의 딸과 결혼했다. 그러나 본부인 민씨와의 사이는 삐그덕거렸고 별거하게 된다. 그러나 민씨 부인이 1937년 사망함으로써 결혼관계는 저절로 해소된다. 1948년 한신대학교와 기독교계의 주선으로 미국 유학을 단념한 여성 신학자 공덕귀와 재혼한다.

ROKPresi.png 대한민국 대통령 ROKPresi.png
이승만 · 윤보선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노무현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윤석열
  1. ^ 해위라는 아호는 상하이에 있을 때 신규식이 지어준 별명이다. 윤보선의 본처 민씨가 낳은 딸은 신규식의 서자였던 신준호에게 시집갔다.
  2. ^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