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창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손을 이용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만든 창으로 귀신을 볼 수 있다는 주술. == 방법 == {|class="wikitable" |파일:여우창문1.png |- |엄지와 중...)
 
잔글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방법 ==
 
== 방법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class="wikitable"
 
 
|[[파일:여우창문1.png]]
 
|[[파일:여우창문1.png]]
 
|-
 
|-
32번째 줄: 31번째 줄:
  
 
참고로 이 동화는 [[일본]]의 [[초등학교]] 6학년의 국어 교과서에 등록되어 있는 지문이다. 번역은 [http://blog.naver.com/yurisume?Redirect=Log&logNo=120046984533 여기]에 되어 있다.
 
참고로 이 동화는 [[일본]]의 [[초등학교]] 6학년의 국어 교과서에 등록되어 있는 지문이다. 번역은 [http://blog.naver.com/yurisume?Redirect=Log&logNo=120046984533 여기]에 되어 있다.
 +
 +
{{도시전설}}
  
 
[[분류:도시전설]]
 
[[분류:도시전설]]

2015년 7월 8일 (수) 05:01 기준 최신판

손을 이용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만든 창으로 귀신을 볼 수 있다는 주술.

방법[편집]

여우창문1.png
엄지와 중지, 약지를 붙여 여우모양으로 만든다
여우창문2.png
여우모양이 된 양손을 그림과 같이 붙인다
여우창문3.png
그림과 같이 양손을 교차시킨다
여우창문4.png
엄지를 뒤로 빼면 여우창문이 만들어진다

주의점[편집]

여우창문을 통해 다른사람을 보면 쳐다본 사람을 저주하게 되며 자신에게도 해가 올 수 있다고 하며, 만약 본 귀신이 악령일 경우에는 만든 사람에게 들러 붙을 수도 있다고 한다.

주술에 대한 해석[편집]

주술의 이름 및 그 방법은 일본의 아와 나오꼬라는 작가가 쓴 동명의 'きつねの窓(여우의 창문)'이라는 동화에서 유래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동화 중에 여우가 손가락으로 창문을 만들어 주인공에게 보여주는 장면이 있는데, 창문에는 오래 전에 죽은 여우의 어미, 즉 귀신이 보였던 것.

책에서는 단순히 여우가 손가락으로 창문을 만들었다는 내용만 적혀있어 만드는 방법을 좀 더 복잡하고 구체화시킨 것으로 보이며, 책에서는 손을 물들여서 만들어야 하지만 주술에서는 필요없는 차이가 있다.

참고로 이 동화는 일본초등학교 6학년의 국어 교과서에 등록되어 있는 지문이다. 번역은 여기에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