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철도역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그림 = 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경전선}} |역명 = 보성 |이전역명 = 득량역|득...)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 | '''보성역'''({{llang|ko-Hani|寶城驛}})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는 [[경전선]]상의 철도역으로, 1만 명의 인구를 거느린 보성읍의 중심역이다.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의 정차역이다. 1930년 개역하였으며, 1979년에 현재의 역사가 신축되었다. 역사가 신축되기 직전인 1975년에만 하더라도 보성군의 인구는 15만 명이 넘었으므로 보성역은 보성군의 중심역으로서 많은 여객수요를 처리해야 했고 그 결과 보성역은 시골역이라기 보다는 준(準) 도시역에 가까운 형태와 규모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보성군의 인구는 5만 명 이하까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보성역은 (1970년대에 지어진 역 치고는) 도시 규모에 걸맞지 않게 큰 역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서부경전선(광주송정-순천)의 역들 중에서는 [[광주송정역]]과 [[순천역]]을 제외하면 이용객수 면에서 가장 선방하고 있다. 관광수요가 많은 편인데, 보성녹차밭(대한다원)을 구경하려는 관광객들이 이 역을 애용하고 있다. | + | '''보성역'''({{llang|ko-Hani|寶城驛}})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는 [[경전선]]상의 철도역으로, 1만 명의 인구를 거느린 보성읍의 중심역이다.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의 정차역이다. 1930년 개역하였으며, 1979년에 현재의 역사가 신축되었다. 역사가 신축되기 직전인 1975년에만 하더라도 보성군의 인구는 15만 명이 넘었고, 벌교읍을 제외해도 10만 명이 넘었으므로 보성역은 보성군의 중심역으로서 많은 여객수요를 처리해야 했고 그 결과 보성역은 시골역이라기 보다는 준(準) 도시역에 가까운 형태와 규모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보성군의 인구는 5만 명 이하까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보성역은 (1970년대에 지어진 역 치고는) 도시 규모에 걸맞지 않게 큰 역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서부경전선(광주송정-순천)의 역들 중에서는 [[광주송정역]]과 [[순천역]]을 제외하면 이용객수 면에서 가장 선방하고 있다. 관광수요가 많은 편인데, 보성녹차밭(대한다원)을 구경하려는 관광객들이 이 역을 애용하고 있다. |
{{경전선}} | {{경전선}} | ||
[[분류:보성군]] | [[분류:보성군]] |
2015년 1월 29일 (목) 18:40 판
![]() | |
로마자 역명 | Boseong |
---|---|
한자 역명 | 寶城 |
소재지 | ![]() |
정차하는 열차 | 무궁화 · S |
운영 | ![]() |
노선 | 경전선 |
승강장 구조 | 1면 2선 |
개역일 | 1968년 2월 7일 |
보성역(한자: 寶城驛)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는 경전선상의 철도역으로, 1만 명의 인구를 거느린 보성읍의 중심역이다.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의 정차역이다. 1930년 개역하였으며, 1979년에 현재의 역사가 신축되었다. 역사가 신축되기 직전인 1975년에만 하더라도 보성군의 인구는 15만 명이 넘었고, 벌교읍을 제외해도 10만 명이 넘었으므로 보성역은 보성군의 중심역으로서 많은 여객수요를 처리해야 했고 그 결과 보성역은 시골역이라기 보다는 준(準) 도시역에 가까운 형태와 규모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보성군의 인구는 5만 명 이하까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보성역은 (1970년대에 지어진 역 치고는) 도시 규모에 걸맞지 않게 큰 역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서부경전선(광주송정-순천)의 역들 중에서는 광주송정역과 순천역을 제외하면 이용객수 면에서 가장 선방하고 있다. 관광수요가 많은 편인데, 보성녹차밭(대한다원)을 구경하려는 관광객들이 이 역을 애용하고 있다.
경전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