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노선표)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 colspan = "7" | | | colspan = "7" | |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중앙}};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중앙}}; height: 2pt" | ||
−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간입니다. | +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style="color:black">경의중앙선</span>]]''' 구간입니다. |
| rowspan="7"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서울특별시]] | | rowspan="7"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서울특별시]] | ||
| rowspan="2"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용산구]] | | rowspan="2"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용산구]]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1}}; color:white;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1}}; color:white; height: 2pt" | ||
−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 ''' | +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span style="color:white">서울 지하철 1호선</span>]]''' 구간입니다. |
| rowspan="3"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동대문구]] | | rowspan="3"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동대문구]] | ||
|- | |- | ||
75번째 줄: | 75번째 줄: | ||
|{{철도 링크|중앙선}} | |{{철도 링크|중앙선}} |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중앙}};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중앙}}; height: 2pt" | ||
− | | colspan = "5" | 여기까지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간입니다. | + | | colspan = "5" | 여기까지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style="color:black">경의중앙선</span>]]''' 구간입니다. |
|- | |- | ||
![[의정부역|의정부]] | ![[의정부역|의정부]] | ||
98번째 줄: | 98번째 줄: | ||
|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1}}; color:white;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1}}; color:white; height: 2pt" | ||
− | | colspan = "5" | 여기까지가 ''' | + | | colspan = "5" | 여기까지가 '''[[서울 지하철 1호선|<span style="color:white">서울 지하철 1호선</span>]]''' 구간입니다. |
|- | |- | ||
![[초성리역|초성리]] | ![[초성리역|초성리]] |
2015년 1월 26일 (월) 22:38 판
300픽셀 대한민국 최북단 철도역인 백마고지역 300픽셀 | |
한글 표기 | 경원선 |
---|---|
영문 표기 | Gyeongwon Line |
한자 표기 | 京元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용산역 |
종점 | 백마고지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용산-동두천) / 1 (동두천-백마고지) |
영업 거리 | 94.4km |
소요 시간 | 1시간 52분 (청량리-백마고지, DMZ-train) |
표정 속도 | 44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편 운행 (〃) |
개통일 | 1911년 10월 15일 |
“ | 철마는 달리고 싶다 | ” |
경원선은 경기도의 북동부에 있는 철도 노선이다. 원래 서울(京)과 원산(元山)을 잇는 철도 노선이라는 의미에서 경원선(京元線)으로 이름 붙여졌지만, 남북분단과 한국전쟁의 결과로 휴전선이 이 철도 중간에 놓이는 바람에 남한측 철길과 북한측 철길이 끊어지게 되었다. 현재의 남측 경원선은 서울의 용산역에서 시작하여 강원 철원군의 백마고지역에서 끝난다. 백마고지역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라는 글귀가 새겨진 철도중단비가 있다. 한편, 북한측 경원선(평강-원산)은 강원선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11년 10월 5일에 용산역-의정부역 구간이 개통하였으며, 1914년 8월 16일에 서울-원산에 이르는 전 구간이 개통하였다.
경원선에는 관광열차인 DMZ-train가 서울-청량리-백마고지 노선으로 1일 1왕복 운행하고 있다. 도시철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기 북동부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동두천-백마고지 구간에서 통근열차가 운행 중에 있다.
노선표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철도만 정차하는 역은 표시하지 않았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여기서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간입니다. | 서울특별시 | 용산구 | ||||
용산 | 0.0 | 0.0 | ITX-청춘 | 경부선 | ||
옥수 | 7.1 | 7.1 | (ITX-청춘) | 성동구 | ||
왕십리 | 3.2 | 10.3 | (ITX-청춘) | |||
여기서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입니다. | 동대문구 | |||||
청량리 | 2.4 | 12.7 | ITX-청춘 DMZ | 중앙선 | ||
여기까지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간입니다. | ||||||
의정부 | 18.5 | 31.2 | DMZ | 경기도 | 의정부시 | |
동두천 | 34.6 | 53.1 | 통근 DMZ | 동두천시 | ||
소요산 | 2.5 | 55.6 | 통근 | |||
여기까지가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입니다. | ||||||
초성리 | 4.1 | 59.7 | 통근 | 연천군 | ||
한탄강 | 3.0 | 62.7 | 통근 DMZ | |||
전곡 | 2.5 | 65.2 | 통근 | |||
연천 | 8.6 | 73.8 | 통근 DMZ | |||
신망리 | 3.6 | 77.4 | 통근 | |||
대광리 | 7.0 | 84.4 | 통근 | |||
신탄리 | 4.4 | 88.8 | 통근 DMZ | |||
백마고지 | 5.6 | 94.4 | 통근 DMZ | 강원도 | 철원군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