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북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철도역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그림 = 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경전선}} |역명 = 군북 |이전역명 = 함안역|함...)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25px" 문자열을 "{{태극기}}" 문자열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로마자 역명 = Gunbuk | |로마자 역명 = Gunbuk | ||
|한자 역명 = 郡北 | |한자 역명 = 郡北 | ||
− | |소재지 = | + | |소재지 = {{태극기}} [[경상남도]] [[함안군]]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 | '''군북역'''({{llang|ko-Hani| | + | '''군북역'''({{llang|ko-Hani|郡北驛}})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경전선]]상의 철도역이다. 인구 6천명을 거느린 [[군북면]]의 중심역이다. [[무궁화호]]만 정차한다. |
1923년 개역하였으며, 1997년에 역사를 신축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역사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옛 군북역은 군북면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이곳 주민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으나, 신 군북역은 구 군북역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있어 군북면 주민들의 이용은 다소 불편해졌다. 인근에 있던 [[원북역]]이 폐역되면서 원북역의 수요를 일부 흡수하였다. 백이산(369m), 오봉산(525m)을 찾는 등산객들이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 1923년 개역하였으며, 1997년에 역사를 신축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역사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옛 군북역은 군북면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이곳 주민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으나, 신 군북역은 구 군북역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있어 군북면 주민들의 이용은 다소 불편해졌다. 인근에 있던 [[원북역]]이 폐역되면서 원북역의 수요를 일부 흡수하였다. 백이산(369m), 오봉산(525m)을 찾는 등산객들이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
2015년 4월 29일 (수) 22:22 기준 최신판
![]() | |
로마자 역명 | Gunbuk |
---|---|
한자 역명 | 郡北 |
소재지 | ![]() |
정차하는 열차 | 무궁화 |
운영 | ![]() |
노선 | 경전선 |
승강장 구조 | 1면 2선 |
개역일 | 1923년 12월 1일 |
군북역(한자: 郡北驛)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경전선상의 철도역이다. 인구 6천명을 거느린 군북면의 중심역이다. 무궁화호만 정차한다.
1923년 개역하였으며, 1997년에 역사를 신축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역사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옛 군북역은 군북면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이곳 주민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으나, 신 군북역은 구 군북역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있어 군북면 주민들의 이용은 다소 불편해졌다. 인근에 있던 원북역이 폐역되면서 원북역의 수요를 일부 흡수하였다. 백이산(369m), 오봉산(525m)을 찾는 등산객들이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경전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