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노선표)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3분 30초, 평상시 6분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3분 30초, 평상시 6분 | ||
|개통일 = 2012년 7월 1일 | |개통일 = 2012년 7월 1일 | ||
− | |||
}} | }} | ||
32번째 줄: | 31번째 줄: | ||
'''의정부 경전철'''(U-Line)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동·서간 연계 교통체계 구축으로 지역간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ref>의정부시 고시 제2007-850호</ref>으로 [[2012년]] 7월 1일 개통한 [[경기도]] [[의정부시]]의 [[철도]] 노선으로 [[경전철]]인 [[도시철도]] 노선이다. 노선의 상징색은 진한 [[노란색]]({{지하철|서울|의정부}})이다. [[수도권]]에서는 최초로 개통한 경전철 노선으로서, 앞서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4호선]]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선로와 고무차륜을 채택하였으며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편성은 [[부산-김해 경전철]]과 마찬가지로 2량 1편성으로 되어 있다. | '''의정부 경전철'''(U-Line)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동·서간 연계 교통체계 구축으로 지역간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ref>의정부시 고시 제2007-850호</ref>으로 [[2012년]] 7월 1일 개통한 [[경기도]] [[의정부시]]의 [[철도]] 노선으로 [[경전철]]인 [[도시철도]] 노선이다. 노선의 상징색은 진한 [[노란색]]({{지하철|서울|의정부}})이다. [[수도권]]에서는 최초로 개통한 경전철 노선으로서, 앞서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4호선]]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선로와 고무차륜을 채택하였으며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편성은 [[부산-김해 경전철]]과 마찬가지로 2량 1편성으로 되어 있다. | ||
− | 총 운행거리는 11km에 이르며 15개 역이 | + | 총 운행거리는 11km에 이르며 15개 역이 설치돼 있다. 운행시간은 [[새벽]] 5시부터 [[밤(시간)|밤]] 12시 30분까지다. 운행간격은 출퇴근 시간은 3분 30초, 그 이외의 시간대엔 6~10분에 한 대꼴로 운행된다. 최고속도는 80km/h, 표정속도는 32.2km/h이다. 1회 이용 요금은 이용구간에 관계없이 1,300원으로 다소 비싼 편이다. 게다가 적자폭을 줄인다는 명목으로 개통 초기엔 [[노인]] 및 [[장애인]] 할인도 안 해줬었다. 다만 [[장애인]] 할인은 다행히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고, 경로무임 제도도 [[2014년]] 5월 30일부터 시행되었다. |
− | 과 정거장 15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포함한 전 노선에 대하여 [[2007년]] [[8월 28일]] 착공에 들어가 [[2012년]] [[6월 27일]] 완공하였으며 같은 달 29일 준공 승인을 받아 2일간(6월 | + | 과 정거장 15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포함한 전 노선에 대하여 [[2007년]] [[8월 28일]] 착공에 들어가 [[2012년]] [[6월 27일]] 완공하였으며 같은 달 29일 준공 승인을 받아 2일간(6월 29~30일) 무료 시승 행사를 진행후[[7월 1일]] 공식 개통하였다.<ref>의정부시 공고 제2012-521호</ref> |
[[의정부 경전철(기업)|의정부 경전철 주식회사]]의 위탁을 받아 향후 10년간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의정부 경전철(기업)|의정부 경전철 주식회사]]의 위탁을 받아 향후 10년간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
135번째 줄: | 134번째 줄: | ||
|- | |- | ||
! U123 | ! U123 | ||
− | | [[ | + | | [[어룡(용현산업단지)역|어룡<small>(용현산업단지)</small>]] |
|0.9 | |0.9 | ||
|9.5 | |9.5 | ||
152번째 줄: | 151번째 줄: | ||
|0.5 | |0.5 | ||
|10.6 | |10.6 | ||
+ | | {{지하철|서울|7}} | ||
+ | | 탑석사거리 | ||
+ | |- | ||
+ | ! U126 | ||
+ | | [[차량기지 임시승강장(복합문화융합단지)역|차량기지 임시승강장<small>(복합문화융합단지)</small>]] | ||
+ | | 0. 3 | ||
+ | | 11. 0 | ||
| | | |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의정부}};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의정부}}; height: 2pt" | ||
| colspan = "6" | | | colspan =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5년 3월 29일 (토) 15:26 기준 최신판
![]() | |
한글 표기 | 의정부 경전철 |
---|---|
영문 표기 | Uijeongbu LRT (U-Line) |
한자 표기 | 議政府 輕電鐵 |
소재국 | ![]() |
소유 | 의정부시 |
운영 | ![]() |
위탁 운영 | ![]() |
기점 | 발곡 |
종점 | 탑석 |
운행 계통 | ●의정부 경전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2량 1편성 |
영업 거리 | 10.6km |
소요 시간 | 20분 |
표정 속도 | 32km/h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3분 30초, 평상시 6분 |
개통일 | 2012년 7월 1일 |


“ | 당신을 향한! 당신을 위한! 당신의 경전철! | ” |
의정부 경전철(U-Line)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동·서간 연계 교통체계 구축으로 지역간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1]으로 2012년 7월 1일 개통한 경기도 의정부시의 철도 노선으로 경전철인 도시철도 노선이다. 노선의 상징색은 진한 노란색( 의정부 )이다. 수도권에서는 최초로 개통한 경전철 노선으로서, 앞서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4호선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선로와 고무차륜을 채택하였으며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편성은 부산-김해 경전철과 마찬가지로 2량 1편성으로 되어 있다.
총 운행거리는 11km에 이르며 15개 역이 설치돼 있다. 운행시간은 새벽 5시부터 밤 12시 30분까지다. 운행간격은 출퇴근 시간은 3분 30초, 그 이외의 시간대엔 6~10분에 한 대꼴로 운행된다. 최고속도는 80km/h, 표정속도는 32.2km/h이다. 1회 이용 요금은 이용구간에 관계없이 1,300원으로 다소 비싼 편이다. 게다가 적자폭을 줄인다는 명목으로 개통 초기엔 노인 및 장애인 할인도 안 해줬었다. 다만 장애인 할인은 다행히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고, 경로무임 제도도 2014년 5월 30일부터 시행되었다.
과 정거장 15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포함한 전 노선에 대하여 2007년 8월 28일 착공에 들어가 2012년 6월 27일 완공하였으며 같은 달 29일 준공 승인을 받아 2일간(6월 29~30일) 무료 시승 행사를 진행후7월 1일 공식 개통하였다.[2]
의정부 경전철 주식회사의 위탁을 받아 향후 10년간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한다.
환승[편집]
경기도 남부의 용인경전철이 약 두 달 앞선 2014년 9월 20일부터 수도권통합환승제가 시행된 데에 이어, 의정부 경전철도 동년 12월 6일부터 수도권통합환승제가 시행되었다. 신분당선처럼 추가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의 환승시스템으로써, 의정부 경전철을 환승해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본요금의 재지불 없이 환승 추가요금인 100원만 부과된다.[3] 이는 용인경전철도 동일하다.[4]
노선표[편집]
다음은 의정부 경전철의 역 목록이다. 의정부경전철이 통과하는 전 구간은 의정부시의 도심지역이다.[5]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U110 | 발곡 | 0.0 | 0.0 | 발곡근린공원 | |
U111 | 회룡 | 0.8 | 0.8 | ![]() |
사패산 |
U112 | 범골 | 0.6 | 1.4 | 롯데슈퍼 의정부점 | |
U113 | 경전철의정부 | 0.9 | 2.4 | 의정부역 | |
U114 | 의정부시청 | 0.9 | 3.3 | 의정부시청 | |
U115 | 흥선 | 0.6 | 3.9 | 흥선광장교차로 | |
U117 | 의정부중앙 | 1.1 | 5.0 | 부대찌개거리, 젊음의거리 | |
U118 | 동오 | 0.7 | 5.8 | 의정부시외고속버스터미널 | |
U119 | 새말 | 0.7 | 6.5 | 의정부우체국 | |
U120 | 경기도청북부청사 | 0.7 | 7.2 | 경기도청북부청사 | |
U121 | 효자 | 0.6 | 7.8 | 효자중·고등학교 | |
U122 | 곤제 | 0.8 | 8.6 | 송산주공1단지아파트 | |
U123 | 어룡(용현산업단지) | 0.9 | 9.5 | 용현산업단지 | |
U124 | 송산 | 0.6 | 10.1 | 용현초등학교 | |
U125 | 탑석 | 0.5 | 10.6 | ![]() |
탑석사거리 |
U126 | 차량기지 임시승강장(복합문화융합단지) | 0. 3 | 11. 0 | ||
외부 링크[편집]
주석[편집]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