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30px" 문자열을 "{{태극기}}" 문자열로)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소요 시간 = 16분 (광주송정-광주, 무궁화호) | |소요 시간 = 16분 (광주송정-광주, 무궁화호) | ||
|표정 속도 = 52km/h (〃) | |표정 속도 = 52km/h (〃) |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3편 운행 (〃)<br>하루 왕복 3편 운행 (용산-광주, ITX-새마을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3편 운행 (〃)<br>하루 왕복 3편 운행 (용산-광주, ITX-새마을)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
|폐선일 = | |폐선일 =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대사|광주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 | {{대사|광주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 | ||
− | '''광주선'''({{llang|ko-Hani|光州線}})은 동송정분기점에서 [[경전선]]과 분기하여 광주도심을 동서로 관통, [[광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철도 노선이다. 공식적으로는 [[경전선]]의 지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 + | '''광주선'''({{llang|ko-Hani|光州線}})은 동송정분기점에서 [[경전선]]과 분기하여 광주도심을 동서로 관통, [[광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철도 노선이다. 공식적으로는 [[경전선]]의 지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호남고속선]]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중심철도역 자리는 [[광주송정역]]에 내주었다. |
== 노선표 == | == 노선표 ==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7.4 | |7.4 | ||
|11.9 | |11.9 | ||
− | | | + | |{{철도 링크|ITX}}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북구(광주)|북구]] | |[[북구(광주)|북구]] |
2016년 1월 8일 (금) 21:34 판
300픽셀 광주선의 종점인 광주역 ![]() | |
한글 표기 | 광주선 |
---|---|
영문 표기 | Gwangju Line |
한자 표기 | 光州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동송정분기점 |
종점 | 광주역 |
운행 계통 | 경전선의 지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
영업 거리 | 11.9km |
소요 시간 | 16분 (광주송정-광주,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52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3편 운행 (〃) 하루 왕복 3편 운행 (용산-광주, ITX-새마을)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 | 광주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 | ” |
광주선(한자: 光州線)은 동송정분기점에서 경전선과 분기하여 광주도심을 동서로 관통, 광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철도 노선이다. 공식적으로는 경전선의 지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호남고속선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중심철도역 자리는 광주송정역에 내주었다.
노선표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극락강 | 0.0 | 4.5 | (무궁화) | (경전선)[1] | 광주광역시 | 광산구 |
광주 | 7.4 | 11.9 | 새마을 무궁화 | 북구 | ||
주석
- ^ 정확하게는 극락강역에서 4.5km 앞에 있는 동송정분기점에서 경전선과 분기한다.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