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시
논산시 | |||||
論山市 | |||||
![]() 논산훈련소 | |||||
| |||||
행정 | |||||
지역 | 충청남도 | ||||
---|---|---|---|---|---|
행정구역 | 2읍 11면 2행정동 | ||||
시청소재지 | 시민로210번길 9 | ||||
시장 | 백성현 (국민의힘) | ||||
인구 | |||||
인구 | 112,161 명 (2023년) | ||||
지리 | |||||
면적 | 555 km2 | ||||
상징 | |||||
시목 | 느티나무 | ||||
시화 | 개나리 | ||||
시조 | 원앙 | ||||
기타 | |||||
지역번호 | 041 | ||||
“ | 호국장병의 고장 | ” |
논산시(한자: 論山市)는 충청남도 남쪽 끝에 위치한 인구 10만 명 내외의 작은 도시이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하였으며, 2003년 논산시에서 계룡시가 분리되어 나가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동쪽으로는 금산군에 면하며 북동쪽으로는 대전광역시와 호남고속도로(지선)로 연결되어 있고, 북쪽으로는 공주시와 천안-논산간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쪽으로는 부여군에 면해 있다. 남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및 완주군이 위치한다.
논산이라는 지명은 단순히 이 지역에 논과 산이 많다는 이유로 붙은 이름이다. 논산에는 논산평야와 대둔산이 함께 있으니 맞는 말이긴 하다. 논산의 옛 명칭인 놀뫼는 "누런 산"이라는 의미로, 한자어로는 "황산"(黃山)이 된다. 즉, 백제 말기에 계백 장군이 김유신 장군이 이끄는 신라군을 맞아 싸운 격전지로 흔히 알려진 황산벌이 바로 논산에 해당한다. 논산시의 특산품은 딸기로서, 딸기는 시의 캐릭터이기도 하다. 하지만 논산 하면 무엇보다도 먼저 떠오르는 것은 논산육군훈련소일 것이다. 논산육군훈련소는 주로 한강이남 지역에 배치되는 육군 입영병들이 거치게 되는 관문으로 알려져 있다.
경제와 산업[편집]
원래 논산 강경은 금강이 관통하고 있어 물자 수송이 편리하여 포구를 중심으로 하여 큰 시장이 들어서던 곳으로, 논산의 경제는 강경포구를 중심으로 크게 발달했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금강이 수운의 역할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현재 논산시는 농업 이외의 산업은 거의 발달하지 못하였다. 일단 기본적으로 금강과 논산평야를 끼고 있어 쌀의 수확량이 많다. 다른 특산물로는 딸기, 생강, 배추, 수박, 배 등이 있다. 특히 딸기가 유명한데, 논산에서 널리 재배되는 딸기 품종인 설향딸기는 당도가 아주 높아 인기가 많다.
교육[편집]
- 건양대학교 - 4년제 사립대학교이다. 건양대학교는 의대나 간호학과가 상당히 유명하고 인지도도 높지만, 정작 의학·보건계열은 논산이 아닌 대전 관저캠퍼스에 위치한다. 논산 본캠퍼스에는 인문대, 자연대, 경상대 등이 위치하는데, 세무학과 정도를 제외하면 딱히 알아주는 학과는 없다.
- 금강대학교 - 불교(천태종) 재단의 4년제 사립대학교이다. 2002년 개교했다. 재단이 든든한 만큼, 장학금 등 학생지원이 좋다고 한다.
- 한국폴리텍바이오대학 - 2/3년제 기능대학 사립전문대학으로서, 국내 첫 바이오분야 국책 대학교이다.
관광[편집]

- 관촉사의 은진미륵(석조미륵보살입상, 보물 218호) -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 중 가장 크기가 큰 석불입상으로, 높이가 무려 18.2m에 이른다. 화강암으로 제작되었다.
- 백제군사박물관 - 계백 장군의 묘소 옆에 설치된 박물관이다. 백제의 군사문화에 관련된 전시를 하고 있다.
- 논산딸기축제 - 매년 4월경에 논산천 둔치 및 딸기밭에서 논산시 주최로 이뤄지는 지역축제이다.
- 강경발효젓갈축제 - 매년 10월경에 강경포구, 젓갈시장에서 논산시 주최로 이뤄지는 지역축제이다.
- 돈암서원(사적 383호) - 조선시대 지어진 서원으로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에도 철폐되지 않고 살아남은 서원 중 하나이다.
외부 링크[편집]
행복충만, 충청남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