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노선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2016년에는 [[동해선 광역전철]]([[부전역|부전]]-[[일광역|일광]])이 개통하여 지방 최초의 광역전철 노선이 되었다.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산-울산(태화강) 사이의 통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광역전철 노선이다. 2003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으니 공사를 시작한지 무려 13년만에 개통된 셈이다. 2021년에 2단계 구간([[일광역|일광]]-[[태화강|태화강]])까지 완공되면서 부산에서 울산까지 63분 걸리던 것이 30분대로 단축되었다. | 2016년에는 [[동해선 광역전철]]([[부전역|부전]]-[[일광역|일광]])이 개통하여 지방 최초의 광역전철 노선이 되었다.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산-울산(태화강) 사이의 통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광역전철 노선이다. 2003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으니 공사를 시작한지 무려 13년만에 개통된 셈이다. 2021년에 2단계 구간([[일광역|일광]]-[[태화강|태화강]])까지 완공되면서 부산에서 울산까지 63분 걸리던 것이 30분대로 단축되었다. | ||
− | |||
− | |||
앞으로 2024년에는 동해선의 잔여 구간인 [[영덕역|영덕]]-[[삼척역|삼척]] 구간이 개통할 예정이다. 이 구간이 개통되면 기존의 [[삼척선]]([[동해역|동해]]-[[삼척역|삼척]])도 동해선으로 편입된다. 이렇게 되면 동해선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동해를 따라 이어지는 거대한 중추 노선으로 거듭날 것이다. | 앞으로 2024년에는 동해선의 잔여 구간인 [[영덕역|영덕]]-[[삼척역|삼척]] 구간이 개통할 예정이다. 이 구간이 개통되면 기존의 [[삼척선]]([[동해역|동해]]-[[삼척역|삼척]])도 동해선으로 편입된다. 이렇게 되면 동해선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동해를 따라 이어지는 거대한 중추 노선으로 거듭날 것이다. | ||
60번째 줄: | 58번째 줄: | ||
|0.0 | |0.0 | ||
|4.6 | |4.6 | ||
− | |{{철도 링크|ITX}} {{철도 링크|무궁화}} | + | |{{철도 링크|ITX}} {{철도 링크|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부산진구]] | |[[부산진구]] | ||
74번째 줄: | 72번째 줄: | ||
|5.9 | |5.9 | ||
|19.9 | |19.9 | ||
− | |{{철도 링크|ITX}} {{철도 링크|무궁화}} | + | |{{철도 링크|ITX}} {{철도 링크|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 | |- | ||
80번째 줄: | 78번째 줄: | ||
|9.7 | |9.7 | ||
|29.6 | |29.6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철도 링크|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
| | | | ||
|[[기장군]] | |[[기장군]] | ||
95번째 줄: | 93번째 줄: | ||
|16.2 | |16.2 | ||
|68.4 | |68.4 | ||
−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 + | |{{철도 링크|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
| | | | ||
| rowspan="2"| [[남구(울산)|남구]] | | rowspan="2"| [[남구(울산)|남구]] | ||
104번째 줄: | 102번째 줄: | ||
|9.7 | |9.7 | ||
|78.1 | |78.1 | ||
−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 + | |{{철도 링크|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
| | | | ||
|[[북구(울산)|북구]] | |[[북구(울산)|북구]] | ||
|- | |- | ||
− | ![[ | + | ![[경주역|경주]] |
|32.2 | |32.2 | ||
|110.3 | |110.3 | ||
−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 + | |{{철도 링크|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
− | | rowspan=" | + | | rowspan="13"| [[경상북도]] |
− | | rowspan=" | + | | rowspan="4"|[[경주시]] |
+ | |- | ||
+ | !(모량신호장) | ||
+ | | - | ||
+ | |114.7 | ||
+ | | | ||
+ | |{{철도 링크|중앙선}} | ||
|- | |- | ||
![[서경주역|서경주]] | ![[서경주역|서경주]] | ||
138번째 줄: | 142번째 줄: | ||
|15.3 | |15.3 | ||
|165.0 | |165.0 | ||
− | | | + | | |
| | | | ||
|- | |- | ||
144번째 줄: | 148번째 줄: | ||
|9.1 | |9.1 | ||
|174.1 | |174.1 | ||
− | | | + | | |
| | | | ||
| rowspan="5" | [[영덕군]] | | rowspan="5" | [[영덕군]] | ||
151번째 줄: | 155번째 줄: | ||
|7.6 | |7.6 | ||
|181.7 | |181.7 | ||
− | | | + | | |
| | | | ||
|- | |- | ||
157번째 줄: | 161번째 줄: | ||
|6.6 | |6.6 | ||
|188.3 | |188.3 | ||
− | | | + | | |
| | | | ||
|- style = "background:silver;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silver; height: 2pt" | ||
−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는 동해선 2단계 계획노선입니다. ( | +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는 동해선 2단계 계획노선입니다. (2024년 개통예정)'' |
|- | |- | ||
![[영해역|''영해'']] | ![[영해역|''영해'']] | ||
194번째 줄: | 198번째 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번째 줄: | 204번째 줄: | ||
| 5.1 | | 5.1 | ||
| | | | ||
− | | | + | | |
| | | | ||
|- | |- | ||
206번째 줄: | 210번째 줄: | ||
| 1.4 | | 1.4 | ||
| | | | ||
− | | | + | | |
| | | | ||
| rowspan="2"| [[동해시]] | | rowspan="2"| [[동해시]] | ||
213번째 줄: | 217번째 줄: | ||
| 6.4 | | 6.4 | ||
| | | | ||
− | | | + | | |
| {{철도 링크|영동선}} | | {{철도 링크|영동선}} | ||
|- | |- |
2024년 1월 26일 (금) 14:34 기준 최신판
![]() 동해선 영덕역 300픽셀 | |
한글 표기 | 동해선 |
---|---|
영문 표기 | Donghae Line |
한자 표기 | 東海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부산진역 |
종점 | 동해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부전-포항) 1 (부산진-부전, 포항-영덕) |
영업 거리 | 188.9km |
소요 시간 | 2시간 14분 (부전-포항,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65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2편 운행 (〃) |
개통일 | 2015년 4월 2일 |
“ | 동해를 따라 달리는 열차 | ” |
동해선(한자: 東海線)은 부산, 경주, 포항, 영덕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동해안을 따라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역사와 미래계획[편집]
2015년, 포항역 KTX 운행을 위해 모량-포항 구간이 개통하면서 동해선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2016년에 기존의 동해남부선(부산진-효자)이 동해선으로 편입되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노선이 하나의 노선명으로 묶이게 되었다.
2016년에는 동해선 광역전철(부전-일광)이 개통하여 지방 최초의 광역전철 노선이 되었다.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산-울산(태화강) 사이의 통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광역전철 노선이다. 2003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으니 공사를 시작한지 무려 13년만에 개통된 셈이다. 2021년에 2단계 구간(일광-태화강)까지 완공되면서 부산에서 울산까지 63분 걸리던 것이 30분대로 단축되었다.
앞으로 2024년에는 동해선의 잔여 구간인 영덕-삼척 구간이 개통할 예정이다. 이 구간이 개통되면 기존의 삼척선(동해-삼척)도 동해선으로 편입된다. 이렇게 되면 동해선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동해를 따라 이어지는 거대한 중추 노선으로 거듭날 것이다.
노선표[편집]
여객을 담당하는 역과 주요 분기점만을 기재하였다.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광역전철만 정차하는 역은 표시하지 않았다. 광역전철 노선표는 동해선 광역전철 문서 참고 바람.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부산진역) | 0.0 | 경부선 | 부산광역시 | 동구 | ||
여기서부터 동해선 광역전철 구간입니다. | ||||||
부전 | 0.0 | 4.6 | 새마을 마음 무궁화 | 부산진구 | ||
센텀 | 9.4 | 14.0 | 무궁화 | 해운대구 | ||
신해운대 | 5.9 | 19.9 | 새마을 마음 무궁화 | |||
기장 | 9.7 | 29.6 | 마음 무궁화 | 기장군 | ||
남창 | 22.6 | 52.2 | 무궁화 | 울산광역시 | 울주군 | |
태화강 | 16.2 | 68.4 | 마음 무궁화 누리로 | 남구 | ||
여기까지가 동해선 광역전철 구간입니다. | ||||||
북울산 | 9.7 | 78.1 | 마음 무궁화 누리로 | 북구 | ||
경주 | 32.2 | 110.3 | 마음 무궁화 누리로 | 경부고속선 | 경상북도 | 경주시 |
(모량신호장) | - | 114.7 | 중앙선 | |||
서경주 | 12.6 | 122.9 | 무궁화 | |||
안강 | 10.8 | 133.7 | 무궁화 | |||
포항 | 16.0 | 149.7 | KTX SRT 무궁화 | 포항시 | ||
월포 | 15.3 | 165.0 | ||||
장사 | 9.1 | 174.1 | 영덕군 | |||
강구 | 7.6 | 181.7 | ||||
영덕 | 6.6 | 188.3 | ||||
여기서부터는 동해선 2단계 계획노선입니다. (2024년 개통예정) | ||||||
영해 | ||||||
후포 | 울진군 | |||||
울진 | ||||||
임원 | 강원특별자치도 | 삼척시 | ||||
여기서부터는 기존 삼척선 노선입니다. | ||||||
삼척 | ||||||
삼척해변 | 5.1 | |||||
추암 | 1.4 | 동해시 | ||||
동해 | 6.4 | 영동선 | ||||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