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과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예시)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위대한 과학자와 확립된 이론들에 대해 공격하고 싶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 | * 위대한 과학자와 확립된 이론들에 대해 공격하고 싶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 | ||
* 복잡한 용어를 고의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자신이 마음대로 만든 용어나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 * 복잡한 용어를 고의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자신이 마음대로 만든 용어나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 ||
− | |||
− | |||
− | |||
== 주석 == | == 주석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유사과학}} | ||
[[분류:의사과학| ]] | [[분류:의사과학| ]] |
2020년 8월 2일 (일) 02:40 기준 최신판
의사과학(한자: 擬似科學 영어: Pseudo-science)은 과학이 아니면서 과학인 것처럼 대중을 속이는 것들을 의미한다. 유사과학이나 사이비과학이라는 단어로 부르기도 한다.
의사과학의 판별[편집]
의사과학뿐 아니라 대부분의 의사학문들이 아래와 같은 검증 과정을 거친다.
- 주장에 대한 근거가 타당하며, 모순된 것이 없는가
- 주장이 애매하거나 과장되거나 증명이 불가능한가
- 주장에 대한 논박보다 주장에 대한 확인에 대해 지나치게 의존하는가
- 주장에 대한 추가 근거를 획득하려는 시도, 즉 주장에 대한 진보가 부족한가
- 기존 학계에 대한 음모론을 제기하는가
- 입증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는가[1]
미국의 회의론자인 마틴 가드너는 의사과학자들의 성향으로 다음 다섯가지를 뽑았다.[2]
- 자신을 천재라고 생각하고 있다.
- 동료들도 의사과학자들처럼 무식하고 정신이 나갔다.
- 자신이 부당하게 차별을 받는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갈릴레오 갈릴레이 같은 위인에 비유한다
- 위대한 과학자와 확립된 이론들에 대해 공격하고 싶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
- 복잡한 용어를 고의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자신이 마음대로 만든 용어나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주석[편집]
유사과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