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개발지수
인간개발지수(영어: Human Development Index}, HDI)는 기대수명, 교육수준, 수입지표 등의 통계자료를 종합한 지표이다. 이 지표에 따라 각 나라들을 (인간개발 수준이) ① 매우 높음 ② 높음 ③ 보통 ④ 낮음의 네 부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매우 높음에 속하는 나라는 선진국으로 평가된다. 인도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과 파키스탄 경제학자 마르풉이 1990년에 고안하였으며, 유엔개발계획(UNDP)가 발표하였다.
2010년 인간개발보고서에는 불평등-보정 HDI(IHDI)가 새로 추가되었다. IHDI는 해당 나라의 불평등 상태를 포함한 실제 인간개발 수준을 표현하는 것이며, 기존의 HDI는 잠재적인 인간개발 상태 또는 해당 나라에 불평등이 없다는 전제하에 달성될 수 있는 최대 IHDI값으로 볼 수 있다.
2016년 보고[편집]
유엔국가개발계획(UNDP)의 2016년 인간개발보고서는 2017년 3월 21일 발표되었으며 2015년의 자료에 기초하여 HDI값을 산출하였다. 아래는 인간개발 수준이 "매우 높음"에 속하는 나라들의 목록이다. 아래의 나라들은 선진국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 상승
= 변화 없음
= 하락
-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나라가 2015년도에 비해 순위가 몇 단계 상승하였거나 하락하였는지를 표현한 것이다.
순위 | 나라 | HDI | ||
---|---|---|---|---|
2016년 |
2015년 대비 변화 | 2016년 | 2015년 대비 변화 | |
1 | ![]() |
![]() |
0.949 | ![]() |
2 | ![]() |
![]() |
0.939 | ![]() |
2 | ![]() |
![]() |
0.939 | ![]() |
4 | ![]() |
![]() |
0.926 | ![]() |
5 | ![]() |
![]() |
0.925 | ![]() |
5 | ![]() |
![]() |
0.925 | ![]() |
7 | ![]() |
![]() |
0.924 | ![]() |
8 | ![]() |
![]() |
0.923 | ![]() |
9 | ![]() |
![]() |
0.921 | ![]() |
10 | ![]() |
![]() |
0.920 | ![]() |
10 | ![]() |
![]() |
0.920 | ![]() |
12 | ![]() |
![]() |
0.917 | ![]() |
13 | ![]() |
![]() |
0.915 | ![]() |
14 | ![]() |
![]() |
0.913 | ![]() |
15 | ![]() |
![]() |
0.912 | ![]() |
16 | ![]() |
![]() |
0.909 | ![]() |
17 | ![]() |
![]() |
0.903 | ![]() |
18 | ![]() |
![]() |
0.901 | ![]() |
19 | ![]() |
![]() |
0.899 | ![]() |
20 | ![]() |
![]() |
0.898 | ![]() |
21 | ![]() |
![]() |
0.897 | ![]() |
22 | ![]() |
![]() |
0.896 | ![]() |
23 | ![]() |
![]() |
0.895 | ![]() |
24 | ![]() |
![]() |
0.893 | ![]() |
25 | ![]() |
![]() |
0.892 | ![]() |
26 | ![]() |
![]() |
0.890 | ![]() |
27 | ![]() |
![]() |
0.887 | ![]() |
28 | ![]() |
![]() |
0.878 | ![]() |
29 | ![]() |
![]() |
0.866 | ![]() |
30 | ![]() |
![]() |
0.865 | ![]() |
30 | ![]() |
![]() |
0.865 | ![]() |
32 | ![]() |
![]() |
0.858 | ![]() |
33 | ![]() |
![]() |
0.856 | ![]() |
33 | ![]() |
![]() |
0.856 | ![]() |
33 | ![]() |
![]() |
0.856 | ![]() |
36 | ![]() |
![]() |
0.855 | ![]() |
37 | ![]() |
![]() |
0.848 | ![]() |
38 | ![]() |
![]() |
0.847 | ![]() |
38 | ![]() |
![]() |
0.847 | ![]() |
40 | ![]() |
![]() |
0.845 | ![]() |
41 | ![]() |
![]() |
0.843 | ![]() |
42 | ![]() |
![]() |
0.840 | ![]() |
43 | ![]() |
![]() |
0.836 | ![]() |
44 | ![]() |
![]() |
0.830 | ![]() |
45 | ![]() |
![]() |
0.827 | ![]() |
45 | ![]() |
![]() |
0.827 | ![]() |
47 | ![]() |
![]() |
0.824 | ![]() |
48 | ![]() |
![]() |
0.807 | ![]() |
49 | ![]() |
![]() |
0.804 | ![]() |
50 | ![]() |
![]() |
0.802 | ![]() |
51 | ![]() |
![]() |
0.800 | ![]() |
대한민국의 인간개발지수[편집]
대한민국은 지난 60여 년 동안 인간개발지수가 빠르게 상승한 나라로서 세계적으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성공 요인으로는 성공적인 토지개혁, 농촌개발, 집약적인 인적자원 개발, 빠른 경제성장 등이 손꼽힌다. 2016년 인간개발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은 세계 18위의 순위를 기록하여 최상위권 그룹에 포함되었다.
조사되지 않은 나라[편집]
몇몇 나라들은 인간개발지수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출받지 못하여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북한, 모나코, 나우루, 산마리노, 소말리아, 남수단, 투발루 등의 나라들은 이러한 이유로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