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역
![]()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그러나 총신대학교는 이런 주장에 미친듯한 박수갈채를 보냈으니 더욱 끔찍하지! |
320픽셀 ●4호선 승강장 320픽셀 ●7호선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Isu |
---|---|
한자 역명 | 梨水 |
소재지 | ![]() |
역 번호 | 432 (4호선) 736 (7호선) |
운영 | ![]() |
노선 | ![]() ![]() |
승강장 구조 | 상대식 승강장 (4호선, 7호선) |
개역일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2000년 8월 1일 |
“ | 국내 유일의 이명환승역 | ” |
이수역(한자: 梨水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4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국내 유일의 이명환승역[편집]
이수역, 또는 총신대입구역은 환승역이지만 노선별로 역명이 다른 국내 유일의 도시철도역이다. 국내에서 같은 역 건물을 공유하는 환승역 중에서 이 역과 비슷한 경우로는 천안아산역-아산역 정도가 있지만, 천안아산역은 KTX정차역, 아산역은 일반철도 및 수도권 도시철도 1호선 정차역으로 차이가 확연하므로 그나마 헷갈릴 가능성은 적은 편이다. 그러나 이수역-총신대입구역의 경우는 같은 서울 도시철도 노선끼리의 환승역(4호선-7호선)이어서 혼동을 크게 유발한다. 또한, 4호선과 7호선 모두 같은 운영회사(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어서, 2개의 역명이 붙어 있는 것이 더더욱 어색하다.
개역 전인 1983년, 이 역의 명칭은 지명을 따른 이수역으로 결정되어 있었다. 역 안내 시설에도 모두 이수역으로 공사가 완료된 상태였으나, 총신대학교 측에서는 이 역의 명칭을 총신대입구역으로 바꾸어 줄 것을 끈질기게 요구하였다. 결국, 개역 이틀전인 1985년 10월 16일, 총신대 측이 역명 변경에 따른 시설개수비 1,430만원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역 명칭 변경이 이루어졌다. 비록 총신대학교에서 이 역까지의 거리가 1.3km로 다소 멀기는 했지만, 4호선 개통 당시만 하더라도 총신대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역은 이 역 외에는 없었으므로 부자연스러운 역명은 아니었다.
그러나,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개통하게 되면서 역 명칭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7호선의 남성역이 기존의 총신대입구역보다 총신대학교에서 더 가까운 곳에 개역하면서, 1997년 3월 서울시에서는 총신대입구역의 명칭을 이수역으로 되돌리고, 새로 개통하는 남성역의 부역명으로 "총신대역"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총신대학교 측에서 이 결정에 크게 반발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총신대에 가까운 역(남성역)보다는 환승역이 되어 유동인구가 늘어날 이수역에 총신대라는 명칭을 넣는 것이 학교 홍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4호선 역명인 총신대입구역은 그대로 유지된 반면, 2000년 8월에 신설된 7호선의 역명은 이수역으로 개통하면서 이수/총신대입구역은 국내 유일의 이명환승역이 되었다.
오늘날까지 역명이 이수역으로 통일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총신대측의 반발이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신대학교 측의 주장은 객관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억지 주장이며, 그저 대학 홍보 효과에 눈이 멀어 떼를 쓰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 실제 생활권과 어긋난 명칭
- 총신대학교 측에서는 서울대입구역의 사례를 들며, 서울대 정문에서 더 가까운 곳에 관악산역이 있음에도 서울대입구역이라는 명칭이 바뀌지 않은 것처럼 총신대입구역 명칭 또한 지명으로 굳어졌기 때문에 명칭 변경이 부적절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사실과 전혀 다르다. 지역 주민들은 이 역을 이수역이라 부르고 있으며, 총신대입구역이라는 명칭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당연히 역 주변 지역을 일컫을 때도 "이수"라고 하지 "총신대입구"라고 부르지 않는다. 반면, 서울대입구라는 명칭은 해당 역 주변 지역을 일컫는 고유 지명화되어서, 생활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총신대입구역의 경우와는 전혀 다르다. 따라서, 총신대입구(이수)라는 복잡한 병기 역명은 이용객 혼란만 가중할 뿐이다.
- 총신대 방문객 혼란 유발
- 총신대학교에 지하철을 타고 방문하는 승객은 7호선 남성역에서 하차하는 것이 가장 가깝지만, 역명에 낚여서 총신대입구역에 하차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억지로 더 멀리 떨어진 역인 이수역에 총신대라는 명칭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기만적이며, 명백한 허위 광고이다. 서울대입구역-관악산역의 경우에는 두 역의 노선이 각각 서울 도시철도 2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으로 다르며 서로 5정거장이나 떨어져 있기 때문에 굳이 환승까지 해가며 관악산역에서 내리는 것 보다, 서울대입구역에서 하차하여 버스 환승해서 서울대로 가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다. 반면에, 총신대입구역-남성역은 같은 노선상에 1 정거장 차이로 존재하는 역이므로 총신대를 가기 위해서 총신대입구역에서 하차하는 것은 항상 어리석은 선택이 된다.
서울 지하철 4호선 |
---|
진접 - 오남 - ![]() ![]() ![]() ![]() ![]() ![]() ![]() ![]() ![]() ![]() ![]() ![]() ![]() ![]() ![]() ![]() ![]() ![]()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