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도시 정보 |
− | | | + | | 이름 = 세종특별자치시 |
− | |그림 = | + | | 한자 = 世宗特別自治市 |
− | | | + | | 그림 = 세종시.png |
− | | | + | | 그림설명 = 세종시 전경 |
− | | | + | | 휘장 = 세종휘장.jpg |
− | | | + | | 슬로건 = |
− | | | + | | 지도 = |
− | | | + | | 지도설명 = |
− | | | + | | 지도너비 = |
− | | | + | | 시청소재지 = 한누리대로 2140 |
− | | | + | | 구 = |
− | | | + | | 군 = |
− | | | + | | 읍 = 1 |
− | | | + | | 면 = 9 |
− | | | + | | 행정동 = 7 |
− | | | + | | 단체장 =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
− | | | + | | 인구 = 325777 |
− | | | + | | 인구년도 = 2019 |
− | + | | 면적 = 464 | |
+ | | 시목 = [[소나무]] | ||
+ | | 시화 = [[복숭아꽃]] | ||
+ | | 시조 = [[파랑새]] | ||
+ | | 지역 = [[충청도]] | ||
+ | | 지역번호 = 044 | ||
+ | | 웹사이트 = [https://www.sejong.go.kr/ www.sejong.go.kr] | ||
}} | }} | ||
{{대사|행정중심 복합도시}} | {{대사|행정중심 복합도시}} | ||
+ | |||
'''세종특별자치시'''({{llang|ko-Hani|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인 행정구역이다. 종전의 [[충청남도]] 청원군 부용면 산수리․행산리․갈산리․부강리․문곡리․금호리․등곡리․노호리, 공주시 의당면 태산리․용암리․송학리․용현리․송정리, 장기면 송문리․평기리․대교리․하봉리․도계리․봉안리․제천리․은용리․산학리․당암리․금암리, 반포면 원봉리․도남리․성강리․국곡리․봉암리, 종전의 충청남도 연기군 전역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llang|ko-Hani|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인 행정구역이다. 종전의 [[충청남도]] 청원군 부용면 산수리․행산리․갈산리․부강리․문곡리․금호리․등곡리․노호리, 공주시 의당면 태산리․용암리․송학리․용현리․송정리, 장기면 송문리․평기리․대교리․하봉리․도계리․봉안리․제천리․은용리․산학리․당암리․금암리, 반포면 원봉리․도남리․성강리․국곡리․봉암리, 종전의 충청남도 연기군 전역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 ||
== 역사 == | == 역사 == | ||
− | 제16대 [[노무현]]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이었던 [[행정 수도]]의 이전이 [[2004년]] [[10월 21일]]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 + | 제16대 [[노무현]]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이었던 [[행정 수도]]의 이전이 [[2004년]] [[10월 21일]]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을 받음에 따라 그 후속 대책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건설이 추진되었다. |
− | 제17대 [[이명박]] [[정부]]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원안)을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수정안)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2009년]] [[9월]]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낸 [[경제학자]] 출신의 [[정운찬]]을 국무총리로 | + | 제17대 [[이명박]] [[정부]]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원안)을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수정안)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2009년]] [[9월]]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낸 [[경제학자]] 출신의 [[정운찬]]을 국무총리로 임명하였는데 정 총리는 세종시 총리라 불리며 수정안의 [[국회]] 통과를 추진하였다.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는 원안의 행정부처 이전을 취소하고 세종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지정하여 과학 메카로 육성하고 대기업 및 대학교 등 교육 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골자였다. 하지만 [[2010년]] [[6월]] 국회에서는 세종시 수정안을 부결시켰고 원안의 추진이 확정되었다. |
− | 세종특별자치시에는 2014년 말까지 9부 2처 3청 1실 2위원회 등 17개 정부 부처와 20개 소속기관 등 37개 기관이 이전할 계획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7월 1일]] 공식 출범하였으나 출범식은 | + | 세종특별자치시에는 2014년 말까지 9부 2처 3청 1실 2위원회 등 17개 정부 부처와 20개 소속기관 등 37개 기관이 이전할 계획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7월 1일]] 공식 출범하였으나 출범식은 그다음 날인 [[7월 2일]] 치러졌다.<ref>관련기사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673278 '국가균형발전 상징'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종합)] <연합뉴스>, 2012년 7월 2일</ref> |
== 특징 == | == 특징 == | ||
=== 단층제 행정구역 === | === 단층제 행정구역 === | ||
−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에서는 [[특별자치시]]에 [[광역시]]와 마찬가지로 하위 행정구역으로 [[자치구]]와 [[군]]을 둘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고 특별자치시 본청에서 직접 기초자치단체 사무까지 처리하는 단층제 행정구역이다. 대한민국의 단층제 행정구역은 지난 2006년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에 이어 | +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에서는 [[특별자치시]]에 [[광역시]]와 마찬가지로 하위 행정구역으로 [[자치구]]와 [[군]]을 둘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고 특별자치시 본청에서 직접 기초자치단체 사무까지 처리하는 단층제 행정구역이다. 대한민국의 단층제 행정구역은 지난 2006년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에 이어 두 번째다. |
== 교육 == | == 교육 == | ||
39번째 줄: | 46번째 줄: | ||
== 교통 == | == 교통 == | ||
− | [[파일: | + | [[파일:조치원역2018.jpg|300픽셀|섬네일|세종시에서 가장 큰 철도역인 [[조치원역]].([[오송역]]은 [[청주시]]에 있다.)]] |
=== 항공 교통 === | === 항공 교통 === | ||
세종시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공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청주국제공항]]이다. | 세종시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공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청주국제공항]]이다. | ||
=== 철도 교통 === | === 철도 교통 === | ||
− |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경부선]] | + |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경부선]] [[전의역]], [[전동역]], [[서창역]], [[조치원역]], [[내판역]], [[부강역]], [[매포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조치원역에서는 충북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한편 가장 가까운 KTX 정차역은 [[충청남도]] [[청원군]] 오송읍 소재의 오송역이다. 오송역에서 KTX를 타면 서울역까지 약 42분이 소요된다. |
== 외부 링크 == | == 외부 링크 == |
2019년 6월 25일 (화) 23:09 기준 최신판
세종특별자치시 | |||
世宗特別自治市 | |||
![]() 세종시 전경 | |||
| |||
행정 | |||
지역 | 충청도 | ||
---|---|---|---|
행정구역 | 1읍 9면 7행정동 | ||
시청소재지 | 한누리대로 2140 | ||
시장 |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 ||
인구 | |||
인구 | 325,777 명 (2019년) | ||
지리 | |||
면적 | 464 km2 |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
시화 | 복숭아꽃 | ||
시조 | 파랑새 | ||
기타 | |||
지역번호 | 044 | ||
“ | 행정중심 복합도시 | ” |
세종특별자치시(한자: 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인 행정구역이다. 종전의 충청남도 청원군 부용면 산수리․행산리․갈산리․부강리․문곡리․금호리․등곡리․노호리, 공주시 의당면 태산리․용암리․송학리․용현리․송정리, 장기면 송문리․평기리․대교리․하봉리․도계리․봉안리․제천리․은용리․산학리․당암리․금암리, 반포면 원봉리․도남리․성강리․국곡리․봉암리, 종전의 충청남도 연기군 전역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역사[편집]
제16대 노무현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이었던 행정 수도의 이전이 2004년 10월 21일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을 받음에 따라 그 후속 대책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건설이 추진되었다.
제17대 이명박 정부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원안)을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수정안)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2009년 9월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낸 경제학자 출신의 정운찬을 국무총리로 임명하였는데 정 총리는 세종시 총리라 불리며 수정안의 국회 통과를 추진하였다.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는 원안의 행정부처 이전을 취소하고 세종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지정하여 과학 메카로 육성하고 대기업 및 대학교 등 교육 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골자였다. 하지만 2010년 6월 국회에서는 세종시 수정안을 부결시켰고 원안의 추진이 확정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2014년 말까지 9부 2처 3청 1실 2위원회 등 17개 정부 부처와 20개 소속기관 등 37개 기관이 이전할 계획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7월 1일 공식 출범하였으나 출범식은 그다음 날인 7월 2일 치러졌다.[1]
특징[편집]
단층제 행정구역[편집]
대한민국의 지방자치에서는 특별자치시에 광역시와 마찬가지로 하위 행정구역으로 자치구와 군을 둘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고 특별자치시 본청에서 직접 기초자치단체 사무까지 처리하는 단층제 행정구역이다. 대한민국의 단층제 행정구역은 지난 2006년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에 이어 두 번째다.
교육[편집]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교통[편집]
항공 교통[편집]
세종시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공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청주국제공항이다.
철도 교통[편집]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경부선 전의역, 전동역, 서창역, 조치원역, 내판역, 부강역, 매포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조치원역에서는 충북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한편 가장 가까운 KTX 정차역은 충청남도 청원군 오송읍 소재의 오송역이다. 오송역에서 KTX를 타면 서울역까지 약 42분이 소요된다.
외부 링크[편집]
주석[편집]
- ^ 관련기사 : '국가균형발전 상징'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종합) <연합뉴스>, 2012년 7월 2일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 |
---|---|
특별시 | |
광역시 | |
도 | |
특별자치시 | |
특별자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