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운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사찰 정보 |사찰 이름 = 선운사 |현지명 = 禪雲寺 |그림 = 선운사.jpg |그림 설명 = 선운사 |건립 연대 = 577년 |창건자 = 검단 |종파 = ...)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전라북도" 문자열을 "전북특별자치도" 문자열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현지명 = 禪雲寺 | |현지명 = 禪雲寺 | ||
|그림 = 선운사.jpg | |그림 = 선운사.jpg | ||
− | |그림 설명 = 선운사 | + | |그림 설명 = 선운사 경내 |
|건립 연대 = [[577년]] | |건립 연대 = [[577년]] | ||
|창건자 = [[검단]] | |창건자 = [[검단]]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국가 = {{국기|대한민국}} | |국가 = {{국기|대한민국}} | ||
|문화재 = 보물 제279호(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290호(대웅전), 보물 제803호(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1200호(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752호(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물 제2031호(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문화재 = 보물 제279호(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290호(대웅전), 보물 제803호(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1200호(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752호(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물 제2031호(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
− | |소재지 = [[ | +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솔산]](선운산) |
}} | }} | ||
{{대사|동백꽃과 꽃무릇으로 아름답게 물드는 절}} | {{대사|동백꽃과 꽃무릇으로 아름답게 물드는 절}} | ||
− | '''선운사'''({{llang|ko-Hani|禪雲寺}})는 [[ | + | '''선운사'''({{llang|ko-Hani|禪雲寺}})는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솔산(선운산) 기슭에 있는 [[절]]이다. |
== 역사 == | == 역사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특징 == | == 특징 == | ||
− |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24교구 본사로서, [[김제시]]의 [[금산사]]와 함께 [[ | + | [[파일:선운사마애여래좌상.jpg|300픽셀|섬네일|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
+ | |||
+ |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24교구 본사로서, [[김제시]]의 [[금산사]]와 함께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중심 사찰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7개의 보물을 가지고 있는 문화재의 보고이기도 하지만, 선운사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 ||
=== 동백꽃 군락지 === | === 동백꽃 군락지 === |
2024년 5월 1일 (수) 13:42 기준 최신판
선운사 | |
---|---|
禪雲寺 | |
![]() 선운사 경내 | |
종파 | 조계종 |
건립년대 | 577년 |
창건자 | 검단 |
문화재 | 보물 제279호(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290호(대웅전), 보물 제803호(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1200호(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752호(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물 제2031호(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국가 |
![]()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솔산(선운산) |
“ | 동백꽃과 꽃무릇으로 아름답게 물드는 절 | ” |
선운사(한자: 禪雲寺)는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솔산(선운산) 기슭에 있는 절이다.
역사[편집]
백제 위덕왕 재위 시절인 577년에 검단 스님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운사 창건 설화에 따르면, 선운사 인근 지역에는 원래 도적들이 들끓었다고 한다. 검단 스님은 이 사람들에게 바다로부터 소금을 얻는 법을 가르쳐서 도적질하지 않고 생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도왔다. 마을 주민들은 검단 스님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아 구운 소금을 보은염(報恩鹽)이라 부르며 절에 공양했는데, 이 풍습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특징[편집]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24교구 본사로서, 김제시의 금산사와 함께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중심 사찰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7개의 보물을 가지고 있는 문화재의 보고이기도 하지만, 선운사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동백꽃 군락지[편집]
선운사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동백꽃으로, 선운사 주변에는 국내 최대의 동백꽃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다. 선운사 대웅전 뒤편으로는 수령이 500년에 달하는 고목 동백나무가 수천 그루나 둘러서 있어서 커다란 숲을 형성하고 있다. 이 동백꽃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184호로 지정되어 있다. 해마다 봄이 되면 붉은 꽃망울을 터뜨려 장관을 이룬다.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편집]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도솔암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바위 절벽에 새겨진 앉은 형상의 부처 석상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200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시대에 유행한 거대한 마애불 석상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석상의 명치 부분에는 감실이 있는데, 감실에는 검단 스님의 비결이 있어서 그것을 꺼내면 한양이 망한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1892년 2월, 이 전설을 알고 있던 동학의 대접주 손화중이 이것을 실제로 꺼내서 가져갔다. 그리고 손화중이 비기를 가졌다는 소문을 들은 수많은 농민이 동학농민군으로 참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누리위키 선정 꼭 가봐야 할 사찰 20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