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가리
왜가리 | ||||||||||||||
---|---|---|---|---|---|---|---|---|---|---|---|---|---|---|
![]() 왜가리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rdea cinerea |

왜가리(영어: Grey Heron)는 왜가리과 왜가리속에 속하는 새로서, 학명은 Ardea cinerea이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한국에는 주로 여름에 찾아오는 여름 철새이지만,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는 텃새로 1년 내내 살기도 한다. 으악~~!하는 큰 울음소리가 특징이다.
외모[편집]
왜가리는 길이 84~102cm, 날개를 펼쳤을 때의 너비는 155~195cm에 이르는 큰 새이다. 무게는 1~2kg에 이른다. 등쪽은 회색빛을 띠고 있으며, 배쪽은 흰색을 띠고 있다. 머리와 목에는 흰색 바탕에 검정색 무늬가 있다. 부리는 길고 튼튼하며 분홍빛을 띤 노란색이다. 번식기에는 부리의 색깔이 더 밝게 변한다. 가느다랗고 길쭉한 목은 S자 모양으로 굽어 있다.
행동[편집]
먹이활동[편집]
왜가리는 얕은 물에 사는 물고기나 개구리, 또는 곤충 등을 긴 부리를 사용하여 잡아먹는다. 생쥐 같은 작은 포유류나 파충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사냥감을 지켜보며 가만히 있거나 천천히 걷다가 순식간에 부리로 덮쳐 사냥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시 생활[편집]
최근 우리나라의 일부 도시의 도심지의 강에는 왜가리가 목격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일부에서는 도시를 찾아온 왜가리를 도시 환경이 좋아졌다는 증거로 생각하여 반갑게 여기고 있지만, 사실 왜가리는 개체 수 자체가 엄청나게 많은데다가 환경적응력이 좋아 도심지에서도 잘 적응하여 살 수 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왜가리가 있는 강 또는 호수에는 왜가리의 먹잇감이 되는 작은 물고기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최근 왜가리가 발견된 바 있는 도심지역으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서울에서는 청계천, 건국대학교 일감호, 안양천 등지에서 왜가리가 발견되었으며, 부산 온천천, 대구 금호강, 울산 태화강, 전주 덕진공원 등에서도 많은 수의 왜가리가 발견되었다.
번식[편집]
왜가리는 호수나 습지에 가까운 곳에 있는 나무 위에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기른다. 왜가리는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엉성한 둥지를 만든다.
알고 계십니까?[편집]
- 백로는 왜가릿과의 흰 새를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 왜가리의 경우에는 등쪽이 회색빛을 띠고 있기 때문에 "백로"라고 부르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왜가리는 날아갈 때 목을 S자로 구부린 채로 날아가지만 두루미(학)는 1자로 편 채로 날아가므로 쉽게 구분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