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동역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오류동역 역사 ![]() 인천방면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Oryu-dong |
---|---|
한자 역명 | 梧柳洞 |
소재지 | ![]() |
역 번호 | 144 |
운영 | ![]() |
노선 | ![]() |
개역일 | 1899년 9월 18일 |
오류동역(한자: 梧柳洞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역명[편집]
예로부터 이 지역에 오동나무[梧]와 버들나무[柳]가 많다고 하여 오류동(梧柳洞)이라는 지명이 붙었으며, 이 지명에서 오류동역 역명이 유래하였다. 역명에 "-동"이 삭제되지 않고 붙어 있는 몇 안되는 역 중 하나로서, 이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에 위치했던 전라선의 철도역인 오류역과의 역명 중복을 위한 것이다. 참고로 전라선 오류역은 2004년에 폐역하였다.
특징[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환승역인 온수역이나, 급행 열차가 정차하여 이용객이 매우 많은 개봉역 사이에 애매하게 끼어 있는 것 같은 오류동역은 사실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최초로 개역한 유서 깊은 역이다. 당시 오류동역은 서울(한양)과 인천(제물포)의 딱 중간지점에 위치한 역으로, 과거에는 오류골 주막거리가 이 곳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1899년 경인선 철도 개통으로 인해 하루가 꼬박 걸리던 인천~서울이 1시간 40분 거리로 좁혀지면서 오류골 주막거리는 급격히 쇠퇴하여 현재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경인선 역들 중에서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역인 소사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가장 많다는 특징이 있다.
역 구내가 매우 넓고, 선로가 매우 많다는 특징이 있다. 1970~80년대에는 이곳에서 화물취급을 하기도 했으며, 경인선의 지선 철도인 오류선이 이 역에서 분기하기도 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