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국제공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 2번째 줄: | ||
{{대사|국내노선은 제주뿐, 국제노선은 중국뿐}} | {{대사|국내노선은 제주뿐, 국제노선은 중국뿐}} | ||
− | '''대구국제공항'''({{llang|ko-Hani|大邱國際空港}})은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대구-경북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지만 다소 애매한 입지 때문에 활성도는 낮은 편이다. 먼저, 대구는 철도교통과 도로교통이 발달한 내륙도시이기 때문에 국내선 노선에 대한 수요가 낮다. 나름 황금노선이었던 김포행 노선은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수요가 급감하여 2007년을 기해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육상교통으로는 대체할 수 없는 제주행 노선과 인천 경유노선이 활발하게 운항되고 있다. 국제선은 영남권 거점공항 역할을 하는 [[김해국제공항]]에 밀려 이용도가 떨어진다. 대구시민 입장에서도 동대구 역 앞 터미널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를 타면 1시간 20분 만에 김해공항까지 가는 마당에, 굳이 노선이 빈약한 대구국제공항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 + | '''대구국제공항'''({{llang|ko-Hani|大邱國際空港}})은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대구-경북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지만 다소 애매한 입지 때문에 활성도는 낮은 편이다. 먼저, 대구는 철도교통과 도로교통이 발달한 내륙도시이기 때문에 국내선 노선에 대한 수요가 낮다. 나름 황금노선이었던 김포행 노선은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수요가 급감하여 2007년을 기해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육상교통으로는 대체할 수 없는 제주행 노선과 인천 경유노선이 활발하게 운항되고 있다. 국제선은 영남권 거점공항 역할을 하는 [[김해국제공항]]에 밀려 이용도가 떨어진다. 대구시민 입장에서도 동대구 역 앞 터미널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를 타면 1시간 20분 만에 김해공항까지 가는 마당에, 굳이 노선이 빈약한 대구국제공항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2015년 기준 대구공항 이용객수는 200만여 명이다. |
한편, 대구국제공항은 공군 소장이 지휘하는 [[공군 군수사령부]]와 [[공군 남부전투사령부]]와 공군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주둔중인 기지이기도 하며, 대구 시민 또는 공군에서는 K-2라고도 부른다. | 한편, 대구국제공항은 공군 소장이 지휘하는 [[공군 군수사령부]]와 [[공군 남부전투사령부]]와 공군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주둔중인 기지이기도 하며, 대구 시민 또는 공군에서는 K-2라고도 부른다.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 ||
!2014 | !2014 | ||
− | |{{막대| | + | |{{막대|청|1|5}} 1,537,328 |
+ | |- | ||
+ | !2015 | ||
+ | |{{막대|적|2|0}} 2,027,626 | ||
|- | |- | ||
| colspan="5" style="text-align:right;"| 출처: [http://www.airport.co.kr/user/www/396/stats/airportStats/jsp/LayOutPage.do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 | | colspan="5" style="text-align:right;"| 출처: [http://www.airport.co.kr/user/www/396/stats/airportStats/jsp/LayOutPage.do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 |
2016년 6월 19일 (일) 20:40 판
“ | 국내노선은 제주뿐, 국제노선은 중국뿐 | ” |
대구국제공항(한자: 大邱國際空港)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대구-경북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지만 다소 애매한 입지 때문에 활성도는 낮은 편이다. 먼저, 대구는 철도교통과 도로교통이 발달한 내륙도시이기 때문에 국내선 노선에 대한 수요가 낮다. 나름 황금노선이었던 김포행 노선은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수요가 급감하여 2007년을 기해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육상교통으로는 대체할 수 없는 제주행 노선과 인천 경유노선이 활발하게 운항되고 있다. 국제선은 영남권 거점공항 역할을 하는 김해국제공항에 밀려 이용도가 떨어진다. 대구시민 입장에서도 동대구 역 앞 터미널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를 타면 1시간 20분 만에 김해공항까지 가는 마당에, 굳이 노선이 빈약한 대구국제공항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2015년 기준 대구공항 이용객수는 200만여 명이다.
한편, 대구국제공항은 공군 소장이 지휘하는 공군 군수사령부와 공군 남부전투사령부와 공군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주둔중인 기지이기도 하며, 대구 시민 또는 공군에서는 K-2라고도 부른다.
통계
연도별 이용객수
이용객수 | ||||
---|---|---|---|---|
1997 | ![]() ![]() ![]() | |||
1998 | ![]() ![]() ![]() ![]() | |||
1999 | ![]() ![]() | |||
2000 | ![]() ![]() ![]() ![]() | |||
2001 | ![]() ![]() ![]() ![]() | |||
2002 | ![]() ![]() ![]() ![]() | |||
2003 | ![]() ![]() ![]() ![]() | |||
2004[1] | ![]() ![]() | |||
2005 | ![]() ![]() ![]() | |||
2006 | ![]() ![]() | |||
2007 | ![]() ![]() | |||
2008 | ![]() | |||
2009 | ![]() | |||
2010 | ![]() ![]() | |||
2011 | ![]() ![]() | |||
2012 | ![]() ![]() | |||
2013 | ![]() | |||
2014 | ![]() ![]() | |||
2015 | ![]() ![]() | |||
출처: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 |
국내노선
순위 | 공항 | 이용객수 | 항공편수 | 항공사 |
---|---|---|---|---|
1 | 제주국제공항 | 1,194,908 | 8,641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
2 | 인천국제공항 | 119,504 | 1,459 | 대한항공 |
사실상, 대구공항에서 제대로 운용되고 있는 노선은 제주노선 뿐이다.
국제노선
순위 | 공항 | 이용객수 | 항공편수 | 항공사 |
---|---|---|---|---|
1 | ![]() |
61,375 | 596 | 중국동방항공 |
2 | ![]() |
31,707 | 264 | 중국국제항공 |
3 | ![]() |
27,033 | 181 |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상하이항공, 쓰촨항공 |
4 | ![]() |
11,003 | 103 | 중국남방항공 |
국제노선은 중국 노선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나마도 이용객은 뜸한 편이다.
항공사
대구국제공항 출발/도착 노선 기준, 2014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이용객수를 기록한 7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항공사 | 국내선 이용객수 | 국제선 이용객수 | 합계 |
---|---|---|---|---|
1 | 대한항공 | 452,741 | 12,905 | 465,646 |
2 | 티웨이항공 | 370,985 | 45,216 | 416,201 |
3 | 아시아나항공 | 368,525 | 138 | 368,663 |
4 | 제주항공 | 122,343 | 7,729 | 130,072 |
5 | 중국동방항공 | 74,313 | 74,313 | |
6 | 중국국제항공 | 31,707 | 31,707 | |
7 | 중국남방항공 | 10,843 | 10,843 |
대구-제주 노선에 취항하고 있는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아시아나항공의 비중이 높다.
주석
대한민국의 공항 | |
---|---|
국제공항 | |
국내공항 | |
건설예정 | |
별표*는 군용 공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