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역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구로역 역사 | |
로마자 역명 | Guro |
---|---|
한자 역명 | 九老 |
소재지 | ![]() |
역 번호 | 141 |
운영 | ![]() |
노선 | ![]() |
개역일 | 1969년 3월 25일 |
“ |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되는 역 | ” |
구로역(한자: 九老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되는 역이다.
역사
구로역은 1969년 3월 25일,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하는 신호소로 개역하였다. 그러나 본격적인 운영은 1974년 8월 15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하면서부터로서, 이 때부터야 비로소 일반 승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의외로 역사가 그렇게 길지는 않은 역이지만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하는 역이라는 점 때문에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고, 이에 따라 유동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며 1호선의 주요 역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특징
구로역은 복복선인 경인선과 경부선이 만나는 역으로서 승강장이 매우 많고 복잡하다. 무려 9개의 승강장을 거느리고 있으며, 승강장별로 행선지가 모두 달라서 익숙하지 않은 승객 입장에서는 어느 승강장으로 내려가야 할 지 헷갈리기 쉽다. 구로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승객은 열차 시간표를 보고 어느 승강장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가는 열차가 먼저 도착하는지 잘 확인해야 열차를 놓치지 않는다.
이처럼 환승이 복잡하기 때문에 경인선-경부선간 환승을 하려면 구로역 이전에서 열차를 갈아타는 것이 좋다.
한국 최초의 전철 차량기지인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계되어 있다. 구로기지선이 구로역과 구로차량사업소를 연결한다. 구로역에 시종착하는 열차가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승강장
↑ 신도림 |
1 | | 23 | | 45 | | 67 | | 89 | | | |
구일 ↓/가산디지털단지 ↓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1 | 경부선 상행 | 완행열차 | 서울역·청량리·광운대 방면 |
2 | 경인선 상행 | 완행열차 | 의정부·동두천·연천 방면 |
3 | 경부선 하행 | 완행열차 | 서동탄·천안·신창 방면 |
4 | 경인선 하행 | 완행열차 | 부천·부평·인천 방면 |
5 | 광명셔틀 상행 | 광명셔틀 | 영등포 방면 |
6 | 경인선 상행 | 급행열차 | 용산 방면 |
7 | 구로역 시발 | 완행열차 · 급행열차 | 인천·용산·소요산 방면 |
8 | 경인선 하행 | 급행열차 | 동인천·부평·부천 방면 |
9 | 경부선 · 광명셔틀 하행 | 급행열차 · 광명셔틀 | 천안·신창·광명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