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셀라증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브루셀라증은 감염동물(주로 소)과의 접촉이 많은 직업군에서 많이 발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브루셀라증(영어: Brucellosis)은 감염된 동물의 우유를 살균하지 않고 마시거나 감염된 고기를 익히지 않고 먹거나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여 인간에게 전파되는 감염성이 대단히 높은 인수공통전염병이다. 뱅병(Bang's disease), 지중해열(Mediterranean fever), 몰타열(Malta fever), 파상열(undulant fever) 등으로도 불린다. 성교나 수직감염을 통한 인간 대 인간 감염은 드물지만 가능하다.

브루셀라균은 비운동성, 비아포형성의 작은 그람음성 간균(구상간균)이다. 통성 세포내기생성 균으로서 평생 지속되는 만성질환을 유발한다. 증상으로는 다한(땀을 많이 흘림), 근육 및 관절통 등이 있다. 브루셀라증은 인간을 비롯한 여러 동물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증상[편집]

주된 증상으로는 , 근육통, 발한(땀을 흘림) 등이 있다. 이 질병의 지속기간은 수주에서 수달 또는 수년까지로 다양하다. 질병의 첫 단계에서는 패혈증이 나타나며 이는 파상열, 발한, 근육통, 관절통 등의 증상으로 이어진다. 혈액검사 결과에서는 백혈구감소증빈혈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AST와 ALT수치가 다소 증가한다.

원인[편집]

외국에서는 주로 감염된 동물의 우유(또는 치즈)를 살균하지 않고 먹어서 감염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판매되는 우유는 모두 살균과정을 거친 것이므로 이를 통한 감염은 불가능하며, 고기도 익혀 먹으면 안전하다. 국내에서는 동물과의 접촉기회가 많은 축산업자, 수의사, 도축업자, 인공수정사 등의 직업군에서 발생이 빈번하다.

예후[편집]

적절한 약물 치료를 받은 사람은 2-3주 내로 회복된다. 하지만 재발이 빈번하며, 치료가 성공적으로 끝난 뒤에도 10% 정도에서는 재발감염이 일어난다. 재발감염한 경우에는 치료도 처음부터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치사율은 2% 이하로 낮은 편이다.

국내 발생역사[편집]

브루셀라증국내발생.png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소에서 브루셀라 발생이 증가하였다.

1998년의 불량 브루셀라 백신 파동은 한국의 수의학 역사를 통틀어 단연 최악의 참사로 손꼽히는 사건이다. 당시 브루셀라의 발생이 증가하자 정부에서는 백병걸 전북대학교 수의대 교수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업체(중앙가축전염병연구소)에 브루셀라 백신 개발을 의뢰하였다. 정부에서는 이렇게 개발된 브루셀라 백신을 이용해 대대적인 브루셀라 백신접종사업을 벌였다. 하지만 백신을 접종받은 소 39만 마리 중 거의 절반에서 유산 및 산유량 감소 등의 브루셀라 증세가 나타났다. 조사결과 해당 백신이 제조과정에서 세균에 오염된 불량백신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백신접종사업을 주도한 농림부 측에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이후 검찰조사를 통해 백신제조업체로부터 뇌물을 건네받고 충분한 확인 없이 해당 백신에 대한 허가를 내준 정황이 포착되면서 뇌물을 받은 농림부 직원들이 줄줄이 기소되었고, 백신제조업체인 중앙가축전염병연구소 대표도 뇌물공여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에 따라 농민들의 정부와 수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추락하였다. 이 사건의 여파로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도 브루셀라 백신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브루셀라에 대해서는 살처분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2002년에 경기도 파주에서 첫 브루셀라 인체감염자가 보고되었다. 이후 브루셀라증 발생은 빠르게 증가하여 2006년에는 215명의 브루셀라증 환자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2006년 이후로는 정부의 적극적인 브루셀라 근절 프로그램이 시작됨에 따라 발생이 크게 감소하였고, 2019년에는 단 1명의 환자가 발생하는데 그쳤다.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Brucellosis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