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
![]() 제물포역 역사 ![]() 소요산방면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Jemulpo(Incheon National Univ. Jemulpo Campus) |
---|---|
한자 역명 | 濟物浦(仁川大學校 濟物浦캠퍼스) |
소재지 | ![]() |
역 번호 | 158 |
운영 | ![]() |
노선 | ![]() |
개역일 | 1959년 7월 1일 |
“ | 제물포와는 관련 없는 역 | ” |
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Jemulpo(Incheon National Univ. Jemulpo Campus)Station, 濟物浦(仁川大學校 濟物浦캠퍼스)驛)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남쪽(숭의동) 방면으로 1번 출구가 나 있고, 북쪽(도화동) 방면으로 2번 출구가 나 있는데 두 출구의 환경이 꽤나 다르다. 현지인들은 1번 출구 부근을 제물포 남부역, 2번 출구 부근을 제물포 북부역으로 구분해서 부른다. 1번 출구는 경인로(국도 42호선)에 접해 있으며 상권은 이쪽이 더 발달돼 있다. 제물포시장, 주안근린공원, 미추홀구청 등이 남부역 근처에 있다.
반면, 2번 출구로는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인천재능대학교, 청운대학교 등의 대학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는 제물포역의 부역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인천대학교의 경우 송도캠퍼스로의 이전이 거의 완료된 상태여서 인천대생의 이용비율은 높지 않다.
제물포역 남부역과 북부역을 잇는 지하상가가 있다. 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 지하상가는 주변의 동인천역, 주안역 지하상가에 비해 규모가 매우 작다. 상가로서의 기능보다는 지하보도로서의 기능이 더 중요하다.
역명 논란[편집]
원래 제물포(濟物浦)는 현재의 인천항(내항)을 일컫는 말로서, 넓은 의미로는 인천 중구 및 동구에 해당한 인천역과 자유공원 인근 지역을 제물포라 일컬었다. 그래서 예전에는 현재의 인천역을 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이라 칭하기도 했다.
그러나, 1963년에 철도청에서 1959년에 미추홀구 도화동-숭의동 지역에 개역한 경인선 숭의역을 현재의 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으로 역명을 뜬금없이 바꾸면서 지명에 큰 혼동을 주었다. 현재의 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은 인천항(제물포)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지역인데, 역명 변경으로 인해 지역명과 역명이 불일치하게 되었다. 역명이 잘못된 상태로 시간이 많이 흐르면서, 지금은 제물포라는 지명 자체가 역사적 의미의 제물포(인천항/인천역 인근)를 가리킨 말인지, 제물포역 인근 지역을 일컫는 말인지 불분명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 때문에 지역명을 원 상태로 복구하기 위하여 제물포역의 역명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