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사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그림 = [[파일:소사역1호선.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1호선'''</font>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br>[[파일:서해선타는곳.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서해}}">●'''서해선'''</font> 환승게이트 | |그림 = [[파일:소사역1호선.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1호선'''</font>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br>[[파일:서해선타는곳.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서해}}">●'''서해선'''</font> 환승게이트 | ||
|노선 = {{지하철|서울|1}} · {{지하철|서울|서해}} | |노선 = {{지하철|서울|1}} · {{지하철|서울|서해}} | ||
− | |역명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소사 <small><small>(1호선)</small></small> | + | |역명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소사<small>(서울신학대)</small> <small><small>(1호선)</small></small> |
− | |역명2 =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소사 <small><small>(서해선)</small></small> → | + | |역명2 =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소사<small>(서울신학대)</small> <small><small>(서해선)</small></small> → |
− | |이전역명 = [[ | + | |이전역명 = [[역곡(가톨릭대)역|역곡<small>(가톨릭대)</small>]] |
− | |이전역명2 = [[ | + | |이전역명2 = [[부천종합운동장(부천우리병원)역|부천종합운동장<small>(부천우리병원)</small>]] |
|다음역명 = [[부천역|부천]] | |다음역명 = [[부천역|부천]] | ||
|다음역명2 = [[소새울역|소새울]] | |다음역명2 = [[소새울역|소새울]]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대사|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해선이 만나는 역}} | {{대사|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해선이 만나는 역}} | ||
− | ''' | + | '''소사<small>(서울신학대)</small>역'''({{llang|ko-Hani|素砂驛}})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
== 특징 == | == 특징 == | ||
===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역 === | ===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역 === | ||
− | 소사역은 [[경인선]]의 복복선화와 함께 1997년 4월 30일에 부천역과 역곡역 사이에 뒤늦게 추가 개통한 역이다. 그래서 경인선의 다른 역들에 비교해 역 상권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고, 급행열차도 정차하지 않는다. 2003년 소사역 일일 이용객 수는 4만 7천 명대였으나, | + | 소사역은 [[경인선]]의 복복선화와 함께 [[1997년]] 4월 30일에 부천역과 역곡역 사이에 뒤늦게 추가 개통한 역이다. 그래서 경인선의 다른 역들에 비교해 역 상권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고, 급행열차도 정차하지 않는다. 2003년 소사역 일일 이용객 수는 4만 7천 명대였으나, 2016년은 2만 6천 명대로 주저앉았다. 10여 년 만에 역 이용객 수가 거의 반 토막 난 셈으로, 매우 가파른 속도로 이용객이 줄어든 것이다. 이는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소사역을 이용하는 대신, 버스를 타고 [[부천역]]이나 [[역곡역]] 등으로 이동하여 급행열차를 탑승하는 것이 이동 시간상 유리하기 때문이다. |
=== 1호선-서해선 환승 === | === 1호선-서해선 환승 === |
2025년 4월 4일 (금) 09:58 기준 최신판
![]()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 ●서해선 환승게이트 | |
로마자 역명 | Sosa |
---|---|
한자 역명 | 素砂 |
소재지 | ![]() |
역 번호 | 147 (1호선) S16 (서해선) |
운영 | ![]() |
노선 | ![]() |
승강장 구조 | 2복선 쌍섬식 승강장 (1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서해선) |
개역일 | 1997년 4월 30일 |
“ |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해선이 만나는 역 | ” |
소사(서울신학대)역(한자: 素砂驛)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역[편집]
소사역은 경인선의 복복선화와 함께 1997년 4월 30일에 부천역과 역곡역 사이에 뒤늦게 추가 개통한 역이다. 그래서 경인선의 다른 역들에 비교해 역 상권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고, 급행열차도 정차하지 않는다. 2003년 소사역 일일 이용객 수는 4만 7천 명대였으나, 2016년은 2만 6천 명대로 주저앉았다. 10여 년 만에 역 이용객 수가 거의 반 토막 난 셈으로, 매우 가파른 속도로 이용객이 줄어든 것이다. 이는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소사역을 이용하는 대신, 버스를 타고 부천역이나 역곡역 등으로 이동하여 급행열차를 탑승하는 것이 이동 시간상 유리하기 때문이다.
1호선-서해선 환승[편집]
1997년 개통한 지 21년 만인 2018년에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소사역은 1호선과 서해선간의 환승역이 되었다. 2023년에는 대곡역과 소사역을 잇는 연장구간이 개통하게 되면서, 이 역에서 김포공항까지 곧바로 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사역은 1호선과 서해선의 중요한 환승역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부천 지역의 교통 중심지로 떠오르게 되었다. 급행열차도 정차하지 않던 변두리역이 교통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된 것이다.
부역명[편집]
부역명은 서울신대이다. 서울신학대학교가 인근에 있어서 붙여진 부역명이다. 서울신학대학교는 소사역에서 걸어서 10분 정도 거리에 있다.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 가까이 있다. 심혈관질환 전문병원인 세종병원이 서울신학대학교 앞에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