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기(경희대앞)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회기 평면교차 구간)
6번째 줄: 6번째 줄:
 
|배경색 = #0066B3
 
|배경색 = #0066B3
 
|한글 역명 = 회기<small>(경희대앞)</small>
 
|한글 역명 = 회기<small>(경희대앞)</small>
|로마자 역명 = Hoegi
+
|로마자 역명 = Hoegi<small>(Kyeonghee University)</small>
 
|한자 역명 = 回基
 
|한자 역명 = 回基
 
|이전 역명 =  
 
|이전 역명 =  
29번째 줄: 29번째 줄:
 
|배경색 = #0066B3
 
|배경색 = #0066B3
 
|한글 역명 = 회기<small>(경희대앞)</small>
 
|한글 역명 = 회기<small>(경희대앞)</small>
|로마자 역명 = Hoegi
+
|로마자 역명 = Hoegi<small>(Kyeonghee University)</small>
 
|한자 역명 = 回基
 
|한자 역명 = 回基
 
|이전 역명 =  
 
|이전 역명 =  
45번째 줄: 45번째 줄:
 
|비고 = }}
 
|비고 = }}
  
'''회기<small>(경희대앞)</small>역'''({{llang|en|Hoegi Station}}, {{llang|ko-Hani|回基驛}})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원선]]과 [[중앙선]]이 분기하는 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에는 중앙선이 [[청량리역]]에서 분기하여 회기역까지 병행한다.
+
'''회기<small>(경희대앞)</small>역'''(Hoegi<small>(Kyeonghee University)</small>Station, {{llang|ko-Hani|回基驛}})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원선]]과 [[중앙선]]이 분기하는 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에는 중앙선이 [[청량리역]]에서 분기하여 회기역까지 병행한다.
  
 
역명은 인근에 있었던 폐비 윤씨의 묘인 회묘에서 유래되었다.
 
역명은 인근에 있었던 폐비 윤씨의 묘인 회묘에서 유래되었다.

2025년 3월 29일 (토) 17:13 판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 회기(경희대앞)외대앞
한글 역명 회기(경희대앞)
로마자 역명 Hoegi(Kyeonghee University)
한자 역명 回基
소재지 태극기.pn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역 등급 배치간이역
운영 코레일 로고.png
노선 경원본선
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구조 1홈 2선
개역일 1980년 4월 1일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 회기 → 중랑
한글 역명 회기(경희대앞)
로마자 역명 Hoegi(Kyeonghee University)
한자 역명 回基
소재지 태극기.pn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역 등급 배치간이역
운영 코레일 로고.png
노선 중앙본선
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구조 1홈 2선
개역일 2005년 12월 16일

회기(경희대앞)(Hoegi(Kyeonghee University)Station, 한자: 回基驛)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원선중앙선이 분기하는 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에는 중앙선이 청량리역에서 분기하여 회기역까지 병행한다.

역명은 인근에 있었던 폐비 윤씨의 묘인 회묘에서 유래되었다.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회기 평면교차 구간

서울 지하철 1호선지하 청량리역회기역을 잇는 연결 선로를 통해 경원선에 접속한다. 이 때 지하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방향 연결선과 경원선 하행(원산 방면) 선로가 서로 건너가게 되는데, 문제는 이 교차 방식이 평면 교차라는 데 있었다. 이 시기엔 경원선만을 운행한 용산 - 성북(현.광운대역) 운행계통(통칭 국철)이 있었는데, 이 평면 교차로 인해 열차 운행 지연 및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했다.[1]

이러한 평면 교차를 해소한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평면교차를 입체화하거나, 문제가 되는 운행 계통의 노선을 다른 방향으로 빼거나.

결국 2005년 말 중앙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덕소 구간의 복선전철화와 함께 경원선을 달리던 국철 노선을 회기역에서 중앙선으로 빼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라는 운행 계통으로 독립시키면서 이 문제가 해결된다.

승강장

외대앞·중랑

| 1 2 | | 3 4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서쪽 섬식 승강장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동쪽 섬식 승강장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사용하고 있다.

주석

  1. ^ 게다가 이 당시의 경춘선은 성북역에서 경원선으로부터 분기했으며 경춘선 무궁화호는 청량리역에서 착발하여 이 평면 교차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