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기(경희대앞)역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18.219.87.92 (토론)님의 2025년 3월 31일 (월) 14:55 판
한글 역명 | 회기(경희대앞) |
---|---|
로마자 역명 | Hoegi(Kyeongheedae Ap) |
한자 역명 | 回基 |
소재지 | ![]() |
역 등급 | 배치간이역 |
운영 | ![]() |
노선 | ●경원본선 |
운행 계통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승강장 구조 | 1홈 2선 |
개역일 | 1980년 4월 1일 |
한글 역명 | 회기(경희대앞) |
---|---|
로마자 역명 | Hoegi(Kyeongheedae Ap) |
한자 역명 | 回基 |
소재지 | ![]() |
역 등급 | 배치간이역 |
운영 | ![]() |
노선 | ●중앙본선 |
운행 계통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구조 | 1홈 2선 |
개역일 | 2005년 12월 16일 |
회기(경희대앞)역(Hoegi(Kyeongheedae Ap)Station, 한자: 回基驛)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원선과 중앙선이 분기하는 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에는 중앙선이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에서 분기하여 회기역까지 병행한다.
역명은 인근에 있었던 폐비 윤씨의 묘인 회묘에서 유래됐다.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회기 평면교차 구간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지하 청량리역과 회기역을 잇는 연결 선로를 통해 경원선에 접속한다. 이 때 지하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방향 연결선과 경원선 하행(원산 방면) 선로가 서로 건너가게 되는데, 문제는 이 교차 방식이 평면 교차라는 데 있었다. 이 시기엔 경원선만을 운행한 용산 - 성북(현.광운대역) 운행계통(통칭 국철)이 있었는데, 이 평면 교차로 인해 열차 운행 지연 및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했다.[1]
이러한 평면 교차를 해소한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평면교차를 입체화하거나, 문제가 된 운행 계통의 노선을 다른 방향으로 빼거나.
결국 2005년 말 중앙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덕소 구간의 복선전철화와 함께 경원선을 달리던 국철 노선을 회기역에서 중앙선으로 빼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라는 운행 계통으로 독립시키면서 이 문제가 해결된다.
승강장
| 1 2 | | 3 4 |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서쪽 섬식 승강장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동쪽 섬식 승강장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사용하고 있다.
주석
- ^ 게다가 이 당시의 경춘선은 성북역에서 경원선으로부터 분기했으며 경춘선 무궁화호는 청량리역에서 착발하여 이 평면 교차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춘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