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15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O157.jpg|300픽셀|섬네일|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전자현미경 사진]] | [[파일:O157.jpg|300픽셀|섬네일|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전자현미경 사진]] | ||
− | [[파일:O157모에화.png|300픽셀|섬네일|1996년에 전국적인 O-157 감염사태가 벌어졌던 일본에서는 O-157 모에화가 상당히 흥했다.]] | + | [[파일:O157모에화.png|300픽셀|섬네일|1996년에 전국적인 O-157 감염사태가 벌어졌던 일본에서는 O-157 모에화가 상당히 흥했다.<br/>위 그림은 [[모야시몬]]에 나오는 O-157]] |
'''O-157''', 또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은 [[대장균|장출혈성대장균]]의 한 종류로서 오염된 음식을 통해 [[식중독]]을 유발한다. 감염증상으로는 출혈이 동반되는 [[설사]]와 [[신장]] 기능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O-157''', 또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은 [[대장균|장출혈성대장균]]의 한 종류로서 오염된 음식을 통해 [[식중독]]을 유발한다. 감염증상으로는 출혈이 동반되는 [[설사]]와 [[신장]] 기능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진단 == | == 진단 == | ||
− | 진단은 [[분변]]에서 세균을 검출함으로서 이뤄질 수 있다. 채취한 샘플을 [[ | + | 진단은 [[분변]]에서 세균을 검출함으로서 이뤄질 수 있다. 채취한 샘플을 [[소르비톨]]이 함유된 MacConkey 한천배지([[sorbitol-MacConkey agar]], '''SMAC agar''')에서 배양하면 O-157 집락은 소르비톨을 발효시킬 수 없기 때문에 투명하게 보인다. 반면, 소르비톨을 분해할 수 있는 다른 대장균은 빨간색의 집락을 형성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진단법은 아니고, 요즘엔 대부분 [[PCR]]이나 [[형광항체법]]으로 진단한다. |
== 예방 == | == 예방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분류:세균]] | [[분류:세균]] | ||
+ | [[분류:인수공통감염병]] |
2021년 9월 13일 (월) 23:57 기준 최신판
O-157, 또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은 장출혈성대장균의 한 종류로서 오염된 음식을 통해 식중독을 유발한다. 감염증상으로는 출혈이 동반되는 설사와 신장 기능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감염은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질병은 오염된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 분쇄육을 충분히 익히지 않고 먹음으로서 유발된다.
증상[편집]
O-157 감염은 종종 심각한 급성 출혈성 설사와 복부 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출혈 없이 설사만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열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5-10일 내로 저절로 낫는다.
5세 미만의 어린이와 노인에서는 적혈구의 파괴와 신부전이 동반되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이 유발될 수 있다. 전체 감염자의 2-7%에서 이러한 합병증이 유발된다.
진단[편집]
진단은 분변에서 세균을 검출함으로서 이뤄질 수 있다. 채취한 샘플을 소르비톨이 함유된 MacConkey 한천배지(sorbitol-MacConkey agar, SMAC agar)에서 배양하면 O-157 집락은 소르비톨을 발효시킬 수 없기 때문에 투명하게 보인다. 반면, 소르비톨을 분해할 수 있는 다른 대장균은 빨간색의 집락을 형성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진단법은 아니고, 요즘엔 대부분 PCR이나 형광항체법으로 진단한다.
예방[편집]
용변을 보거나 (특히 설사 증상이 있는 아이의) 귀저기를 간 뒤에 손 씻기를 하는 것만으로도 전파를 상당 부분 감소시킬 수 있다. 설사 증상이 있는 사람은 공중목욕탕이나 수영장에 가지 않아야 하며 음식 조리를 하지 않아야 한다.
식중독의 원인 | |
---|---|
세균 | |
바이러스 | |
곰팡이독 | |
식물성 자연독 | |
동물성 자연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