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랑진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소재지 = {{태극기}} [[경상남도]] [[밀양시]] | |소재지 = {{태극기}} [[경상남도]] [[밀양시]]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S}}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ITX-새마을}}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S}}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
|역 번호 = | |역 번호 =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삼랑진역'''({{llang|ko-Hani|三浪津驛}})은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경전선]]의 기점이 되는 철도역이다. 삼랑진이라는 역명은 세(三) 개의 물결(浪)이 만나 일렁이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밀양강]]이 [[낙동강]]과 합쳐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 주변으로는 삼랑진읍이라는 조그마한 시골 마을 하나밖에 없어 역 이용객 자체는 많지 않지만, 경부선과 경전선이 만나는 곳이어서 환승객이 많은 편이다. 지하통로에 삼랑진역의 옛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역 구내에 있는 급수탑은 1923년 만들어진 것으로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이었다. 등록문화재 제 51호로 지정되어 있다. | '''삼랑진역'''({{llang|ko-Hani|三浪津驛}})은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경전선]]의 기점이 되는 철도역이다. 삼랑진이라는 역명은 세(三) 개의 물결(浪)이 만나 일렁이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밀양강]]이 [[낙동강]]과 합쳐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 주변으로는 삼랑진읍이라는 조그마한 시골 마을 하나밖에 없어 역 이용객 자체는 많지 않지만, 경부선과 경전선이 만나는 곳이어서 환승객이 많은 편이다. 지하통로에 삼랑진역의 옛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역 구내에 있는 급수탑은 1923년 만들어진 것으로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이었다. 등록문화재 제 51호로 지정되어 있다. | ||
− |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하며, [[ITX-새마을]] | + |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하며, [[ITX-새마을]]은 일부 정차한다. |
== 사진 == | == 사진 ==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1 | ! 1 | ||
| 경부선 | | 경부선 |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ITX-새마을}} {{철도 링크|무궁화}} |
| [[물금역|물금]]·[[구포역|구포]]·[[부산역|부산]] 방면 | | [[물금역|물금]]·[[구포역|구포]]·[[부산역|부산]] 방면 | ||
|- | |- | ||
! 2 | ! 2 | ||
| 경부선 | | 경부선 |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ITX-새마을}} {{철도 링크|무궁화}} |
| [[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 방면 | | [[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 방면 | ||
|- | |- |
2023년 10월 11일 (수) 09:13 기준 최신판
![]() | |
로마자 역명 | Samnangjin |
---|---|
한자 역명 | 三浪津 |
소재지 | ![]() |
정차하는 열차 | 새마을 · 무궁화 · S |
운영 | ![]() |
노선 | 경부선 · 경전선 |
승강장 구조 | 3면 6선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삼랑진역(한자: 三浪津驛)은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경전선의 기점이 되는 철도역이다. 삼랑진이라는 역명은 세(三) 개의 물결(浪)이 만나 일렁이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밀양강이 낙동강과 합쳐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 주변으로는 삼랑진읍이라는 조그마한 시골 마을 하나밖에 없어 역 이용객 자체는 많지 않지만, 경부선과 경전선이 만나는 곳이어서 환승객이 많은 편이다. 지하통로에 삼랑진역의 옛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역 구내에 있는 급수탑은 1923년 만들어진 것으로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이었다. 등록문화재 제 51호로 지정되어 있다.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하며, ITX-새마을은 일부 정차한다.
사진[편집]
승강장[편집]
↑한림정(경전선)/↑밀양(경부선) | |
| 3 | | 2 | | 1 | | |
원동↓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1 | 경부선 | 새마을 무궁화 | 물금·구포·부산 방면 |
2 | 경부선 | 새마을 무궁화 | 동대구·대전·서울 방면 |
3 | 경전선 | 무궁화 | 마산·진주·순천 방면 |
경부선 |
---|
경전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