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1번째 줄: 11번째 줄:
 
|성향=[[중도우익]] 내지는 [[우익]]
 
|성향=[[중도우익]] 내지는 [[우익]]
 
|상징색=빨간색 (+파란색)
 
|상징색=빨간색 (+파란색)
|국회의석수= 99석/300석
+
|국회의석수= 97석/300석
 
|웹사이트 = [http://www.saenuriparty.kr/ 새누리당]
 
|웹사이트 = [http://www.saenuriparty.kr/ 새누리당]
 
|배경색 = #CC0000
 
|배경색 = #CC0000

2017년 1월 20일 (금) 11:07 판

자유한국당
[[파일:새누리당.png|120px]]
로고
상징색 빨간색 (+파란색)
이념 보수주의, 애국주의, 반공주의
당직자
원내대표 정진석

새누리당(영어: Saenuri Party)은 박근혜 대통령이 소속되어 있는 여당이다. 1997년 출범한 한나라당을 전신으로 하며, 제19대 총선을 앞둔 2012년 2월 2일에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꾸었다. 이념적으로 우익-보수주의 정당에 해당한다.

‘새누리’는 ‘새로운 세상’이라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로고는 국민의 소망을 담는 그릇, 국민의 소리를 듣는 , 모두의 기쁨을 표현하는 웃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다. 기존의 보수 정당들이 보수주의를 상징하는 파란색 계열 색상을 상징색으로 채택한 것과 달리, 과감하게 빨간색을 정당 색상으로 채택하였다. 태극기에 사용되는 빨간색을 그대로 당 상징색으로 사용하여 애국심을 표현하면서도 개혁, 젊음, 생동감 등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역사

이명박 정권

새누리당의 전신은 1997년 창당된 한나라당이다. 한나라당은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을 당선시키며 여당이 되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권 말기에 치러진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한나라당은 참패의 원인을 ‘정권 심판론’으로 분석하고, 박근혜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대책을 구상하였다. 한나라당은 당 쇄신 차원에서 2012년 2월,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당 상징색도 기존의 하늘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하였는데, 여기에는 과거역사 단절 및 이명박 정권과의 거리 두기라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 이러한 작전이 잘 먹혀들어가면서, 새누리당은 제19대 총선에서 야권연대(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에게 참패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과반의석(152석/300석)을 따내면서 압승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19대 총선의 승리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활약한 박근혜의 행보에도 날개를 달아준 셈이 되었다. 박근혜는 제18대 대선에 출마하여 51.6%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8.0%의 득표율을 기록한 민주통합당문재인 후보를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이로서 새누리당은 여당의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박근혜 정권

박근혜 대통령을 배출한 ‘여당’ 새누리당은 ‘여당은 반드시 지방선거에서 참패한다’는 징크스를 뒤엎고 2014년 치러진 제6회 지방선거에서 상당히 선방하였다. 세월호 참사 직후에 치러졌기 때문에 박근혜정권 심판론이 예상되던 상황이었던지라 새누리당의 선전은 의외의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17개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중 8군데에서 승리하였고, 226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중 절반이 넘는 117군데에서 승리하였다. 하지만 2016년 치러진 제20대 총선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무능과 소통부재, 그리고 공천과정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계파 갈등 등의 요인으로 인해 크게 패하였다. 20대 총선을 계기로 새누리당은 원내 제1정당 자리를 더불어민주당에 내어주고 원내 제2정당으로 물러났다.

역대 선거결과

대통령선거

선거 후보 총 득표수 득표율 결과 정당명
제12대 (1981년) 전두환 4,755(간접선거) 90.2%
 
당선 민주정의당
제13대 (1987년) 노태우 8,282,738 36.6%
 
당선 민주정의당
제14대 (1992년) 김영삼 9,977,332 42.0%
 
당선 민주자유당
제15대 (1997년) 이회창 9,935,718 38.7%
 
낙선 한나라당
제16대 (2002년) 이회창 11,443,297 46.5%
 
낙선 한나라당
제17대 (2007년) 이명박 11,492,389 48.7%
 
당선 한나라당
제18대 (2012년) 박근혜 15,773,128 51.6%
 
당선 새누리당

국회의원 선거

선거 정당명 비례대표 득표 획득한 국회의석수 결과 당 대표
제11대 (1981년) 민주정의당 5,776,624 151석/276석
 
제1정당 전두환
제12대 (1985년) 민주정의당 7,040,811 148석/276석
 
제1정당 전두환
제13대 (1988년) 민주정의당 6,675,494 125석/299석
 
제1정당 노태우
제14대 (1992년) 민주자유당 7,923,719 149석/299석
 
제1정당 노태우
제15대 (1996년) 신한국당 6,783,730 139석/299석
 
제1정당 김영삼
제16대 (2000년) 한나라당 7,365,359 133석/273석
 
제1정당 이회창
제17대 (2004년) 한나라당 7,613,660 121석/299석
 
제2정당 박근혜
제18대 (2008년) 한나라당 6,421,727 153석/299석
 
제1정당 강재섭
제19대 (2012년) 새누리당 9,130,651 153석/300석
 
제1정당 박근혜
제20대 (2016년) 새누리당 7,960,272 122석/300석
 
제2정당 김무성

지방선거

선거 정당명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자치의원 기초자치의원 평가 당 대표
제1회 (1995년) 민주자유당 5석/15석
 
70석/230석
 
284석/875석
 
백중열세 김영삼
제2회 (1998년) 한나라당 6석/16석
 
74석/232석
 
224석/616석
 
백중열세 조순
제3회 (2002년) 한나라당 11석/16석
 
136석/232석
 
467석/682석
 
우세 서청원
제4회 (2006년) 한나라당 12석/16석
 
155석/230석
 
557석/733석
 
1621석/2888석
 
우세 박근혜
제5회 (2010년) 한나라당 6석/16석
 
82석/228석
 
288석/762석
 
1247석/2888석
 
백중열세 정몽준
제6회 (2014년) 새누리당 8석/17석
 
117석/226석
 
416석/789석
 
1413석/2898석
 
백중우세 이한구

지지기반

  • 나이 : 60대 이상 > 50대 > 40대 > 20-30대
  • 지역 : 경상도 >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 > 전라도
  • 직업 : 농림어업 종사자, 가정주부 > 자영업자, 블루칼라, 무직·은퇴 > 화이트칼라, 학생
  • 대통령 직무 : 박근혜 대통령 긍정평가 > 박근혜 대통령 부정평가
  • 이념 : 보수 > 중도 > 진보

정책

새누리당은 정치적으로 우익-보수주의/자유주의 노선을 채택하며, 법치주의를 강조한다.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 노선을 채택하며, 자유시장경제원리(경쟁, 기회평등)를 강조한다. 경제개방정책에 호의적이어서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복지 확대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더 뚜렷해졌다. 북한을 군사적 위협요소로 인식하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대북정책에서는 국익을 우선시하며, 일방적인 퍼주기식 대북정책은 경계한다.

복지

  1. 선별적(맞춤형) 복지
  2. 다문화가족, 탈북자에 대한 복지 및 고용혜택 제공

일자리

  1. 일자리창출과 고용안정 (고용률 중시)
  2. 청년일자리 대책 - 산·학·연 연계 강화 및 창업 장려
  3. 노인, 장애인,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고용혜택 제공

경제

  1. 시장경제(경쟁)원리에 입각한 경제정책,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확대
  2. 벤처기업 및 중소기업 지원, 농어업분야 지원

과학

  1. 과학기술분야 국가지원 - 미래성장동력 확충
  2. 수학-과학 기술융합교육 활성화, 이공계 대학교육 강화

교육

  1. 학교의 자율성 강화 (수준별 교육)
  2. 맞춤형 진로교육 내실화, 인성교육 강화
  3. 성인교육 기회 확대

사회

  1. 전통적인 가족관계(가정교육, 자식의 부모부양) 강조
  2. 국민안전과 관련된 공공부문(경찰, 소방)의 인력과 예산 대폭 확대
  3. 여성의 직장생활 적극 지원
  4. 문화교류·개방 추진
  5. 재외동포 지원

환경

  1. 녹색산업 육성

외교, 통일

  1. 군 정예화, 국방력 강화, 한미동맹을 통한 평화 유지
  2. 경제영토 확장
  3.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질서를 바탕으로 한 평화통일, 북한 핵문제에 대한 단호한 대처, 북한인권 개선

정치

  1. 사회네트워크형 정당 건설
  2. 지역별 거점도시 구축

정부

  1. 법질서 확립, 국가권력기관 신뢰 회복
  2. 균형재정 지향, 국가채무 관리, 조세정의 실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