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곡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철도역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그림 = 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경원선}} |역명 = 전곡 |이전역명 = 한탄강역|...)
 
(역사)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그림 = [[파일:전곡역.jpg|320픽셀]]
 
|그림 = [[파일:전곡역.jpg|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경원선}}
+
|그림설명 =
 +
|노선 = {{철도 링크|수도권 전철 1호선}}
 
|역명 = 전곡
 
|역명 = 전곡
|이전역명 = [[한탄강역|한탄강]]
+
|이전역명 = [[연천역|연천]]
|다음역명 = [[연천역|연천]]
+
|다음역명 = [[청산역|청산]]
 
|로마자 역명 = Jeongok
 
|로마자 역명 = Jeongok
 
|한자 역명 = 全谷
 
|한자 역명 = 全谷
 
|소재지 = {{태극기}} [[경기도]] [[연천군]]
 
|소재지 = {{태극기}} [[경기도]] [[연천군]]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통근}}
+
|정차하는 열차 =  
 
|개역일 = [[1912년]] [[7월 25일]]
 
|개역일 = [[1912년]] [[7월 25일]]
|역 번호 =
+
|역 번호 = 100-2
|승강장 구조 =
+
|승강장 구조 = 섬식
 
|일 평균 승차 =
 
|일 평균 승차 =
 
}}
 
}}
22번째 줄: 23번째 줄:
 
연천군 전곡읍 내 한가운데에 있는 역으로, 전곡읍 지역의 교통, 상업 중심지이다. 역 근처에 전곡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좁은 역 광장에는 연천로타리클럽에서 기증한 시계탑이 서 있다. 이 시계탑 아랫부분에는 ‘超我의 奉仕’(초아의 봉사)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역 건물은 단층 벽돌 건물인데, 역 한쪽 벽면이 벽화로 칠해져 있어 정겨움을 더한다.  
 
연천군 전곡읍 내 한가운데에 있는 역으로, 전곡읍 지역의 교통, 상업 중심지이다. 역 근처에 전곡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좁은 역 광장에는 연천로타리클럽에서 기증한 시계탑이 서 있다. 이 시계탑 아랫부분에는 ‘超我의 奉仕’(초아의 봉사)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역 건물은 단층 벽돌 건물인데, 역 한쪽 벽면이 벽화로 칠해져 있어 정겨움을 더한다.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인근 부대에서 근무하는 [[군인]]의 이용이 많은 역이다. 연천군에서 가장 이용객 수가 많은 역으로, [[연천역]]보다도 이용객 수가 많다.  
+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인근 부대에서 근무하는 [[군인]]의 이용이 많은 역이다. 연천군에서 가장 이용객 수가 많은 역으로, [[연천역]]보다도 이용객 수가 많다. 전곡읍이 사실상 연천군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역사 ==
 
== 역사 ==
 
[[38선]] 북쪽에 있는 역으로, 38선으로 남북이 분단된 직후에는 [[북한]]의 최남단 역이었다. 그러나 당시 북한은 전곡역을 운영하지 않고 폐역 처리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전곡 지역을 수복하면서 전곡역은 [[남한]]의 역이 되었다.  
 
[[38선]] 북쪽에 있는 역으로, 38선으로 남북이 분단된 직후에는 [[북한]]의 최남단 역이었다. 그러나 당시 북한은 전곡역을 운영하지 않고 폐역 처리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전곡 지역을 수복하면서 전곡역은 [[남한]]의 역이 되었다.  
  
2020년에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가 되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이 역까지 올 수 있게 된다. 전철화에 발맞추어 역 건물도 개량될 예정이다. 역위치는 바뀌지 않을 예정이다.  
+
2020년에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가 되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이 역까지 올 수 있게 된다. 전철화에 발맞추어 역 건물도 개량될 예정이다. 역위치는 바뀌지 않을 예정이다.
 +
 
 +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 되었다.
  
 
== 승강장 ==
 
== 승강장 ==
[[파일:전곡역승강장.jpg|250픽셀|섬네일|전곡역승강장]]
+
[[파일:전곡역승강장.jpg|300픽셀|섬네일|전곡역승강장]]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
| <small>↑[[한탄강역|한탄강]]</small>
+
| <small>↑[[연천역|연천]]</small>
 
|-
 
|-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철도 색상|철도}};">승강장</span> {{!}}
+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철도 색상|철도}};">2 1</span> {{!}}
 
|-
 
|-
| <small>[[연천역|연천]]↓</small>
+
| <small>[[청산역|청산]]↓</small>
 
|}
 
|}
  
 
{|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style="" class="wikitable"
 
{|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style="" class="wikitable"
 
|-
 
|-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승강장 번호 !! 노선 !! 방면
 +
|-
 +
! 1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철도 링크|1}} [[동두천역|동두천]]·[[의정부역|의정부]]·[[광운대역|광운대]]·[[구로역|구로]]·[[부평역|부평]]·[[인천역|인천]] 방면
 +
|-
 +
! 승강장 번호 !! 노선 !! 방면
 
|-
 
|-
! -
+
! 2
| 경원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철도 링크|통근}}
+
| {{철도 링크|1}} [[연천역|연천]] 방면
| [[백마고지역|백마고지]]·[[연천역|연천]]·[[동두천역|동두천]] 방면
 
 
|}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분류:연천군]]
 
[[분류:연천군]]

2024년 3월 19일 (화) 22:31 기준 최신판

연천 ← 전곡 → 청산
전곡역.jpg
로마자 역명 Jeongok
한자 역명 全谷
소재지 태극기.png 경기도 연천군
역 번호 100-2
운영 코레일 로고.png
승강장 구조 섬식
개역일 1912년 7월 25일

전곡역(한자: 全谷驛)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 있는 경원선의 철도역이다.

특징[편집]

연천군 전곡읍 내 한가운데에 있는 역으로, 전곡읍 지역의 교통, 상업 중심지이다. 역 근처에 전곡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좁은 역 광장에는 연천로타리클럽에서 기증한 시계탑이 서 있다. 이 시계탑 아랫부분에는 ‘超我의 奉仕’(초아의 봉사)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역 건물은 단층 벽돌 건물인데, 역 한쪽 벽면이 벽화로 칠해져 있어 정겨움을 더한다.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인근 부대에서 근무하는 군인의 이용이 많은 역이다. 연천군에서 가장 이용객 수가 많은 역으로, 연천역보다도 이용객 수가 많다. 전곡읍이 사실상 연천군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편집]

38선 북쪽에 있는 역으로, 38선으로 남북이 분단된 직후에는 북한의 최남단 역이었다. 그러나 당시 북한은 전곡역을 운영하지 않고 폐역 처리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전곡 지역을 수복하면서 전곡역은 남한의 역이 되었다.

2020년에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가 되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이 역까지 올 수 있게 된다. 전철화에 발맞추어 역 건물도 개량될 예정이다. 역위치는 바뀌지 않을 예정이다.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 되었다.

승강장[편집]

전곡역승강장
연천
| 2 1 |
청산
승강장 번호 노선 방면
1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의정부·광운대·구로·부평·인천 방면
승강장 번호 노선 방면
2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