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랑진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사진)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gallery widths=200px perrow=4> | <gallery widths=200px perrow=4> | ||
파일:삼랑진역사.jpg|삼랑진역 역사 내부 | 파일:삼랑진역사.jpg|삼랑진역 역사 내부 | ||
− | + | 파일:삼랑진통로.jpg|환승통로. 벽에 걸린 사진들이 인상적이다. | |
</gallery> | </gallery> | ||
2014년 8월 31일 (일) 04:26 판
![]() | |
로마자 역명 | Samnangjin |
---|---|
한자 역명 | 三浪津 |
소재지 | ![]() |
운영 | ![]() |
노선 | 경부선 · 경전선 |
승강장 구조 | 3면 6선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삼랑진역(한자: 三浪津驛)은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경전선의 기점이 되는 철도역이다. 삼랑진이라는 역명은 세(三) 개의 물결(浪)이 만나 일렁이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밀양강이 낙동강과 합쳐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 주변으로는 삼랑진읍이라는 조그마한 시골 마을 하나밖에 없어 역 이용객 자체는 많지 않지만, 경부선과 경전선이 만나는 곳이어서 환승객이 많은 편이다. 지하통로에 삼랑진역의 옛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증기기관차가 다니던 시절 사용되던 급수탑이 아직까지도 남아 있으며,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하며, 새마을호와 KTX는 모두 통과한다.
사진
승강장
↑ 밀양/한림정 | |
| 3 | | 2 | | 1 | | |
원동 ↓ |
경부선 |
---|
경전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