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열차 편성 = | |열차 편성 = | ||
|영업 거리 = 252.5km | |영업 거리 = 252.5km | ||
− | |소요 시간 = 2시간 43분 (서대전-목포, | + | |소요 시간 = 2시간 43분 (서대전-목포, ITX-새마을) |
|표정 속도 = 91km/h (〃) | |표정 속도 = 91km/h (〃) |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2편 운행 (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2편 운행 (ITX-새마을)<br>하루 왕복 6편 운행 (무궁화호) |
|개통일 = 1914년 1월 11일 | |개통일 = 1914년 1월 11일 | ||
|폐선일 = | |폐선일 = |
2015년 1월 29일 (목) 19:49 판
![]() 호남선의 종착역인 목포역 300픽셀 | |
한글 표기 | 호남선 |
---|---|
영문 표기 | Honam Line |
한자 표기 | 湖南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대전조차장 |
종점 | 목포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영업 거리 | 252.5km |
소요 시간 | 2시간 43분 (서대전-목포, ITX-새마을) |
표정 속도 | 91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2편 운행 (ITX-새마을) 하루 왕복 6편 운행 (무궁화호) |
개통일 | 1914년 1월 11일 |
“ | 비 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 | ” |
호남선(한자: 湖南線)은 호남 지역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철도 노선이다. 주로 서울에서 광주, 목포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을 태워 나르는 역할을 한다.
노선표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서대전 | 5.7 | 5.7 | KTX 새마을 무궁화 S | (경부선)[1] · 대전선 | 대전광역시 | 중구 |
계룡 | 15.6 | 25.4 | (KTX) (새마을) (무궁화) | 충청남도 | 계룡시 | |
연산 | 14.2 | 39.6 | (무궁화) | 논산시 | ||
논산 | 11.2 | 50.8 | (KTX) 새마을 무궁화 | |||
강경 | 9.9 | 60.7 | (새마을) (무궁화) | |||
함열 | 11.1 | 71.8 | (무궁화) | 전라북도 | 익산시 | |
익산 | 16.1 | 87.9 | KTX 새마을 무궁화 S | 전라선 · 장항선 | ||
김제 | 17.7 | 105.6 | (KTX) 새마을 무궁화 | 김제시 | ||
신태인 | 12.3 | 117.9 | (새마을) 무궁화 | 정읍시 | ||
정읍 | 13.5 | 131.4 | (KTX) 새마을 무궁화 | |||
백양사 | 17.2 | 148.6 | (무궁화) | 전라남도 | 장성군 | |
장성 | 15.2 | 163.8 | (KTX) 새마을 무궁화 | |||
광주송정 | 21.9 | 185.7 | KTX 새마을 무궁화 | 경전선 · 광주선 | 광주광역시 | 광산구 |
나주 | 15.8 | 201.5 | (KTX) 새마을 무궁화 | 전라남도 | 나주시 | |
다시 | 7.4 | 208.9 | (무궁화) | |||
함평 | 10.0 | 218.9 | 새마을 무궁화 | 함평군 | ||
무안 | 7.6 | 226.5 | (무궁화) | 무안군 | ||
몽탄 | 3.8 | 230.3 | (무궁화) | |||
일로 | 9.6 | 239.9 | 새마을 (무궁화) | |||
임성리 | 5.3 | 245.2 | (무궁화) | 목포시 | ||
목포 | 7.3 | 252.5 | KTX 새마을 무궁화 | |||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
- ^ 정확히는 서대전역에서 5.7km 앞에 있는 대전조차장에서 분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