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118.219.87.92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18.219.87.92 (토론)님의 2025년 4월 2일 (수) 20:03 판 (새 문서: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는 경부선, 경인선 복복선화로 인한 수요 증가 및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는 경부선, 경인선 복복선화로 인한 수요 증가 및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폐차로 인한 교체의 일환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통근형 전동차 차량이다. 2011년 3월까지 5000호대 차호를 사용했으나, 2011년 4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311000호대로 개정됐으며, 기존 311000호대의 차량 편성이 완전히 포화 상태에 이른 관계로 2016년 8월 반입분부터 312000호대의 차량번호를 부여받아 반입되고 있다.

기술적 사양

제어기기

1개의 제어장치가 4개의 모터를 제어한 1C4M 방식을 채택했다.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전력차의 비율을 줄였으며, 동시에 회생제동을 채용해 에너지 절약 및 검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라이센스 생산하던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1세대 차량은 신칸센 500호대 전동차에서 사용하던 강제 냉각 방식의 MCK01C형 주변환장치는 COVO52-V0형 주변환장치를 채택했다. 일부 1세대 차량의 경우 주변환장치는 COVO52-V0로 교체됐으나, 견인전동기는 기존의 것 그대로로 스위칭 가청주파수 영역을 벗어난 고속 영역에선 기존 모터 소리가 들린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는 서울교통공사가 운영 중인 직류 구간과 한국철도공사가 운영 중인 교류 구간을 모두 운행하던 전동차라기 때문에 모든 차량이 교직겸용차로 운영되고 있다.

차체 및 대차

차체엔 STS301를 사용한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 스틸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는 1차 현가장치에 코니컬 고무스프링, 2차 현가장치에 에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대차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이뤘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HRDA형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

실내 설비

도입 초기엔 아이보리 색 계통의 색상 구성과 전형적인 모켓 롱 시트로 이뤄졌다. 이후 불연재 교체가 시행되며 파란색흰색 등을 사용해 보다 시원한 계열의 색상 구성을 사용하게 됐고, 시트는 유리 섬을(그라스울) 시트를 사용했다. 객실 천장은 311B01~82편성은 LED 전광판이, 311B83~312B56편성은 LCD TV를 사용했던 승객 안내 장치가 설치됐으며, 냉방은 기존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보다 냉방출력을 강화한 준집중 형식으로 제작했다. 1998년 2월에 도입된 3차 도입분인 311B28~41편성은 1, 10호차 통로문 왼쪽에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설비돼 있다. 이에 따라 311B07~27편성은 1, 10호차에 3인석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전용 좌석을 제거해 휠체어·유모차 공간을 마련했다.

승무 설비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나 ATC 관련 장비는 빠져있으며, 정차역을 오인, 통과한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차역 자동 통부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최초 도입부터 TGIS 모니터를 컬러 모니터로 갖췄으며, 2004년 불연 내장재 개조 이후부턴 서비스 기기 조작을 TGIS와 연계해 자동화했다. 승무기기는 311B01~82편성은 투핸들 방식을, 311B83~312B56편성은 원핸들 방식을 채택했으며, 운전 경계 장치를 갖추고 있다.

편성

편성은 집전장치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은 T차로 구성되어 있다.

◇◇ ◇◇ ◇◇
31x0xx 31x1xx 31x2xx 31x3xx 31x4xx 31x5xx 31x6xx 31x7xx 31x8xx 31x9xx
(50xx) (52xx) (53xx) (58xx) (55xx) (54xx) (59xx) (56xx) (57xx) (51xx)
Tc M M' T M' T1 T M M' Tc
←인천(급행)/서동탄/신창(순천향대)(급행) ※XX는 편성 번호 청량리(급행)/광운대/동두천(급행)/연천→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1x0xx(5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x1xx(52xx) M(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x2xx(53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x3xx(58xx) T(무동력객차)
31x4xx(55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지, 견인전동기)
31x5xx(54xx)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x6xx(59xx) T(무동력객차)
31x7xx(56xx) M(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x8xx(57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x9xx(51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배속

이문차량기지, 구로차량기지, 병점차량기지에 배속돼 있으며, 중정비는 이문차량기지와 수도권 전철 4호선 시흥차량기지 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차량기지에서 진행한다.

도입 역사

최초 도입분은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제작됐으며, 이후 여러 설비를 변경해 총 12사례에 결쳐 도입된 차량이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4세대 나뉜다.

1세대

흔히 납작이라고 부르며 311B01~41편성과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1G06~07편성(도입 당시 501~542편성)이 이에 해당된다. 1996년 3월부터 1998년 8월까지 현대정공 창원공장과 대우중공업 의왕공장에서 제작돼 1996년 3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반입된 차량이다.

1차 도입분(1996년 3월 3일~10월 31일)
2차 도입분(1997년 1월 8일~7월 23일)

1차 도입분은 1997년 5월 30일 경인선 증차분인 311B01~06(당시 5x01~06)편성이, 2차 도입분은 1998년 10월 2일 부평~구로역 복복선 개통분인 311B07(당시 5x07~58)편성과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1G06~07(당시 5x19)편성이 해당된다. 초창기에 반입된 311B01~06(당시 5x01~06)편성은 오랜 기간 시운전 을 거쳐 1997년 5월에서야 정식으로 영업운전에 투입된 차량이다. 311B01~06편성은 출입문과 통로문 모양이 이전 차량들과 같은 부식무늬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1세대,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1세대와 사양이 유사하며,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울리지 않았다. 현재 311B01~02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중 일부 편성의 노후화로 인해 현재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중 일부 편성에 투입돼 운행했고, 2022년 3월을 끝으로 내구 연한 만료로 휴차돼 2022년 11월에 반출이 완료된 상태다. 2차 도입분부턴 출입문과 통로문 모양이 철도청 로고(역삼가) 무늬로 변경됐으며,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그리고 모든 편성이 2014~2017년에 걸쳐 스피커가 개량돼 1차 도입분은 추가되고, 2차 도입분은 경고음이 개선되기도 했다. 반입 당시 도색은 청록색노란색 조합(철도청 색상)을 사용했으나, 2004년 불연 내장재 개조가 이뤄지며 현재의 빨간색, 파란색 조합 도색으로 재도색이 이뤄졌다.

3차 도입분(1998년 2월 10일~8월 10일)

311B28~41(당시 기준 5×29~42)편성은 1974년 4월에 도입됐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폐차를 위해 도입된 차량으로, 1호차와 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추가됐으며, 객실 안내 전광판의 수가 기존 1개에서 2개로 늘어났다.

기타

당시 5x19편성(현재 말소)은 2007년 5월 12일에 일어난 경부선 영등포역 추돌사고로 2량 폐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1G06~07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이다. 311B24~25편성(당시 5×25~26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차량 번호가 중복된 관계로 5×55~56편성으로 도입된 후 해당 기관차의 폐차로 인한 차적 삭제로 정상적인 편성 번호로 변경됐으며, 311B16, 311B35, 311B37~41편성의 주변환장치가 VVVF-GTO에서 VVVF-IGBT로 교체됐다. 또한 311B37편성(당시 기준 5×38편성)은 시범적으로 코모넷 사의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됐으나, 현재는 철거돼 없어졌다. 311B40~41편성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2세대형 부수객차를 개조한 T차 5량이 편입돼 운행됐으나, 노후화로 인해 341602, 311302, 341304, 341604호 등으로 바뀌었다.

2세대

4차 도입분(2002년 1월 7일~6월 1일)
5차 도입분(2002년 7월 4일~2003년 4월 1일)
6차 도입분(2004년 7월 15~31일)
  • 제작사: 주식회사 로템

흔히 동글이라고 부르며 1세대형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도입됐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대체와 경부선 수원~병점(한신대)~천안부성역 구간의 연장 개통을 대비해 2002년 7월 4일부터 2004년 7월까지에 도입한 311B42~65편성(도입 당시 543~566편성)을 의미한다. 1999년 6~8월2003년 5~6월에 도입된 수도권 전철 4호선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중 전두부 교체형을 바탕으로 해 FRP 소재의 선두부와 UV 코팅이 적용된 객실 측면의 통유리창, 전체적으로 백색이 강조된 실내 설비 등을 추가했다. 그 외의 설비는 기존 도입분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당시 5x43~53편성(변경 후 311B42~52편성)은 옥색청록색의 띠를 두른 도색으로 도입됐으나, 311B53~63편성(당시 554~564편성)은 반입 당시부터 현재의 도색으로 도입됐고, 555~556편성(현.311B54~55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의 차호 중복을 방지하고자 1세대형 전동차를 해당 차호로 도입했던 점이 특징이다.

311B42~45, 311B54~56, 311B59~63편성(당시 543~546, 549, 555~557, 560~564)편성은 주변환장치가 VVVF-GTO에서 VVVF-IGBT로 변경됐고, 2레벨 방식과 자연 냉각형 냉각 장치를 채용했다. 그 중 565~566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IGBT 소자로 반입됐으며, 처음부터 불연 내장재를 채택하고 선두부의 열차 번호 표시 장치가 LED로 바뀌었다. 543~564편성은 도입 당시에 도시바 GTO 소자가 장착돼 반입됐다.

3세대

해당 차량은 2005년 7월부터 2016년 1월까지 5차례에 걸쳐 반입이 이뤄졌다. 반입 시기별 구분은 아래와 같다.

7차 도입분(2005년 7월 1일~11월 23일)
8차 도입분(2005년 12월 22일~2006년 3월 1일)

흔히 초기형 뱀눈이라고 부르며 2005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와 2006년 경원본선 의정부~소요산 구간의 복선 전철화로 인한 전동차 증차 및 경인선 복복선화, 기존 1980년부터 1981년에 도입됐던(실질적으로는 1974년 4월,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도입됐던 1세대형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차량의 내구 연한 경과로 인한 교체를 위해 도입된 차량이다. 도입 당시 차번은 567~592편성으로, 이 가운데 567~578, 581~585편성은 31166~31182편성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586~592편성은 량 수를 8량으로 줄여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로 개번됐으며, 이들 편성에서 빠진 2량씩의 차량들과 579~580편성(현재는 말소)은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2차분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로 개조가 이뤄졌다.

이전 차량과 비교했을 때 전두부의 형태가 변화했으며, 현대로템의 표준형 전동차 설계 기준을 따르고 있다. 실내 설비의 경우 시트 하부에 있던 히터가 경량 프리 히터로, 객실의 출입문 구동 방식이 기존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 모터 전기 구동식으로 변경됐고, 객실 간의 통로에 있던 턱이 낮아지면서 몇 가지 설계 변경이 이뤄졌으며, 81편성(현.31178편성)부턴 객실 환기용 팬과 1인 승무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 2005년 9월현대로템 의왕공장이 폐쇄됐으므로 모든 차량은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된 차량이다. 83편성(현.31180편성)의 5783호(현.311880호) 객차현대로템VVVF-IGBT 2레벨(IPM 모듈화)이 적용돼 2007년에 시범적으로 운행했으며, 현재는 기존의 도시바VVVF-IGBT로 환원된다. 해당 열차는 현재 구로배속 차량이 없다.

9차 도입분 (2012년 8월~10월, 2014년 11월)
10차 도입분 (2013년 8월~10월)
제작사: 현대로템
제어방식: VVVF-IGBT(도시바)
3세대 31188편성

흔히 중기형 뱀눈이, 후기형 뱀눈이라고 부르며 311B83~89, 311B92~94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도입되었던 1000호대 중기 편성폐차로 인해 도입된 차량이다. 경의중앙선 8량에서 6량으로 환원하려고 했을 때 남는 객차를 모아서 활용하다가 다시 8량으로 환원됐기 때문에 2012년까지 도입되기도 했다. 분당선수인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에 기초했으나, 10량 교류, 직류혼용 전동차로 반입이 이뤄졌다. 이 차량부터 천장에 LCD 안내기를 사용 중인 승객 안내 장치를 설비했으며, 차내 LCD 화면에 현재 시각이 표시된다. LED 표출 방식인 전·측면 행선 표시 장치에 표시 중인 글자는 위아래로 움직인다.

311B83~89편성은 2011년에 편성 구성을 완료했으나, 실제로는 2012년에 운행을 개시했다. 그 이유는 본래 2012년엔 6량의 객차만을 신조하여, 당시 8량이었던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를 6량화하던 과정에서 편성에 들어가지 못하고 남은 M, T칸 각 2량씩을 편입시켜 10량을 이룰 계획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복선 전철 개통에 대비해 2014년까지 잔존 차량을 재편입함으로써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전 차량을 8량으로 환원하도록 계획이 바뀌어, 4량의 객차가 321000호대로 환원해 4량의 객차를 신조한 2014년 이전까지는 편성을 운행시키기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311B92~94편성은 2013년 2월 22일~4월 29일에 도입된 차량이다. 1988년에 도입됐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기 편성의 폐차로 인해 도입됐고, 이전까지의 도입분과는 달리, 전조등으로 LED를 채택해 반입, 이 외에도 선두차 측면 코레일 로고 및 출입문 주의(기대지 마시오., 손대지 마시오.), 약냉방차 안내 스티커 변경, 출입문 비상개폐 스위치 안내문 글꼴이 서울서체로 변경 등 작은 변화가 존재했다.

2010년 도입 및 2014년 증결 (2010년 7월~8월, 2014년 6월~7월)

제작사: 현대로템
제어방식: VVVF-IGBT(도시바)

31190편성은 8량이었던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14편성을 개조한 차량이다. 1987년에 도입됐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중기 편성의 폐차로 인해 도입된 차량이기도 하다. 2010년 12월부터 수도권 전철 경춘선에서 운행하다가 2011년부터 2012년 2월까지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 차출되어 용문차량기지 소속으로 이관됐고, 이후 평내차량기지로 복귀했다가 같은 해 6월문산차량기지로 이동하여 임시로 휴차가 이뤄졌다. 문산차량기지에서 팬터그래프 애자 부위에 직류 장치를 추가하여 교류, 직류 혼용 개조를 받았고, 현대로템 창원공장으로 이동하여 2량의 부수 객차를 신조해 연결했으며, 운전대를 기존 1인 승무에서 2인 승무로 개조했다. 현재 구로차량기지로 배속돼 있다. 출입문 경고음이 1호선 311000호대 3세대 후반형과 동일하며, 측면 행선지의 광운대 표출을 기존 "광운대"에서 "광운대역"으로 바꾸었다. 신조된 2량은 311B83~89편성, 311B92~94편성과 사양이 같으며, 나머지 8량은 시트가 다른 311000호대 차량과 동일하게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361000호대와 동일하다. 위 편성은 Tc칸에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됐는데, 이는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도입 당시부터 설치돼 있던 것이며, 31190편성은 운용 중이다. 31191편성은 ITX-청춘용산~대전 구간의 운행 개시로 경춘선으로 환원, 신조된 부수객차 2량은 휴차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현재 31191편성은 결번된 편성이다. 31191편성은 현재 36114편성으로 개조됐다.

11차 도입분 (2015년 7월~2016년 1월)
제작사: 현대로템
제어방식: VVVF-IGBT(도시바)
3세대 31199편성

흔히 삼눈이라고 부르며 31195~31203편성이 해당되며, 차량 노후화로 인해 폐차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됐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저항 열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차량이다. 이 차량부터는 종전과는 달리 집전장치로 고속주행에 적합한 싱글암이 적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경강선, 동해선 1차분 차량과 달리 10량이다. 외부는 종전의 차량과 흡사하나 경강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설계를 적용해, 야간 주행 시의 시야 확보가 더욱 유리하도록 열차번호 안내기와 행선지 안내기 가운데에 LED 전조등이 새롭게 추가되됐다. 이 때문에 흔히 삼눈이라고 불린다. 노약자석의 창문엔 방풍에 유리한 통유리가 적용되기도 했다. 또한 차내 LCD 화면에 현재 시각이 표시되며, 절연구간을 통과할 때에도 실내 조명이 꺼지지 않는다. 초창기에 도입 당시에는 311B95~98편성에만 CCTV가 탑재됐으나, 철도안전법이 개정됨에 따라 31199~31203편성에도 CCTV가 탑재됐다.

4세대

12차 도입분(2019년 3~8월)
13차 도입분(2021년 1~6월)

흔히 주둥이라고 부르며 2019년 3월 26일부터 도입됐으며,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신저항 차량 노후화의 일환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외관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2차분과 비슷하며, 내부엔 동해선 또는 경강선, 서해선 차량과 동일한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1~4세대 전동차와 달리 통로문벽이 아예 제거됐으나 대신 일부 칸은 2017년부터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유사한 통로문이 적용된다. 또한 만약의 비상상황을 대비한 비상사다리와 전동휠체어 탑승객의 편의를 위한 급속충전기가 설치됐으며, 좌석옆칸에 부착된 코레일 마크가 반투명하게 나왔다. 그리고 이전에 1호선에 도입됐던 전동차와는 달리 TC 차량의 운전실 쪽 전두부에 우천 시를 대비한 유리창의 와이퍼가 1개에서 2개로 늘어나서 반입되었으며, 이는 앞서 서술한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2차분에 동일한 설계 적용으로 기존 1호선에 도입됐던 전동차와 또 다른 차이점이 된다. 1호선에 도입된 차량은 총 12개 편성으로, 312B04~15편성으로 도입됐다. 출입문 모양이 코레일 마크에서 12차분은 초기형 납작이에 적용됐던 부식 무늬가 적용됐고, 13차분은 조랭이떡과 유사한 모양이 적용됐다. 이 편성부턴 기존의 미쓰비시제 COVO52-A0형 VVVF-IGBT 소자에 현대로템의 자사 IPM 모듈을 추가로 적용해 도입됐다.

13차 도입분부터는 신도색이 적용된다.

5세대

14차 도입분(2022년 8월~2024년 3월)

흔히 큐브라고 부르며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됐다. 초창기에 도입된 1세대 전동차(311B01~41편성)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된 전동차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구간 강체가선 압상력 문제로 인해 더블암 집전장치가 다시 채용됐다. 외관은 알루미늄으로 돼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13차 도입분과 유사하며, 총 도입된 차량은 총 41개 편성으로 312B16~56편성으로 도입됐다. 그리고 미쓰비시IGBT 소자가 적용돼 도입됐다. 2023년 11월 1일 이후에 추진제어장치 구동음이 변경됐다.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19편성 우진산전 IGBT를 낮게 이식할 예정이다. 그러나 2025년에 열차를 시작으로 다시 원래대로 환원되고 있다. 312B16~45편성은 갱신전 구동음이다.

6세대

16차 도입분 (2029년~2030년 예정)

흔히 ???라고 부르며

7세대

17차 도입분 (2031년 예정)
제작사: 미정
제어방식: VVVF 미정

흔히 ???라고 부르며

개조 역사

도색 변경

도입을 한 후부터 2005년까지는 1세대는 경의중앙선 차량에 청록색노란색 도색 조합을, 2세대는 그 중 311B42~52편성에 옥색청록색의 띠를 두른 도색으로 사용해 왔으나, 2005년부터 불연 내장재 개조와 함께 한국철도공사 도색으로 변경됐으며, 1호선 차량은 빨간색파란색이 적용되기도 했다.

전장품 변경

  •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에 맞춰, 31164편성(당시 565편성)부턴 불연재 내장을 갖추어 도입이 이뤄졌다. 또한, 2003년 연말부터 311B07~12편성(당시 507~512편성)을 시작으로 여러 편성들이 불연재 기준에 맞추어 개조됐으며, 이후 2006년까지 전 차량이 이에 맞춰 개조되기도 했다. 실내 시트의 경우 유리 섬유를 사용한 시트로 교체됐고, 그 외의 재질도 난연화 처리를 했으며, 손잡이도 기존의 흰색에서 레드와인색으로 바뀌었다. 이와 동시에 전·측면 행선 표시 장치를 롤지 회전 스크린식에서 LED 표출식으로 교체됐다.
  • 도색의 경우, 도입 초기엔 철도청의 CI에 맞춘 청록색노란색을 사용한 도색이 사용됐으나, 31153편성(당시 554편성)부턴 한국철도공사의 CI에 맞춰 군청색빨간색을 사용한 도색으로 도입됐다. 이전에 도입된 차량도 불연재개조 등에 맞춰 도색이 변경됐으며, 31208편성부턴 현재 1호선의 노선 색상인 남색을 더 강조하던 도색으로 변경됐다.
  • 일부 1~2세대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기존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516, 536, 538~546, 549, 555~557, 560~564편성 등 모두 18개 편성이다. 565편성부턴 반입 당시부터 IGBT 소자가 기본 사양으로 장착된다.
  • 2010년부터 모든 차량의 창문 노약자석 스티커에 대한 표준화가 이뤄졌다. 그러나 1세대 532~533, 540, 2세대 543편성엔 철도청식 노약자석 스티커가 그대로 있으며, 3세대 567편성엔 도입 당시의 노약자석 스티커가 그대로 있다.
  • 2008년 말부터 2013년 말까지 차량 간 통로문을 기존의 수동, 스테인레스제 통로문에서 투명 유리 자동문으로 변경됐다. 자동 통로문은 31183편성부터 기본적으로 설비했지만 31204편성부턴 통로문이 제거돼어 도입이 이뤄졌다.
  • 2012년 4월부터의 311000번대 개번 과정에서, 2007년 사고로 인해 사라진 19편성의 결번을 메우기 위해 520~578편성은 편성 번호를 -1씩, 2008년 개조로 인해 사라진 579~580편성의 결번을 메우기 위해 581~585편성은 편성 번호를 -3씩 앞당겨 번호를 부여받았다. 2012년 도입된 311B83편성부턴 현재의 번호로 도입이 이뤄졌다.
  • 2013년 31124편성의 차내 방송 스피커가 교체됐는데, 이는 운전실에 설치된 방송 장치가 예전부터 사용된 것이어서 311B83~312B03편성보가 음질이 떨어진 편이었다. 현재엔 스피커가 재설치됐으며, 2014년 말부터는 311B07~82편성 차량들에 대한 방송 장치 및 스피커 교체가 이뤄졌다. 교체된 방송장치는 31183~31203편성과 같은 사양이며, 차내 스피커도 3세대 2011년~2012년 반입분 및 4세대 2016년 반입분과 같은 스피커로 변경됐다. 또한 방송 장치 교체와 함께 311B01~06편성은 발차 경고음 추가, 311B07~41편성은 '출입문 닫겠습니다.' 등의 음원이 기관사 수동 취급에 의해 송출되던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 아울러 311B28~41편성의 경우 출입문 개방 시 발차 경고음이 울리던 문제도 해결돼, 이로써 모든 차량에 대한 방송 장치 및 스피커 교체를 완료했다.
  • 2014년 10월부터 2세대형 일부 차량의 출입문 제어방식이 기존의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 모터 구동식으로 교체됐고, 3세대형 차량의 전조등이 기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됐다.
  • 2015년 7월, 311B40~41편성에 있는 중저항 부수객차 T칸의 노후한 슈트락을 교체했다. 교체된 슈트락의 사양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서 T칸에 교체된 슈트락 사양과 같다.
  • 2016년 2월, 311961호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됐다. 또한 3세대형 311B66~82, 311B85~87, 31191편성의 전조등이 할로겐에서 LED로 바뀌었다. 1세대분은 31101, 311B03~41편성이, 2세대분은 311B42~65편성이 전조등이 할로겐에서 LED로 바뀌었다.

주변환장치 교체 현황

내장재 교체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돼, 2003년 연말부터 200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전 차량이 불연재 맞춘 내장으로 교체됐다. 교체 사업은 로윈, SLS중공업 등이 참여했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진 전면, 측면행선표시장치(DI)를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했다.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돼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된다. 다만 12차분 전동차부턴 앞칸과 뒷칸만 측면 안내기가 가동 중이다.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개시 운행중단 시기 비고
311B01편성 1996년 3월 3일 1997년 3월 19일 2017년 8월 종로3가역 고장 사고
2022년 8월 25일 폐차
311B02편성 1996년 3월 11일 2018년 6월 노량진역 탈선 사고를 장한 적이 있다.
2022년 8월 26일 폐차
311B03편성 1996년 4월 6일 2022년 3월 27일 2022년 11월 12일 폐차
311B04편성 1996년 6월 5일 2022년 3월 29일 2022년 11월 10일 폐차
311B05편성 1996년 10월 21일 2022년 3월 30일 2022년 11월 11일 폐차
311B06편성 1996년 10월 31일 2022년 3월 31일 2022년 11월 13일 폐차
311B07편성 1997년 1월 8일 1998년 11월 28일 2022년 12월 19일 2023년 4월 20일 폐차
311B08편성 1997년 1월 14일 2022년 12월 28일 2023년 4월 19일 폐차
311B09편성 1997년 1월 26일 2023년 2월 16일 2023년 7월 6일 폐차
311B10편성 1997년 2월 3일 2023년 2월 22일 2023년 7월 4일 폐차
311B11편성 1997년 2월 10일 2023년 2월 28일 2023년 7월 5일 폐차
311B12편성 1997년 2월 19일 2022년 11월 16일 2023년 9월 6일 폐차
311B13편성 1997년 3월 1일 2023년 4월 2일 2023년 9월 1일 폐차
311B14편성 1997년 3월 13일 2023년 4월 5일 2023년 9월 4일 폐차
311B15편성 1997년 3월 20일 2023년 6월 6일 2023년 10월 20일 폐차
311B16편성 1997년 4월 5일 2023년 5월 2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주안역 탈선 사고
2023년 10월 21일 폐차
311B17편성 1997년 4월 13일 2023년 6월 8일 2023년 10월 22일 폐차
311B18편성 1997년 4월 21일 2023년 5월 3일 2023년 10월 23일 폐차
311B19편성 1997년 5월 6일 2023년 9월 27일 2024년 4월 26일 폐차
311B20편성 1997년 5월 14일 2023년 7월 29일 2023년 12월 11일 폐차
311B21편성 1997년 5월 21일 2023년 12월 9일 폐차
311B22편성 1997년 6월 1일 2023년 5월 3일 2023년 12월 19일 폐차
311B23편성 1997년 6월 8일 2023년 8월 21일 부평역 사상 사고
2023년 12월 26일 폐차
311B24편성 1997년 6월 15일 2028년 예정 객실 내 CCTV 설치 후에 운행을 재개했다.
오류동역 사상 사고
311B25편성 1997년 7월 6일 2023년 9월 6일 2024년 5월 30일 폐차
311B26편성 1997년 7월 15일 2023년 6월 10일 인천역 탈선 사고
2024년 5월 2일 폐차
311B27편성 1997년 7월 23일 2023년 9월 23일 진위역, 창동역 사상 사고
2024년 4월 23일 폐차
311B28편성 1998년 2월 10일 1998년 12월 2023년 7월 28일 대한민국 최초의 전동차 대차분이다.
2023년 12월 14일 폐차
311B29편성 1998년 2월 19일 2023년 8월 26일 2023년 12월 28일 폐차
311B30편성 1998년 3월 2일 2023년 9월 24일 2024년 5월 28일 폐차
311B31편성 1998년 3월 10일 2023년 9월 30일 2024년 5월 3일 폐차
311B32편성 1998년 4월 1일 2028년 예정 객실 내 CCTV 설치 후에 운행을 재개했다.
역곡역 고장 사고
311B33편성 1998년 4월 11일 2023년 11월 6일 2024년 4월 29일 폐차
311B34편성 1998년 5월 3일 2023년 11월 10일 2025년 폐차 예정
311B35편성 1998년 5월 12일 2028년 예정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객실 내 CCTV 설치 후에 운행을 재개했다.
311B36편성 1998년 6월 2일 객실 내 CCTV 설치 후에 운행을 재개했다.
311B37편성 1998년 6월 11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객실 내 CCTV 설치 후에 운행을 재개했다.
311B38편성 1998년 7월 2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객실 내 CCTV 설치 후에 운행을 재개했다.
외대앞역 고장 사고
311B39편성 1998년 7월 12일 2023년 12월 9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남영~용산역 간 탈선사고
2024년 12월 11일 폐차
311B40편성 1998년 8월 1일 2023년 12월 13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311B40~41편성은 1000호대 2세대 부수객차가 편성돼 있다.
2025년 3월 24일 폐차
311B41편성 1998년 8월 10일 2023년 12월 18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311B40~41편성은 1000호대 2세대 부수객차가 편성돼 있다.
2024년 12월 10일 폐차

2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개시 운행중단 시기 비고
311B42편성 2002년 1월 7일 2002년 10월 1일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311B43편성 2022년 1월 16일 2027년 예정
311B44편성 2002년 3월 5일
311B45편성 2002년 4월 4일
311B46편성 2002년 5월 6일
311B47편성 2002년 6월 1일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가 이뤄졌다.
천안역 탈선 사고
311B48편성 2002년 7월 4일 2002년 12월 30일 운행 중 주안역 고장 사고
311B49편성 2002년 7월 11일 운행 중
311B50편성 2002년 8월 1일 운행 중 소사역 사상 사고
311B51편성 2002년 8월 6일 운행 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개조가 이뤄졌다.
311B52편성 2002년 8월 11일 운행 중
311B53편성 2002년 9월 2일 2003년 1월 31일 운행 중
311B54편성 2002년 9월 13일 운행 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개조가 이뤄졌다.
병점차량기지 침수 사고
311B55편성 2002년 10월 3일 운행 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개조가 이뤄졌다.
311B56편성 2002년 10월 9일 운행 중
311B57편성 2002년 11월 6일 운행 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개조가 이뤄졌다.
311B58편성 2002년 12월 1일 운행 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개조가 이뤄졌다.
종로5가역 탈선 사고, 제기동역 출입문 고장 사고
311B59편성 2003년 1월 5일 운행 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이뤄졌다.
금정역 고장 사고
311B60편성 2003년 1월 12일 운행 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으로 이뤄졌다.
수원역 사상 사고
311B61편성 2003년 2월 7일 2028년 예정
311B62편성 2003년 2월 15일 -
311B63편성 2003년 3월 1일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311B64편성 2004년 7월 15일 2004년 11월 2029년 예정 도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로 적용된 차량이다. 코레일 차량 중 최초로 도입 당시부터 불연 내장재가 적용됐으며, 열번안내기가 LED로 개조가 이뤄졌다.
311B65편성 2004년 7월 31일 -

3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개시 운행중단 시기 비고
311B66편성 2005년 7월 1일 2005년 10월 27일 2030~2031년 예정
311B67편성 2005년 7월 9일
311B68편성 2005년 7월 17일
311B69편성 2005년 7월 25일 노량진역 고장 사고
311B70편성 2005년 8월 2일
311B71편성 2005년 8월 10일
311B72편성 2005년 8월 18일 2006년 1월 2031년 예정
311B73편성 2005년 9월 5일
311B74편성 2005년 9월 17일 구로기지 추돌사고 차량
311B75편성 2005년 10월 3일
311B76편성 2005년 10월 11일
311B77편성 2005년 11월 23일
311B78편성 2005년 12월 22일 2006년 10월 24일 311578호 유리창 파손 사고
311B79편성 2006년 1월 11일
311B80편성 2006년 2월 2일 2010년 12월 29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민원전철 365로 운행됐고, 경북테마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311B81편성 2006년 2월 10일
311B82편성 2006년 3월 1일
311B83편성 2011년 1월 19일 2013년 3월 30일 - 중간 객차 신조 및 편성 재조성으로 인해 잠시 휴차됐다.
311B86편성부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대체분이며, 이 중 311B83~85편성은 순수 증차분이다.
신도림역 단전 사고
311B84편성 2011년 2월 7일 중간 객차 신조 및 편성 재조성으로 인해 잠시 휴차됐다.
311B86편성부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대체분이며, 이 중 311B83~85편성은 순수 증차분이다.
311B85편성 2011년 3월 8일
311B86편성 2011년 4월 10일 2011년 10월 2일
311B87편성 2011년 5월 8일
311B88편성 2011년 6월 21일 2012년 9월
311B89편성 2012년 1월 9일 직산역 화재 사고
311B90편성 2012년 2월 11일
311B91편성 2012년 4월 1일 2012년 10월 13일
311B92편성 2013년 2월 4일 2013년 9월 1일 311292호 객차 유리 절도 사건
311B93편성 2013년 3월 20일
311B94편성 2013년 4월 7일
311B95편성 2015년 7월 30일 2015년 12월 30일 311B95편성부터 싱글암 팬터그래프가 설치됐고, 열차번호 안내기와 행선지 안내기 사이에 전조등이 하나 더 적용됐다. 객실 내부에 CCTV가 설치됐다. 312B00편성은 차량 상부에 검측 장치가 설치됐다.
311B96편성 2015년 8월 7일 2015년 11월 1일
311B97편성 2015년 9월 16일 2015년 12월 1일
311B98편성 2015년 10월 8일 2015년 12월 3일
311B99편성 2015년 11월 2일 2016년 1월 1일
312B00편성 2015년 11월 19일 2016년 3월 9일
312B01편성 2015년 12월 5일 2016년 3월 19일 한강철교 고장 사고
312B02편성 2015년 12월 18일 2016년 2월 28일
312B03편성 2016년 1월 1일 2016년 3월 4일 남영역 고장 사고

4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개시 비고
312B04편성 2019년 3월 31일 2019년 7월 19일 오류동역 충돌 사고
312B05편성 2019년 4월 8일
312B06편성 2019년 6월 11일 2019년 10월 2일
312B07편성 2019년 8월 1일 해당 편성부터 신도색이 적용됐고, 배장기가 제거됐다. 연천역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312B08편성 2021년 6월 22일 2021년 12월 28일
312B09편성 2021년 7월 12일 2022년 1월 21일
312B10편성 2021년 8월 2일
312B11편성 2021년 8월 27일 2022년 3월 4일 2023년 그래피티 테러사건
312B12편성 2021년 9월 29일 2022년 3월 1일
312B13편성 2021년 10월 10일
312B14편성 2021년 11월 5일 2022년 3월 29일
312B15편성 2022년 1월 1일

5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개시 비고
312B16편성 2022년 8월 4일 2023년 5월 26일
312B17편성 2022년 8월 22일 2023년 5월 30일
312B18편성 2022년 9월 22일 도봉역 고장 열차
312B19편성 2022년 10월 27일
312B20편성 2022년 11월 25일 2023년 5월 26일
312B21편성 2022년 12월 14일 2023년 6월 14일 도원역 화재 사고
312B22편성 2023년 1월 5일 2023년 6월 15일
312B23편성 2023년 1월 18일 2023년 7월 22일
312B24편성 2023년 2월 10일 2023년 8월 1일
312B25편성 2023년 2월 20일 2023년 8월 3일
312B26편성 2023년 3월 16일 2023년 8월 4일
312B27편성 2023년 3월 23일 2023년 8월 17일
312B28편성 2023년 3월 30일 2023년 9월 10일
312B29편성 2023년 4월 12일 2023년 9월 12일
312B30편성 2023년 4월 26일 2023년 10월 31일
312B31편성 2023년 5월 11일 2023년 10월 14일 대방역 고장 열차
312B32편성 2023년 5월 18일 2023년 9월 19일
312B33편성 2023년 5월 25일 2023년 10월 25일
312B34편성 2023년 6월 15일 2023년 11월 6일
312B35편성 2023년 6월 29일
312B36편성 2023년 7월 10일 2023년 11월 14일
312B37편성 2023년 7월 22일 2023년 12월 1일
312B38편성 2023년 8월 7일 2023년 11월 13일
312B39편성 2023년 8월 15일 2023년 11월 30일
312B40편성 2023년 8월 23일 2023년 12월 4일
312B41편성 2023년 9월 6일 2023년 12월 31일
312B42편성 2023년 9월 10일 2024년 1월 4일
312B43편성 2023년 9월 18일 2024년 1월 18일 대한민국 최초의 전동차 대차분의 대차분이다.
인천역 화재 사고
312B44편성 2023년 9월 24일 2024년 2월 1일
312B45편성 2023년 10월 2일 2024년 1월 30일 인천역 화재 사고, 금천구청역 승용차 추돌 사고
312B46편성 2023년 10월 11일 2024년 2월 2일
312B47편성 2023년 10월 19일
312B48편성 2023년 10월 27일 2024년 2월 16일
312B49편성 2023년 11월 5일 2024년 2월 27일
312B50편성 2023년 11월 15일 2024년 3월 21일
312B51편성 2023년 12월 4일 2024년 4월 30일
312B52편성 2023년 12월 18일 2024년 5월 21일
312B53편성 2024년 1월 2일
312B54편성 2024년 1월 22일 2024년 7월 31일
312B55편성 2024년 2월 9일 2024년 6월 16일
312B56편성 2024년 2월 27일 2024년 8월 8일 2024년 그래피티 테러사건

6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개시 비고
312B57편성 2028년 예정 제작 예정
312B58편성 제작 예정
312B59편성 제작 예정
312B60편성 제작 예정
312B61편성 제작 예정
312B62편성 제작 예정
312B63편성 제작 예정
312B64편성 제작 예정
312B65편성 제작 예정
312B66편성 제작 예정
312B67편성 제작 예정
312B68편성 제작 예정
312B69편성 제작 예정
312B70편성 제작 예정
312B71편성 2029년 예정 제작 예정
312B72편성 제작 예정
312B73편성 2030년 예정 제작 예정
312B74편성 제작 예정
312B75편성 제작 예정
312B76편성 제작 예정
312B77편성 제작 예정
312B78편성 제작 예정
312B79편성 2031년 예정 제작 예정
312B80편성 제작 예정
312B81편성 제작 예정
312B82편성 제작 예정
312B83편성 제작 예정
312B84편성 제작 예정
312B85편성 제작 예정
312B86편성 제작 예정
312B87편성 제작 예정
312B88편성 제작 예정
312B89편성 제작 예정

현재 운행 노선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에서 운행하고 있다.

사고

같이 보기


여기는 계정을 만들지 않았거나 사용하고 있지 않은 익명 사용자를 위한 토론 문서입니다. 익명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IP 주소는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습니다. 자신과 관계없는 의견이 남겨져 있어 불쾌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해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줄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