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소재지 = {{태극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소재지 = {{태극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철도회사|서울교통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철도회사|서울교통공사}} |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ITX-청춘}}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D}} · {{철도 링크|A}}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ITX-청춘}}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철도 링크|D}} · {{철도 링크|A}} |
|개역일 = [[1911년]] [[10월 15일]] | |개역일 = [[1911년]] [[10월 15일]] | ||
|역 번호 = 124 (1호선)<br>K117 (경의중앙선)<br>K117 (경춘선)<br>K209 (분당선) | |역 번호 = 124 (1호선)<br>K117 (경의중앙선)<br>K117 (경춘선)<br>K209 (분당선)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 특징 == | == 특징 == | ||
− |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권의 교통 거점이다. [[경춘선]]과 [[중앙선]]의 시점이 되는 역으로, [[강원도]] 및 [[경상북도]]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출발하는 곳이다. 크게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할 수 있는 '''지하청량리역'''과 KTX, ITX-청춘/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철도와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 전철을 이용할 수 있는 '''지상청량리역(민자역사)'''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권의 교통 거점이다. [[경춘선]]과 [[중앙선]]의 시점이 되는 역으로, [[강원도]] 및 [[경상북도]]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출발하는 곳이다. 크게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할 수 있는 '''지하청량리역'''과 KTX, ITX-청춘/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등 일반철도와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 전철을 이용할 수 있는 '''지상청량리역(민자역사)'''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지하 청량리역 === | === 지하 청량리역 === |
2020년 3월 8일 (일) 15:08 판
![]() 청량리역 민자역사 | |
로마자 역명 | Cheongnyangni |
---|---|
한자 역명 | 淸凉里 |
소재지 | ![]() |
역 번호 | 124 (1호선) K117 (경의중앙선) K117 (경춘선) K209 (분당선) |
정차하는 열차 | KTX · ITX-청춘 · 새마을 · 무궁화 · 누리로 · DMZ · A |
운영 | ![]() |
노선 | 경원선 · 중앙선 · ![]() |
개역일 | 1911년 10월 15일 |
“ | 경춘선과 중앙선의 출발점 | ” |
청량리역(한자: 淸凉里驛)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는 경원선과 중앙선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의 전철역이다.
특징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권의 교통 거점이다. 경춘선과 중앙선의 시점이 되는 역으로, 강원도 및 경상북도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출발하는 곳이다. 크게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할 수 있는 지하청량리역과 KTX, ITX-청춘/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등 일반철도와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 전철을 이용할 수 있는 지상청량리역(민자역사)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청량리역
지하 청량리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1974년 8월 15일,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개통한 지하철 노선인 1호선 서울역-청량리 구간이 개통하면서 개역하였다. 부역명은 서울시립대입구이다.
지상 청량리역
지상 청량리역은 경원선, 중앙선의 일반철도 및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는 역이다.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유서 깊은 역이다. 이후 중앙선과 경춘선이 개통하면서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권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청량리역 주변으로는 상권이 형성되었으며, 오늘날 청량리는 서울의 주요 부도심으로까지 성장하였다.
2010년에 민자역사로 재탄생하였다. 민자역사에는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가 입점하면서 청량리 일대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민자역사 개역과 함께 지하 청량리역과 지상 청량리역 사이의 환승 통로가 만들어졌다. 이전까지 지하/지상 청량리역은 사실상 이름만 같을 뿐이고, 환승은 되지 않는 개별 역으로 취급되었는데, 이 환승 통로가 만들어지면서 두 역이 서로 통하게 되었다.
2017년에 경강선(현 강릉선) KTX가 개통하면서 청량리역에도 KTX가 정차하게 되었다.
경원선 |
---|
중앙선 |
---|
강릉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두원공과대학교) - 월롱(서영대학교) - 영태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춘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