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해면상뇌병증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광우병에서 넘어옴)
광우병에 걸려 제대로 걷지 못하는 소.
광우병에 걸린 의 뇌를 현미경으로 본 모습. 뇌 조직에 스펀지 모양의 구멍이 관찰된다.

소해면상뇌병증(영어: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또는 광우병(한자: 狂牛病)은 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신경 퇴행성 질병(뇌병증)으로서, 척수에 미세한 구멍이 생기면서 해면(스펀지) 모양으로 퇴행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 질병이다. 광우병의 잠복기는 2.5년에서 8년에 이를 정도로 길며, 주로 4-5년령의 소에서 발생하고, 품종에 따른 발생률 차이는 없다. 광우병의 원인체는 비정상적인 구조의 프리온이다. 최악의 광우병 사태가 발생했던 영국에서는 18만 마리 이상의 소가 감염되었으며 440만 마리의 소가 질병 확산 방지 목적으로 도축되었다.

감염된 소의 뇌, 척수, 소화관 등으로 오염된 음식을 먹은 사람 역시도 감염될 수 있다. 프리온은 신경조직에 가장 높은 농도로 들어 있으므로 이것을 먹어서 감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사실 프리온은 혈액을 포함한 몸 전체의 조직에 퍼져 있으므로 다른 부위라 하더라도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다.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이라 불리는 인간광우병으로 인하여 2014년 현재까지 영국에서 177명, 기타 국가에서 5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영국 방역당국에서는 원래 초식동물인 소에게 의 육골분(meat and bone meal, MBM)을 먹여서 광우병 유행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스크래피를 앓고 있던 양에서 나온 고기와 육골분이 광우병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광우병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광우병으로 죽은 소의 부산물들을 다시 다른 건강한 소에게 먹이로 제공하였는데, 이것이 광우병 유행을 가속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프리온은 600°C가 넘는 높은 온도에서도 파괴되지 않는다. 영국에서는 소의 부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열처리 온도를 낮춘 바 있는데, 이 조치 역시 광우병 유행의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증상[편집]

광우병에 감염된 소는 대개 무리에서 떨어져서 혼자 있으며 점진적으로 행동 및 신경증상이 악화된다. 공격성이 증가하며 만지거나 소음을 들었을 때 과도한 반응을 나타낸다. 서서히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우유 생산량 감소, 식욕부진, 기면 등의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원인[편집]

광우병의 원인체는 단백질의 일종인 프리온인 것으로 생각된다. 프리온은 소고기에 들어가거나 익히거나 열처리를 하여도 파괴되지 않는다. 비정상적인 프리온 단백질은 전염이 가능하며 를 손상시킨다. 광우병은 전염성 해면 상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의 일종이다. 전염성 해면 상뇌증은 원래 알파 나선 구조로 되어 있던 단백질이 질병을 일으키는 베타 병풍 구조로 바뀌면서 발생하는 뇌병증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건강한 동물이 질병에 걸린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전염된다. 뇌에서 이 단백질들은 정상적인 프리온 단백질을 비정상적인 형태로 만들며, 결과적으로 (다단계와 비슷한 방식으로) 점점 더 많은 프리온 단백질이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한다. 그 결과로 뇌의 단백질이 응축하여 뇌에 현미경적 크기의 "구멍"이 생긴다. 결국 신체 및 정신장애 증상을 나타내다가 사망에 이른다.

광우병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들이 존재한다. 현재로서는 의 전염성 해면 상뇌증인 스크래피가 소에게 전염되어서 광우병이 시작되었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

예방[편집]

광우병이 발생한 국가에서 소에게 육류 및 육골분 사료를 먹이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리자 광우병 발생이 감소하였다.

영국에서는 뇌, 척수, 3차 신경절, 장, 눈알, 편도 등 프리온이 많이 들어있는 부위를 특정위험물질(specified risk material, SRM)로 지정하고, 반드시 제거하도록 규정하였다.

역학[편집]

인간광우병(vCJD) 환자가 발생한 나라는 녹색으로, 광우병(BSE)만 발생한 나라는 연두색으로 표시한 지도

국가별로 광우병과 관련한 규정들이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EU)에서는 30개월령 이상의 소를 도축할 때에는 반드시 광우병 검사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식용 목적으로 도축되는 소는 30개월 이전에 도축되기 때문에 사실상 유럽연합에서는 대부분의 소가 광우병 검사를 받지 않는 셈이다. 한편, 일본에서는 광우병 검사 대상을 21개월령 이상의 모든 소로 규정하여 약간 더 빡빡하게 되어 있다. 비교적 느슨한 규정을 적용하는 미국과 광우병 미발생국인 한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광우병 의심증상을 나타내는 소에 한하여 광우병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혈액이나 오줌에는 프리온 단백질이 너무 적은 양으로 들어 있고, 다른 특이한 증상도 없기 때문에 광우병을 검사하는 것은 꽤나 어려운 일이다. 여러 새로운 검사법들이 개발되기는 했지만, 현재로서는 사후 부검시에 채취한 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이 가장 신뢰할만한 검사법이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Bovine_spongiform_encephalopathy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