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경부선의 기점인 서울역 300픽셀 | |
한글 표기 | 경부선 |
---|---|
영문 표기 | Gyeongbu Line |
한자 표기 | 京釜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서울역 |
종점 | 부산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6 (서울-구로) 4 (구로-천안) 2 (천안-부산) |
영업 거리 | 441.7km |
소요 시간 | 4시간 42분 (서울-부산, ITX-새마을) 5시간 13분 (〃,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94km/h (〃, ITX-새마을) 85km/h (〃, 무궁화호)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9편 운행 (〃, ITX-새마을) 하루 왕복 15편 운행(〃, 무궁화호) |
개통일 | 1905년 1월 1일 |
“ | 대한민국의 중추 철도노선 | ” |
경부선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소재한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에 소재한 부산역을 잇는 길이 441.7km의 경부본선 및 그 지선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일반적으로 경부선이라 하면 경부본선을 지칭한다. 경부본선은 경기도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충청남도 천안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원군, 옥천군, 영동군,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구, 경상북도 김천시, 밀양시, 양산시, 구미시, 칠곡군, 대구광역시 북구, 동구, 수성구를 경유한다.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따르면, 한국 철도 영업거리표상 경부선의 노선 번호는 본선은 201, 지선은 2011~2025이다.
노선 명칭 |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경부본선 | 201 | 서울역 | 부산역 | 441.7 | |
용산삼각선 | 2011 | 용산역 | 용산역 | 0.5 | 경부선, 경원선 연결 |
구로삼각선 | 2012 | 구로역 | 구로역 | 1.2 | 경부선, 경인선 연결 |
구로기지선 | 2013 | 구로역 | 구로기지 | 1.4 | 차량기지 입출고용 |
남부화물기지선 | 2014 | 의왕역 | 오봉역 | 3.0 | 화물 전용 |
수인선 | 2015 | 수원역 | 한대앞역 | 20.2 | 영업중단 |
병점기지선 | 2016 | 병점역 | 서동탄역 | 2.2 | 차량기지 입출고 및 여객용 |
천안직결선 | 2017 | 두정역 | 천안역 | 3.1 | 경부선, 장항선 연결 |
오송선 | 2018 | 서청역 | 오송역 | 4.6 | 경부선, 충북선 연결 |
대전선 | 2019 | 대전역 | 서대전역 | 5.7 | 경부선, 호남선 연결 |
대구선 | 2020 | 가천역 | 영천역 | 29.0 | |
미전선 | 2021 | 미전역 | 낙동강역 | 1.6 | |
가야선 | 2022 | 사상역 | 범일역 | 8.3 | |
양산화물선 | 2023 | 물금역 | 양산화물역 | 3.5 | 화물 전용 |
부강화물선 | 2024 | 부강역 | 부강화물역 | 2.9 | 화물 전용 |
신동화물선 | 2025 | 신동역 | 신동화물역 | 4.7 | 화물 전용 |
노선표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철도만 정차하는 역은 표시하지 않았다. 도시철도 노선표는 서울 지하철 1호선 문서 참고바람.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여기서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입니다. | 서울특별시 | 용산구 | ||||
서울 | 0.0 | 0.0 | KTX[1]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S | 경의선 | ||
용산 | 3.2 | 3.2 | KTX[2]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G | 경원선 | ||
영등포 | 5.9 | 9.1 | (KTX)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S G | 영등포구 | ||
안양 | 14.8 | 23.9 | (무궁화) (누리로) | 경기도 | 안양시 | |
수원 | 17.6 | 41.5 | KTX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S G | 수원시 | ||
오산 | 15.0 | 56.5 | (무궁화) (누리로) | 오산시 | ||
서정리 | 10.0 | 66.5 | (무궁화) (누리로) | 평택시 | ||
평택 | 8.5 | 75.0 |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 |||
성환 | 9.4 | 84.4 | (무궁화) (누리로) | 충청남도 | 천안시 | |
천안 | 12.2 | 96.6 |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 장항선 | ||
여기까지가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입니다. | ||||||
소정리 | 10.8 | 107.4 | (무궁화) | 세종특별자치시 | ||
전의 | 7.5 | 114.9 | (무궁화) | |||
조치원 | 14.4 | 129.3 |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 충북선 | ||
부강 | 10.5 | 139.8 | (무궁화) | |||
신탄진 | 12.1 | 151.9 | (무궁화) | (호남선 · 경부고속선[3]) | 대전광역시 | 대덕구 |
대전 | 14.4 | 166.3 | (KTX)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 대전선 | 동구 | |
옥천 | 16.2 | 182.5 | (무궁화) | 경부고속선 | 충청북도 | 옥천군 |
이원 | 8.3 | 190.8 | (무궁화) | |||
지탄 | 5.6 | 196.4 | (무궁화) | |||
심천 | 4.4 | 200.8 | (무궁화) | 영동군 | ||
각계 | 3.8 | 204.6 | (무궁화) | |||
영동 | 7.0 | 211.6 | (새마을) 무궁화 | |||
황간 | 14.6 | 226.2 | (무궁화) | |||
추풍령 | 8.5 | 234.7 | (무궁화) | |||
김천 | 19.1 | 253.8 |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 경북선 | 경상북도 | 김천시 |
구미 | 22.9 | 276.7 |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 구미시 | ||
사곡 | 4.6 | 281.3 | (무궁화) | |||
약목 | 8.2 | 289.5 | (무궁화) | 칠곡군 | ||
왜관 | 6.5 | 296.0 | 무궁화 | |||
신동 | 3.7 | 305.9 | (무궁화) | |||
대구 | 17.2 | 323.1 |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 (경부고속선[4]) | 대구광역시 | 북구 |
동대구 | 3.2 | 326.3 | (KTX) 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 경부고속선 · (대구선[5]) | 동구 | |
경산 | 12.3 | 338.6 | (KTX) (새마을) (무궁화) | 경상북도 | 경산시 | |
남성현 | 14.5 | 353.1 | (무궁화) | 청도군 | ||
청도 | 8.7 | 361.8 | (새마을) (무궁화) | |||
상동 | 10.4 | 372.2 | (무궁화) | 경상남도 | 밀양시 | |
밀양 | 9.4 | 381.6 | (KTX) (새마을) 무궁화 | |||
삼랑진 | 12.5 | 394.1 | (무궁화) S | 경전선 | ||
원동 | 9.1 | 403.2 | (무궁화) | 양산시 | ||
물금 | 9.2 | 412.4 | (새마을) (무궁화) S | |||
화명 | 9.4 | 421.8 | (무궁화) | 부산광역시 | 북구 | |
구포 | 3.4 | 425.2 | KTX (새마을) 무궁화 S | |||
사상 | 5.1 | 430.3 | (무궁화) | (동해선) | 사상구 | |
부산 | 11.4 | 441.7 | KTX 새마을 무궁화 S | 경부고속선 | 동구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