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25px" 문자열을 "{{태극기}}" 문자열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철도역 | {{철도역 | ||
− | |배경색 = # | + |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배경색2 = #{{서울도시철도 색상|1}} | |배경색2 = #{{서울도시철도 색상|1}} | ||
|그림 = [[파일:평택역.jpg|320픽셀]] | |그림 = [[파일:평택역.jpg|320픽셀]] | ||
− | |노선 = {{철도 링크|경부선}} · {{ | + | |노선 = {{철도 링크|경부선}} · {{지하철|서울|1}} |
− | |역명 = 평택 | + | |역명 = 평택 <small><small>(경부선)</small></small> |
− | |역명2 = ← | + | |역명2 = ← 평택 <small><small>(1호선)</small></small> → |
|이전역명 = [[서정리역|서정리]] | |이전역명 = [[서정리역|서정리]] | ||
− | |이전역명2 = [[ | + | |이전역명2 = [[평택지제역|평택지제]] |
|다음역명 = [[성환역|성환]] | |다음역명 = [[성환역|성환]] | ||
− | |다음역명2 = | + | |다음역명2 = [[성환역|성환]] |
|로마자 역명 = pyeongtaek | |로마자 역명 = pyeongtaek | ||
|한자 역명 = 平澤 | |한자 역명 = 平澤 | ||
|소재지 = {{태극기}} [[경기도]] [[평택시]] | |소재지 = {{태극기}} [[경기도]] [[평택시]]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 | |정차하는 열차 =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새마을}} · {{철도 링크|무궁화}}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
|역 번호 = P165 | |역 번호 = P165 | ||
|승강장 구조 = 4면 6선 | |승강장 구조 = 4면 6선 | ||
− | |||
}} | }} | ||
− | '''평택역'''({{llang|ko-Hani|平澤驛}})은 [[경기도]] [[평택시]] 평택동에 있는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도시철도역이다. [[ITX-새마을]] 및 [[새마을호]]가 일부 정차하며, [[무궁화호 | + | '''평택역'''({{llang|ko-Hani|平澤驛}})은 [[경기도]] [[평택시]] 평택동에 있는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도시철도역이다. [[ITX-새마을]] 및 [[새마을호]]가 일부 정차하며,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한다. 평택시를 통틀어 가장 큰 역이며, 17만 명의 인구를 거느리고 있는 평택권(평택동, 비전동, 합정동, 세교동, 군문동, 통복동 등)의 교통 중심지가 되는 역이다. 역 광장에 택시정류장과 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100m 거리에 평택공용버스터미널이 있다. 이 역의 남서쪽에 평택 미군기지가 있어(택시로 15분 거리) [[카투사]]나 미군의 이용이 많은 편이다. |
− | 1905년 [[경부선]]의 개통과 함께 개역하였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뒤 1953년에 신축되었고, 이후 1987년에 역사가 다시 신축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9년에 민자역사 형태로 신축된 것이다. AK플라자가 | + | 1905년 [[경부선]]의 개통과 함께 개역하였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뒤 1953년에 신축되었고, 이후 1987년에 역사가 다시 신축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9년에 민자역사 형태로 신축된 것이다. AK플라자가 있어 이 일대 쇼핑중심지가 되고 있다. |
== 승강장 == | == 승강장 == | ||
− | |||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
|- | |- | ||
− | | <small>↑[[ | + | | <small>↑[[평택지제역|평택지제]]([[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small>/<small>↑[[서정리역|서정리]]([[경부선]])</small> |
|- | |- | ||
− |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서울도시철도 색상|1}};">87</span>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철도 색상|철도}};">65</span>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철도 색상|철도}};">43</span>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서울도시철도 색상|1}}">21</span> {{!}} | + |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서울도시철도 색상|1}};">87</span>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철도 색상|철도}};">65</span>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철도 색상|철도}};">43</span>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서울도시철도 색상|1}}">21</span> {{!}} |
|- | |- | ||
| <small>[[성환역|성환]]↓</small> | | <small>[[성환역|성환]]↓</small> | ||
|} | |} | ||
− | + | {|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style="" class="wikitable" | |
− | + | |- | |
− | + |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 | + | |- | |
+ | ! 1·2 | ||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 급행열차 · 완행열차 | ||
+ | | [[성환역|성환]]·[[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 | ||
+ | |- | ||
+ | ! 3 | ||
+ | | 경부선 | ||
+ |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천안역|천안]]·[[대전역|대전]]·[[부산역|부산]]·[[제천역|제천]] 방면 | ||
+ | |- | ||
+ | ! 4 | ||
+ | | 경부선 | ||
+ |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새마을}}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신창역|신창]]·[[목포역|목포]]·[[광주역|광주]]·[[익산역|익산]] 방면 | ||
+ | |- | ||
+ | ! 5·6 | ||
+ | | 경부선 | ||
+ |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새마을}}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수원역|수원]]·[[용산역|용산]]·[[서울역|서울]] 방면 | ||
+ | |- | ||
+ | ! 7·8 | ||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 급행열차 · 완행열차 | ||
+ | | [[수원역|수원]]·[[서울역]]·[[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
+ | |} | ||
{{경부선}} | {{경부선}} |
2024년 1월 26일 (금) 23:00 기준 최신판
![]() | |
로마자 역명 | pyeongtaek |
---|---|
한자 역명 | 平澤 |
소재지 | ![]() |
역 번호 | P165 |
정차하는 열차 | 새마을 · 마음 · 새마을 · 무궁화 |
운영 | ![]() |
노선 | 경부선 · ![]() |
승강장 구조 | 4면 6선 |
개역일 | 1905년 1월 1일 |
평택역(한자: 平澤驛)은 경기도 평택시 평택동에 있는 경부선상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도시철도역이다. ITX-새마을 및 새마을호가 일부 정차하며,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한다. 평택시를 통틀어 가장 큰 역이며, 17만 명의 인구를 거느리고 있는 평택권(평택동, 비전동, 합정동, 세교동, 군문동, 통복동 등)의 교통 중심지가 되는 역이다. 역 광장에 택시정류장과 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100m 거리에 평택공용버스터미널이 있다. 이 역의 남서쪽에 평택 미군기지가 있어(택시로 15분 거리) 카투사나 미군의 이용이 많은 편이다.
1905년 경부선의 개통과 함께 개역하였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뒤 1953년에 신축되었고, 이후 1987년에 역사가 다시 신축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9년에 민자역사 형태로 신축된 것이다. AK플라자가 있어 이 일대 쇼핑중심지가 되고 있다.
승강장[편집]
↑평택지제(1호선)/↑서정리(경부선) |
| 87 | 65 | | 43 | 21 | |
성환↓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열차 · 완행열차 | 성환·천안·신창 방면 |
3 | 경부선 | 새마을 · 마음 · 무궁화 | 천안·대전·부산·제천 방면 |
4 | 경부선 | 새마을 · 마음 · 새마을 · 무궁화 | 신창·목포·광주·익산 방면 |
5·6 | 경부선 | 새마을 · 마음 · 새마을 · 무궁화 | 수원·용산·서울 방면 |
7·8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열차 · 완행열차 | 수원·서울역·청량리 방면 |
경부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소요산~구로 | |
구로~신창 | |
구로~인천 |